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수목원)] [include(틀:KAZA 가맹 국내 동물원·수족관 일람)] ||<-2><#81ae61> '''{{{#FFF {{{+2 국립백두대간수목원}}}[br] {{{-1 國立白頭大幹樹木園 | National Arboretum of Baekdudaegan}}}}}}''' || ||<-2> [[파일:국립백두대간수목원 CI.svg|width=2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2112406_article_99_20160902110712.jpg|width=100%]]}}} || ||<#81ae61><:>{{{#white 소속}}} ||<#fff> [[산림청]] 산하 [[한국수목원관리원]] || ||<#81ae61><:>{{{#white 위치}}} ||<#fff>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춘양로 1501 (서벽리 485) || ||<#81ae61><:>{{{#white 면적}}} ||<#fff> 5,179ha || ||<#81ae61><:>{{{#white 개관}}} ||<#fff> [[2018년]] || ||<#81ae61><:>{{{#white 총개관}}} ||<#fff> 2022년 (예정) || ||<#81ae61><:>{{{#white 공식 홈페이지}}} ||<#fff> [[http://www.bdna.or.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81ae61><:>{{{#white 전화}}} ||<#fff> 054-679-1000 || [목차] == 개요 == ||'''수목원ㆍ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5조(국립수목원 등)''' ③ [[산림청장]]은 수목유전자원의 보전 및 자원화 등에 필요한 경우 제1항에 따라 [[산림청]]의 소속 기관으로 두는 [[국립수목원]] 외에 기후 및 식생대별 국립수목원을 조성·운영할 수 있다. '''제18조의13([[한국수목원관리원]]의 설립)''' ①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한국수목원관리원(이하 "관리원"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1. 제5조제3항에 따른 기후 및 식생대별 국립수목원의 운영 및 관리 업무|| [[2015년]]에 완공, [[2016년]]에 임시 개장하였으며 [[2018년]] 상반기에 정식 개관한 국립수목원. 이를 운영, 관리하기 위하여 [[특수법인]]인 [[한국수목원관리원]][* [[2021년]]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으로 명칭변경]이 설립되었다. == 관람안내 == * 개관일: 화~일요일 * 휴관일: 월요일, 1월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 관람시간 - 하절기 : 3월~10월 : 09~18시(입장마감시간 17:00) - 동절기 : 11월~2월 : 09~17시(입장마감시간 16:00) * 매표시간은 관람개시 시간부터 관람종료 1시간 전까지 입니다. * 호랑이숲 관람시간 - 하절기 : 3월~10월 : 10~17시 - 동절기 : 11월~2월 : 10~16시 *호랑이숲까지 이동소요시간을 고려해서 호랑이숲 관람종료 1시간 전까지 입장하는것을 추천 * 입장료 - 일반 | 성인 : 5000원 / 청소년 : 4000원 / 어린이 : 3000원 - 할인[* 봉화군민/다문화가정이 할인 대상이며, 봉화군민은 개별적으로 신분증을 제시, 다문화가정은 신분증과 증빙서류를 제시해야한다.] | 성인 : 2500원 / 청소년 : 2000원 / 어린이 : 1500원 - 무료대상자 (https://www.bdna.or.kr/blank/new_window/use_target.do) 만6세 이하 6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 참전용사, 기초수급자, 숲사랑지도원, 숲사랑지도위원, 5·18 민주유공자, 특수임무유공자, 의사상자, 병역명문가, 다자녀가족(2자녀 이상 막내 15세 미만), [[국군포로]], 억류지 출신 포로가족, 국군의날 입장하는 군인, 어린이날 입장하는 어린이 등 ※ 할인·무료대상자는 신분증 등 증명자료가 필요하며, 미지참시 정상입장료가 발생합니다. ※ 단체는 유료대상자에 한정됩니다.