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육군참모차장)] [include(틀:역대 수도방위사령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4f22, #2A5034 20%, #2A5034 80%, #2a4f22)" '''[[육군참모차장|{{{#fff 제57대 육군참모차장}}}]][br]{{{#fff {{{+1 구홍모}}}[br]具洪謨 | Koo Hongmo}}}'''[* 다음은 출처 사진과 링크다. [[파일:구홍모 족보 내용.png]] [[http://www.neungsungkoo.com/htmls/jongbo/243.pdf|능성구씨종보 243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홍모 예비역 중장.jpg|width=100%]]}}} || || '''{{{#fff 학력}}}''' ||[[달성고등학교]] {{{-2 (졸업 / 5회)}}}[br][[건국대학교/대학원|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 ([[행정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7a55dcfd1ebeae14ffe0bdc3ef48d419&keyword=%EA%B5%AC%ED%99%8D%EB%AA%A8|북한 탄도미사일 위협과 대응책 연구]] (2005. 08.)])}}}[br][[대전대학교/대학원|대전대학교 대학원]] {{{-2 ([[군사학]][* 국방정책/전략 전공]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f8e4f76c5d8ca0c1ffe0bdc3ef48d419&keyword=%EA%B5%AC%ED%99%8D%EB%AA%A8|군 복무자의 수면의 질 구조모형 연구 : 교대근무 병사를 중심으로]] (2023. 02.)])}}} || || '''{{{#fff 현직}}}'''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장 || || '''{{{#fff 경력}}}''' ||[[대전대학교]] 전문경력 초빙교수 || ||<-2> {{{#FFF '''군사 경력'''}}} || ||<|2> '''{{{#fff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84년 ~ 2018년 || || '''{{{#fff 임관}}}''' ||[[육군사관학교]] {{{-2 (40기)}}} || || '''{{{#fff 최종 계급}}}''' ||[[중장]] {{{-2 (대한민국 육군)}}} || || '''{{{#fff 최종 보직}}}'''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 || || '''{{{#fff 주요 보직}}}''' ||[[수도방위사령관]] [br][[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br][[제7보병사단]]장[br][[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1처장[br][[육군특수전사령부]] 참모장[br][[제3공수특전여단]]장[br][[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합동작전과장[br]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구홍모.jpg]] * 상기의 사진은 군인 시절의 사진이다. [[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육군]]의 전직 [[장성]]으로 최종 계급은 [[중장]], 최종 보직은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이다. 병과는 [[보병]]으로 직능은 [[작전]]이다. == 생애 == [[1962년]] [[3월 19일]]생이다. 본관은 [[능성 구씨]](綾城 具氏)[* 좌정승파(左政丞派) 절도사공계(節度使公系) 29세손 '謨'자 항렬이다.]다. [[대구광역시|대구]] [[달성고등학교]](5회)를 졸업하였으며 1980년 [[육군사관학교]] 40기로 입교했고[* [[이종섭]] 前 국방부 장관과 고등학교 및 사관학교 동기이다.], 1984년 졸업과 함께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자타가 공인하는 육사 40기 선두주자였으나 정권 교체기에 맞물려 아쉽게 대장 진급에 실패했다. 대령 시절, 준장 진급 1순위 보직인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과 합동참모본부 합동작전과장[* 제1경비단장과 합동작전과장 자리는 수 많은 장군을 배출한 [[요직]]이다. 육사 출신 중에서도 최고의 능력자만 부임하는 보직이다. 특히 역대 합동작전과장은 대부분 고위직으로 진급했다. 이 직위를 역임한 사람들로 [[정승조]](육사 32기-대장 전역), [[이홍기(군인)|이홍기]](육사 33기-대장 전역), [[신현돈(군인)|신현돈]](육사 35기-대장 전역), [[김종배(군인)|김종배]](육사 36기-중장 전역), [[신원식]](육사 37기-중장 전역), 김왕경(육사 38기-준장 전역), [[장경석]](육사 39기-중장 전역), '''구홍모'''(육사 40기-중장 전역), 박철희(육사 41기-준장 전역), [[김승겸]](육사 42기-현직 대장), [[안준석]](육사 43기-대장 전역), 김정유(육사 44기-소장 전역), [[전동진(군인)|전동진]](육사 45기-대장 전역), [[김홍석(군인)|김홍석]](육사 46기-현직 소장), [[강호필]](육사 47기-현직 중장), [[이승오]](육사 49기-현직 소장), [[강현우(군인)|강현우]](육사 50기-현직 소장), [[안찬명]](육사 51기-현직 소장), [[우석제(군인)|우석제]] (육사 52기-현직 준장)가 있다.]