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천주교 주교좌 성당)] ||<-2> '''{{{#FFFFFF 천주교 군종교구}}}'''[br]'''{{{+1 {{{#FFFFFF 국군중앙주교좌성당}}}}}}''' || ||<-2> [[파일:국군중앙주교좌성당.jpg|width=300]] || ||||<:> '''국군중앙주교좌성당 전경'''[* 시온의 별을 상징하는 별 모양의 평면 지붕에 박해를 의미하는 로마 군인의 투구 형태로 꼭지점을 만들고[br]그 위에 예수성심상을 배치, 군 복음화의 의지를 담고 있다.] || ||||<:> '''{{{#EF4023 기본 정보}}}''' || || '''{{{#FFFFFF 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40길 46|| || '''{{{#FFFFFF 종교}}}''' ||[[가톨릭]]|| || '''{{{#FFFFFF 교구}}}''' ||[[천주교 군종교구]]|| || '''{{{#FFFFFF 지위}}}''' ||주교좌성당{{{-2 (Cathedral)}}}|| || '''{{{#FFFFFF 주보성인}}}''' ||[[성모승천]]|| || '''{{{#FFFFFF 주임신부}}}''' ||하철민 안토니오|| || '''{{{#FFFFFF 수도회}}}'''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 || '''{{{#FFFFFF 전화}}}''' ||02) 798-2457|| || '''{{{#FFFFFF 본당설립}}}''' ||1989년 6월 30일 ([age(1989-06-30)]주년)|| || '''{{{#FFFFFF 본당축성}}}''' ||1981년 11월 7일|| || '''{{{#FFFFFF 홈페이지}}}''' ||[[https://www.gunjong.or.kr/main-parish/detail-page.asp?startRow=&idx=&org_cd=41110002&ChurchMemberGrade=1&key=ORG_NM&keyword=|공식 홈페이지]]|| ||
<:> [[파일:국군중앙성당 내부.jpg|width=300]] || ||<:> '''{{{#FFFFFF 국군중앙주교좌성당의 내부성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가톨릭]] 성당으로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천주교 군종교구]]의 주교좌 성당이다. == 역사 == ||<-2><#dddddd,#404040> {{{#000000,#FFFFFF 역사}}} || ||1951년 4월 9일 ||전신 육군중앙성당 설립 || ||1955년 2월 ||[[가톨릭]]과 [[개신교]] 교회가 함께 사용한 '육본교회' 시대 || ||1969년 ||'군종센터' 시대 || ||1989년 6월 30일 ||국군중앙성당 설립 || ||1981년 11월 7일 ||국군중앙성당 본당축성 || ||1989년 10월 23일 ||[[천주교 군종교구]] 설립 || ||1990년 2월 13일 ||초대 [[천주교 군종교구|천주교 군종교구장]] [[정명조|정명조 아우구스티노 주교]] 착좌[br]'''국군중앙 주교좌성당으로 승격''' || ||1999년 12월 15일 ||제2대 [[천주교 군종교구|천주교 군종교구장]] [[이기헌|이기헌 베드로 주교]] 착좌 || ||2010년 9월 15일 ||제3대 [[천주교 군종교구|천주교 군종교구장]] [[유수일|유수일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주교]] 착좌 || ||2021년 4월 9일 ||제4대 [[천주교 군종교구|천주교 군종교구장]] [[서상범|서상범 티토 주교]] 착좌 || 국군중앙성당의 시작은 전신 1951년 4월 9일 설립된 육군중앙성당으로, 전시 중 군종실무책임자로 사목한 조인원 신부[* 육군 군종요원 1기]는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앞 건물을 빌려 제대와 장궤틀을 설치하고 임시성당으로 사용했다. 1955년 2월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의 [[서울특별시|서울]] 환도 직후 [[가톨릭]]과 [[개신교]] 교회가 함께 사용한 '육본교회' 시대, 1969년 군종센터 시대를 거쳐, 1981년 11월7일 드디어 천주교만의 교회인 육군중앙성당이 준공되어 축성식을 거행했다. 군 신자들의 정성과 군 예산 2억5000여만원을 들여 육군본부사령부 시설대가 공사를 맡아 완공한 국군중앙주교좌성당은 특히 군이라는 특성이 짙게 배어 있다. 국군중앙주교죄성당은 한국가톨릭교회에 더 각별한 의미가 있다. 기와와 벽돌을 제작해 공급하던 선공감 소속의 관청 와서(瓦署)가 위치해 있어 '와현(瓦峴)' 또는 '와서현(瓦署峴)', '왜고개'로 불리던 이 땅은 1846년 [[병오박해]] 때 순교한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와 1866년 베르뇌 주교, 브르트니에르·볼리외·도리 신부, 우세영·남종삼·최형 등 성인 7위와 프티니콜라·푸르티에 신부 등의 유해가 가매장됐던 유서깊은 교회 사적지이기 때문.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는 1846년 9월16일 새남터에서 순교한 뒤 그 해 가을 왜고개에 묻혔다가 박해가 진정된 다음 미리내로 이장됐으며 남종삼과 최형은 1866년 3월7일 서울 서소문 밖에서 처형된 뒤 박순집 등에 의해 왜고개에 합장됐다. 그리고 그해 3월7일과 11일 [[새남터 성지|새남터]]에서 순교한 나머지 7위도 박순집 등이 5월12일 시신을 찾아내 새남터에 임시로 매장했다가 5월27일 왜고개로 이장됐다. 물론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등 성인과 순교자들의 유해는 현재 [[천주교 서울대교구]]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과 [[미리내 성지]], [[절두산 성지]], [[명동성당]] 지하성당 등에 모셔져 있고 브르트니에르 신부의 유해는 1911년 9월 프랑스 디종으로 이장됐지만 성인과 순교자의 피가 배어 있는 이 땅의 의미는 결코 퇴색될 수 없을 것이다. 현재는 [[천주교 군종교구]] 교구장 주교 [[서상범|서상범 티토 주교]]와 군 본당의 군종사제들과 함께, 군인과 그 가족들이 여러 [[전례]]와 신심 행사를 하는 군 사목의 중심지라는 의미까지 더해져 있다. == 미사시간 == '''{{{#ff0000 일}}}''' 09:00 (용사) / 11:00 교중미사(현역,예비역) '''월''' 06:30 (소성당) '''화''' 10:00 '''수''' 19:00 (용사) '''목''' 10:00 [* 매월 첫주 성시간] '''금''' 10:00 / 10:30 (십자가의 길) [* [[사순 시기]]] '''토''' 06:30 (소성당) '''비고 ※ 왜고개성지 순례는 언제든지 하실 수 있으나 성전 출입은 미사시간에만 가능합니다. [br] 미사 지향은 사무실을 직접 방문 또는 전화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02-798-2457) ※''' == 기타 == [[천주교 군종교구]]의 유일한 성지인, '왜고개 성지'가 있다. [[분류:주교좌성당]][[분류:한국 천주교 성당]][[분류:천주교 군종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