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youtube(beM4oY-HYyw)] [[파일:물산업클러스터.jpg]] == 개요 == [[https://www.watercluster.or.kr|공식 웹사이트]]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대구국가산업단지]]에 있는 물산업 집적단지. 주체는 [[한국환경공단]]이다. 물산업진흥시설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 상세 == [[2000년대]] 후반 물 부족 현상이 주목받으면서[[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09&aid=0002063133|#]] 그에 대한 대응책으로 [[싱가포르]]의 물 산업이 주목받았고[[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366627|#]][[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09&aid=0002051993|#]] 그에 따라 만들어진 산업 집적단지이다. [[제주특별자치도]]가 물 산업에 가장 먼저 주목했고, [[서귀포시]] 하원동 일원 387,000㎡ 부지에 ‘물-바이오-건강’을 융합시킨 테마형 워터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고 제일 먼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875109|추진]]하였다. 그러나 지하수 고갈을 우려한 주민 반발, 사업 추진을 위한 계획 부족 등의 이유로 [[2012년]]에 사실상 철회되었다.[[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51732|#]] 한편 [[2010년]] [[대한민국 환경부|환경부]]에서 물산업 육성에 10년간 3조 4,600억 원을 투입한다고 발표[[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4&aid=0002043169|#]],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에서 물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한다고 나섰고 [[2011년]] 대구, 경북에서 2015 [[세계물포럼]]을 유치하는데 성공한 데 힘입어 '2015년 세계물포럼지원특별법'이 [[대한민국 국회|국회]]를 통과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1&aid=0002284305|#]] [[2013년]] [[대전광역시]]에서 물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사실상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929782|포기하였다]]. 이후 [[대구광역시]]는 [[대구국가산업단지]]에 물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해 2013년 [[대한민국 정부|정부]] 예타대상사업으로 선정되었다. [[2014년]] 말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수행한 [[예타조사]]에서 경제성 분석결과 B/C 1.28 등 기술성, 정책성을 포함한 종합평가에서 AHP 0.579로 타당성을 확보했다.[[http://www.kidd.co.kr/news/176898|#]] [[2016년]] 11월 착공해 2년 7개월 만인 [[2019년]] [[6월 16일]]에 완공 발표를 하였고, 7월 시범운영 후 8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을 시작한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890869|#]] 649,079㎡ 규모이며, 사업비는 국비 2,409억 원이 투입됐다. 이와 별도로 물산업클러스터의 운영 기관인 [[한국환경공단]]이 시험기반 시설 마련을 위해 196억 원을 투자했다. 물산업특별법이 발효됨에 따라 해당법의 지원을 받는다. == 성장 == 클러스터 안에 건립될 물산업 유체역학센터가 예타를 통과했으며, 기자재 구입비 지원도 확정된 상태이다. 현재 [[대구광역시]]와 [[한국환경공단]]은 물산업관련 대기업 입주 협의를 진행 중이다. [[코오롱그룹]], [[LG화학]], [[두산중공업]], [[코웨이]], [[삼성엔지니어링]] 등이 그 대상이다. [[한국물기술인증원]]과 [[대구산업선]]까지 들어와 물관련 사업은 독보적이라 판단된다.[[http://naver.me/5SswboEL|#]][[http://naver.me/5g6zwZ2V|#]] 두산중공업은 클러스터 내 워터캠퍼스에 들어올 예정이다. 최근 두산중공업의 입주가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다.[[http://naver.me/xerYyrwa|#]] [[영남대학교]]가 물산업 분야 대학으로 선정되었다.[[http://me2.do/FUur90rD|#]] 물산업클러스터 취직과 연계한다고 한다. 2021년 기준 매출액 100억 원을 넘어간 입주 기업은 총 30개로, 2020년 18개 기업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23년 6월 기준 111개사 138개실 입주하였으며, 입주율은 97.8%이다.[[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55281|#]] == 여담 == [[2019년]] [[5월 10일]] [[한국물기술인증원]]의 대구 입주가 확정되면서 물기술 개발과 인증을 한 곳에서 할 수 있게 되었다. 물산업클러스터 홍보관에 국립물융합체험관도 같이 생겨 2019년 7월에 개관했다. 클러스터가 가동되고 산업선이 개통되기까지 물산업클러스터 접근성 향상을 위해 [[대구광역시]]에서는 셔틀버스를 운행할 예정이다. 셔틀버스는 1일 2회 [[전세버스]]를 대절해 운행된다. 물산업클러스터의 정주 여건를 높이기 위해 [[대구광역시]]와 달성군이 힘을 쏟고있다. 국공립유치원을 세우고, 대형마트, 종합병원은 달성군과 함께 추진하고 있다.[[http://me2.do/IIdvoCMB|#]] 하지만 2023년 4월까지도 종합병원은 커녕 입원실이 있는 1차 병원조차도 기약이 없으며, [[대구테크노폴리스|테크노폴리스]]의 종합병원 부지도 사실상 무산이라고 보아야한다. 구지면 관내에는 보건진료소와 의원밖에 없으며, 입원실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간단한 입원도 테크노폴리스로 나가야한다. CT나 MRI 등으로 정밀검사 후에 입원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창녕읍]]이나 [[대곡역(대구)|대곡역]]까지는 나가야한다. == 입주시설 == === 공공기관 === * [[한국물기술인증원]] * 국립물융합체험관 === 입주기업 === * [[두산중공업]] 연구센터 * [[롯데케미칼]] 물분리막 멤브레인 설비 제조공장 * [[삼성엔지니어링]] 산업환경사업본부 * 아쿠아웍스 * 워터코리아 [[https://www.watercluster.or.kr/watercluster/moveIn/companyInfo/list.do?menuId=227|참고]] [[분류:달성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