을 역임했다. 2010년, 준장 1차 진급 후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 [[제3공수특전여단]]장과 [[육군특수전사령부|특수전사령부]]에서 [[참모장]]을 지냈으며 [[요직|육군 소장 진급 1순위 보직]]인 합동참모본부 작전1처장에 임명되었다.[* 합참 작전1처장과 더불어 [[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처장 역임자들의 소장 진급 사례도 많은 편이다.] 그러나, 2012년 22사단 [[북한군 노크 귀순 사건]] 당시 상황보고 혼선 초래 등의 이유로 합참 작전 지휘라인[* 각 기수의 선두주자였던 합참 작전본부장 [[신현돈]](35기), 합참 작전부장 [[엄기학]](37기), 합참 작전1처장 구홍모(40기)가 징계를 받게 되어 모두 1차 진급에 실패하게 된다.]이 징계를 받게 되어 소장 1차 진급에서 누락되었다. 2013년 4월, 소장 2차 진급에 성공하여 [[제7보병사단]]장을 지냈으며 중장 진급 1순위 보직인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작전직능 소장의 2차직위 최요직]으로 임명되며 재신임을 받았다. 또한, 동기 중 선두주자급이었던 [[서상국(군인)|서상국]]이 총기난사 사고로 낙마하고, [[송유진]]이 성범죄자로 수감되면서 다시 선두주자의 입지를 단독으로 굳혔다. 2015년 10월, [[김병주]], [[김해석]] 등과 함께 동기 중 1차로 중장 진급하였으며 군단장급 최고 요직인 [[수도방위사령부|수도방위사령관]]에 취임하였다. 자타가 공인하는 차기 합참의장, 육군참모총장 후보였으나 아쉽게도 대장 진급에 실패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 근위대격인 [[1경비단]]의 단장[* 아이러니하게 단장 취임은 노무현 정부 임기 말에 하였다.], 박근혜 정부 시절 [[수도방위사령부|수도방위사령관]]을 지낸 경력에 보수 세력의 지지기반인 TK 출신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문재인 정권 출범 시에 이전 정권에서 요직을 역임했던 장교 중 상당수가 진급 누락되고 좌천되었다. [[알자회]] 외에도 선두주자들이 노무현-이명박 정권 교체기 때 노무현 정부 시절 선두주자들이 당했던 것처럼 사실상 숙청당했다. [[김용현(군인)|김용현]], 구홍모, [[강인순]] 등 대내외로 인정받던 유능한 장교들이 진급하지 못하고 옷을 벗어야 했다. 하지만 역으로 [[김승겸]] 등 유능하지만 [[알자회]]의 눈 밖에 나 전역 직전까지 간 장교들이 구사일생으로 군 경력을 이어나가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진급에 실패한 이후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을 1년 역임한 후 전역했다. 현재는 대전대학교 전문경력 초빙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23년 1월 30일, 국방부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장으로 임용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30130030700504?input=1195m|#]] == 여담 == [youtube(AE_1SHYUTwA)] * 선 굵고 강한 인상의 외모로 인해 '대북 경고 전담' 으로 불렸다. 육사 5기수 후배인 [[전동진]] 장군이 본인에 이어 대북 경고 전담으로 활약하였다. * 반(反) [[알자회]] 성향의 군인이다. 육사 40기 중에서 본인과 함께 알자회에 반대했던 장군으로는 [[김병주]], [[김운용(군인)|김운용]](이상 대장), [[이종섭]](이상 중장) 장군 등이 있다. * 제7보병사단장 시절 초코바 '[[자유시간]]의 의미' 네 가지를 강조하면서 만나는 간부, 병사들에게 자유시간 초코바를 하나씩 나눠주었다. 처음에 나눠줄 때는 오리지널 자유시간이었는데 나중에는 자유시간 쿠키로 바뀌었다. 수방사령관 시절 또한 자유시간을 나눠주곤하였는데, 덕분에 1호차에는 항상 자유시간이 몇 박스씩 있었다. [* 후임 사단장([[서정열]] 소장)은 절절포 과자세트를 전 장병에게 나눠주는데 자유시간은 그 중에 구성되어 있다.] * 제7보병사단장 시절 전임자였던 [[원홍규]](3사 16기) 장군은 [[특급전사]] 휴가를 제외한 [[윤의철|모든 포상휴가를 없앴으며]], 주말에도 용사와 간부들의 휴식을 보장하지 않고 불필요한 작업을 시키는 것으로 악명이 자자하였다. 원홍규 장군의 후임으로 제7보병사단장이 된 본인은 원홍규 장군이 없애버린 [[강건작|포상휴가를 도로 복구하여]] 용사와 간부로부터 [[덕장|평가가 엄청나게 좋았다]]. 후임인 [[서정열]](3사 20기) 장군도 마찬가지.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분류:수도방위사령관]][[분류:능성 구씨]][[분류:달성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건국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대전대학교 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