[include(틀:낙동강의 교량/부산경남)] {{{+1 Gupogyo/龜浦橋 }}} ||<-5><:> '''[[낙동강|{{{#white 낙동강}}}]]{{{#white 의}}} [[교량/목록|{{{#white 교량}}}]]''' || ||<:> 상류 방면 ||<|2><:>{{{+1 ← }}}||<:> 이름 ||<|2><:>{{{+1 → }}} ||<:> 하류 방면 || ||<:> [[구포철교]] ||<:> --'''구포교'''-- ||<:>[[구포대교]] || [[파일:구포교.jpg]] ※[[구포대교]]가 착공되기 전인 1990년 11월 이전에 찍은 사진으로 추정된다. [목차] == 개요 == [[1933년]] 개통된 [[부산광역시]] [[북구(부산)|북구]] [[구포동(부산)|구포동]]과 [[강서구(부산)|강서구]] [[대저1동]][* 개통 당시에는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과 김해군 대저면이었다.]을 연결했던 다리. 길이는 1060m로 한때 한국에서 가장 길었던 다리였다. 왕복 2차로로 꽤나 작다고 생각될 수 있으나 구포와 대저를 잇는 ([[남해고속도로]]를 제외하면) 유일한 다리였으니 부산과 김해 간의 교통량을 홀로 감당해야 했었다. 하지만 [[1996년]] [[1월 5일]] [[구포대교]]가 완전 개통되면서 구포교로 몰리던 교통량이 분산되었다. 더욱이 구포교의 안전 문제로 차량통행이 제한되면서 거의 인도교 수준으로 방치되던 중 [[2003년]] [[매미(태풍)|태풍 매미]]로 인해 일부 구간이 성수대교처럼 유실되었다. 만약에 [[성수대교]]처럼 계속 통행을 유지했다면 [[성수대교 붕괴 사고|참사]]가 또 났을 수도 있었다. 이 상태로 한동안 방치되다 [[2008년]]에 철거되었다. [[백지영]]의 노래 [[사랑 안해]]의 뮤직비디오의 마지막 장면이 구포교에서 촬영되었다. 그것도 '''태풍으로 인해 끊긴 상태에서'''([[https://youtu.be/JFWLOnDBsU0?t=194|보기. 3분 15초부터]]).[* 이외에도 감천문화마을, 군산 경암동 페이퍼코리아선 등에서 촬영되었다.] == 역사 == [[1933년]] 개통되어 홍수로 인하여 도로가 마비되자 홍수날때를 대비하여 만든 다리이다. 또한 [[구포역]]과의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그리하여 건립된 당시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길어 낙동강교로 불렀고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60여년이 지난 [[1996년]]에 구포대교가 개통하면서 결국 [[승용차]] 전용도로로 변경되었다. == 철거 == [[파일:태풍 매미로 파손된 구포교.jpg]] 태풍 매미가 지나가고 난뒤의 구포교[*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대략 2005년 이후로 추정] 말그대로 '''[[증발]]''' 했다.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하여 [[낙동강]]의 물이 불어났고 그 물에 휩쓸린 교각이 뿌리채 뽑혀 붕괴, 4개의 상판이 연달아 붕괴되면서 총 60m가 날아가 태풍의 위력을 보여--주기 위한 샌드백의 역할로 희생해--줬다. 결국 이 사건으로 인하여 교각은 못쓰게 되었으며 [[2005년]]에 [[강변대로(부산)|강변대로]] 공사를 위하여 [[구포동(부산)|구포동]] 구간이 철거되었으며 같은 해 9월에 침수로 인하여 나머지 부분까지 붕괴되면서 완전히 못쓰게 되었다. [[파일:구포교 철거.png]] 결국 [[2008년]], 더 붕괴되어 일어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철거했다. == 관련 문서 == * [[교량]] * [[낙동강]] * [[교량/목록]] [[분류:낙동강의 교량]][[분류:대한민국의 없어진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