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graphics8.nytimes.com/YANAYEV-obit-articleLarge.jpg]] 왼쪽에서부터 보리스 푸고 내무장관, [[겐나디 야나예프]] 부통령, 올레크 바클라노프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чрезвычайному положению в СССР(ГКЧП)''' [목차] == 개요 == [[소련]] [[8월 쿠데타]] 당시 쿠데타를 일으킨 소련 보수파들이 출범시킨 위원회. == [[8월 쿠데타|쿠데타 시도]] == 소련에서 고르바초프가 [[글라스노스트/페레스트로이카|개혁 정책]]을 시도하자 이에 반발한 보수파들은 고르바초프를 쫓아낼려 했다. 이들은 1991년 8월 19일 고르바초프를 연금시키고 [[8월 쿠데타|계엄령을 선포하였다]] . 이로서 소련의 [[글라스노스트/페레스트로이카|개혁]]은 물거품이 되는가 [[옐친|싶었지만...]] == [[옐친]]의 등장과 [[삼일천하]] == [[옐친]]과 [[러시아 SFSR|러시아]] 지도부가 쿠데타에 불복하여 시민들에게 저항을 부추겼고 이에 시민들은 물론 심지어 [[소련군|군부대]] 일부까지 호응해 옐친에게 충성을 맹세해 반쿠데타 세력에 합류하자 당황한 국가비상사태위원회 [[의원(정치인)|의원]]들은 [[KGB]] 소속 부대인 [[알파 그룹]]에게 [[러시아 SFSR]]의 [[소련 최고회의|최고회의]] 의사당을 점령하라고 지시했으나 [[알파 그룹]]이 이를 거부하였고 국제적으로도 압박을 받은데다가 발트 3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공화국도 옐친을 지지하며 반쿠데타 세력에 합류하면서 쿠데타는 사실상 실패로 돌아간다. 이후 그들은 공항으로 도주를 시도했으나 실패하면서 자살한 보리스 푸고를 제외한 모든 인원은 체포되었다. == 쿠데타 실패 이후 == 쿠데타에 동참했던 주요 인물들은 1994년 --자신의 집권을 도운 공으로-- 옐친에 의해 사면되었다. 그후 어떻게 되었나면 *부통령 [[겐나디 야나예프]] 2010년 사망 *총리 발렌틴 파블로프는 푸틴에게 충성하다가 2003년 사망 *국방장관 [[드미트리 야조프]] 2020년 지병으로 사망 *내무장관 보리스 푸고 쿠테타 실패 다음날 자살 *KGB 주석 블라디미르 크류츠코프 2007년 모스크바에서 사망 산업교통통신위원장 알렉산드르 티지야코프, 국제농업연맹의장 바실리 스타로두브체프, 중앙위원회 사무국장 올레크 셰닌은 지금까지도 잘 살고 있다. [[분류:8월 쿠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