(무료 및 할인대상자 제외) ※ 무료 입장객도 발권 후 입장합니다. * 트램이용료 - 일반 | 성인 : 1500원 / 청소년·어린이 : 1000원 - 할인[*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회원한정] | 성인 : 1000원 / 청소년·어린이 : 500원 - 무료대상자 : 만 6세 이하, 장애인(중증도 본인만 무료) *수목원 관람 시 유의사항 · 어린이와 노약자는 반드시 보호자와 동반해서 관람합니다. · 수목원내 시설물 및 동〮식물을 함께 보호합니다. · 위험한 동ㆍ식물(뱀, 벌, 독버섯 등)을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 반려동물을 데리고 입장할 수 없습니다. · 수목원 전 지역은 금연, 금주 구역입니다. · 수목원 전 구역에서는 취사를 하실 수 없습니다. · 음식물 섭취는 지정된 곳에서만 가능합니다. · 야영, 종교의식, 집단오락 등을 금지합니다. · 비개방구역, 탐방로 이외는 출입을 금지합니다. · 쓰레기는 되가져가고 머문 자리는 스스로 정리합니다. · 관람약속을 지키지 않을 경우 퇴장 조치 될 수 있습니다. == 중점조성지구 == === 참여의 숲 === 3,371㎡의 규모로 조성된 숲. === 산림환경연구동 === 9,321㎡(지하 1층, 지상 3층)의 규모로 연구 및 운영관리 업무 수행에 필요한 씨드뱅크, 연구영역, 사무영역으로 크게 나뉘어 운영되는 공간입니다. 씨드뱅크와 더불어 연구영역에는 세미나실, 문서실, 도서관, 시청각실 등 연구 활동과 관련된 사무실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사무실은 일반적인 사무공간에 준하여 설계되어 있습니다. === [[백두대간 글로벌 시드볼트|시드 볼트 (SEED VAULT)]] === [[파일:external/www.bdna.kr/BBS_20161115102344748.jpg|width=300]] 2,100㎡(지하 2층 지상 1층)의 규모로 지하터널형으로 건립된 아시아권 최초의 영구 종자저장시설. 종자를 장기저장하는 시드뱅크(Seed Bank)는 많이 있지만 '''영구'''저장이 가능한 시드볼트는 세계적으로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의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와 여기 한국 봉화 두 곳 뿐이라고 한다. 또한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가 주로 식량작물을 위주로 보관하는데, 이곳은 식량작물 종자와 더불어 야생식물 종자도 보관하고 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백두대간 글로벌 시드볼트)] === 백두대간 자생식물원 === 기후특성에 따라 온대북부지역, 온대중부지역, 온대남부지역으로 구분하여 백두대간의 생태적 가치와 생물다양성의 의미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전가치가 높은 희귀·특산식물을 수집 및 전시함으로써 백두대간 자생종의 유전자원 보전과 식물 진화 등의 연구를 위한 현지 외 보전원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간입니다. 대표수종 : 망개나무, 가침박달, 정선황기 === 단풍식물원 === 다양한 색상과 아름다움을 지닌 단풍나무속 식물을 중심으로 수집, 전시 및 보전하는 공간입니다. 섬단풍, 네군도단풍 및 복자기 등 다양한 단풍나무속 식물들을 한 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대표수종 : 꽃단풍, 네군도단풍, 노랑잎병꽃 === 관상칩엽수원 === 세계의 고산지대에 서식하는 아름답고 희귀한 상록침엽수를 수집하고 전시하는 공간입니다. 색상, 수형 및 질감 등을 고려하여 황금실화백, 직립노간주 등 목본식물 76분류군을 식재하였으며, 침엽수종과 잘 어울리는 초화 및 화관목류를 식재하여 관상 가치를 한층 높인 공간입니다. 대표수종 : 구주소나무, 코니카가문비, 화백 === 고산습원 === 기존의 지형을 살려 고산의 습지를 재현한 정원입니다. 습지의 천이단계에 따라 생육하는 고산습지식물을 관찰하고 학습하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수종 : 솔비나무, 산수국, 한라부추 === 호랑이숲 === [[파일:external/www.bdna.kr/BBS_20161115102041938.jpg|width=300]] 38,248㎡(약 11,500평)의 규모로 조성된 대규모 --우리-- 숲. 본디 백두대간에 살았던 [[시베리아호랑이]]를 보존 및 전시하는 시설. 2017년 1월 28일, 시베리아호랑이인 두만이와 금강이[* 두만이는 포천 국립수목원에, 금강이는 대전 오월드에서 사육 중이었다. 안타깝게도 둘 다 폐사다. 정확하게는, 두만은 만 19년 7개월 간 사람으로 치면 노환으로 천수를 누리고 생을 마감했으며, 금강은 당초 알려지지 않은 만성신부전을 앓다가 이송과 이소에 따른 스트레스 가중으로 합병증에 의해 11살에 급사한 사례로써 두 경우는 상황이 다르다.]가 호랑이숲으로 옮겨져 방사됐지만 안타깝게도 금강은 폐사했다. 산림청은 백두대간의 --우리-- 숲에 [[호랑이]]를 방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본격적인 숲이라고 부르기에는 다소 좁은 면적이지만 그래도 기존 동물원의 철창 우리보다는 확실히 넓은 면적으로서 안에다 개울이랑 언덕도 만드는 등 나름 자연 그대로 환경을 조성하고자 노력했다. 관람객들은 5.5 m의 울타리 밖에서 호랑이를 관찰할 수 있다. 2017년 4월에는 번식을 위해 암컷 1마리를 추가적으로 방사할 예정이며 장기적으로는 호랑이 10마리 방사가 목표라고 한다. 하지만 현재진행형으로 암컷을 우리에 방사한다 해도 우리에 남은 2마리의 수컷들 중 한마리는 중성화 상태이며, 한 마리는 노령으로 번식이 불가능에 가깝다. 그리고 산림청의 호랑이 관리 지식 부재로 인해 공원 내 호랑이 10마리 방사는 희대의 사건으로 남겨진다. 자세한 내용은 [[시베리아호랑이/한반도]] 항목 참조. 현재 도와 한이라는 공식적인 순혈 암수 호랑이가 추가로 살고 있으나 이들은 남매간이므로 번식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사실 국내의 순혈 시베리아 호랑이는 서울대공원의 펜자와 펜자의 남편인 로스토프, 조셉 그리고 펜자가 낳은 자식들이다. 도와 한 역시 2013년 펜자와 로스토프 사이에서 태어난, 한 배에서 난 자식 개체이다. 즉 모두가 한 가족인 현재는 근친교배 문제로 국내에서는 자식 개체들의 번식 자체가 불가능하며, 외국으로 이들을 보내거나 새로운 순혈 호랑이를 도입해 오는 것 외엔 교배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현재 상황에서 펜자의 자식 개체 중 그래도 번식을 기대할 수 있는 개체는 펜자와 조셉 사이에서 태어나 서울대공원에서 지내다 2022년에 일본으로 보내진 '한라' 뿐이다.] 아울러, 2020년 2월 [[에버랜드/주토피아]] '타이거밸리'에서 태호와 건곤 사이에서 태어난 [[태범]](수컷), [[무궁]](암컷)이 남매가 2021년 10월에 이곳으로 유학(2년간 임대 형식)을 왔으며, 2022년 4월 15일 처음으로 일반인 관람객에게 정식으로 공개되었다. || [youtube(OCI7-vrJiEY)] || || 안동 MBC 뉴스(2022.4.11) - '''백두대간 호랑이숲 태범·무궁 첫선''' || === 수변생태원 === 기존의 하천을 자연 그대로 보존한 수변체험 활동 공간으로, 수변 및 수생 동식물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트램 이동 동선을 따라 계곡과 산이 어우러진 경관을 감상할 수 있으며, 물억새와 달뿌리풀 등이 만들어내는 경관 또한 매우 우수한 전시원입니다. 대표수종 : 돌배나무, 까실쑥부쟁이 === 알파인하우스 === 세계 고산식물자원의 전시, 보전을 목표로 조성된 공간으로 고산기후에서 자라는 식물의 생육을 위해 3동의 고산냉실 및 다양한 암석경관을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2020년 상반기, 1동의 냉실이 먼저 공개 되었으며, 한국, 중국, 몽골, 네팔 등 아시아 지역의 고산 및 아고산지대에서 자라는 희귀식물들을 관찰할 수 있다. 대표수종 : 월귤, 시로미, 노랑만병초, 카시오페 파스티기아타, 알리움 카롤리니아눔 === 야생화언덕 === 수목한계선 부근의 광대한 고산초원을 재현한 정원으로, 기존의 경사지를 활용한 대규모 초화류 군락을 통해 고산지대의 대표적인 경관인 초원을 형상화하였습니다. 2019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봉자페스티벌 여름축제의 주요 무대로 활용된 전시원입니다. 대표수종 : 털부처꽃, 긴산꼬리풀 === 진입광장 === 수목원의 진입공간으로 수목원에 대한 정보를 얻고 관람객이 교류할 수 있는 커뮤니티 중심 공간입니다. 넓은 면적에 조성된 잔디광장을 비롯하여 트램승차장, 매점 등이 위치하여 있으며, 수목원의 주요 행사시 무대로 활용되기도 하는 공간입니다. === 식물분류원 === 식물의 진화과정과 계통 및 분류 체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조성된 정원으로, 식물분류원을 통해 일반인과 전문가들의 분류학적 학술 정보 습득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대표수종 : 황벽나무, 화살나무, 비비추 === 트램출발역 === 수목원 내부를 순환하는 이동수단인 '트램'을 편안하게 대기하고 탑승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트램은 트램매표소에서 티켓 구매한 뒤 대기장(진입광장 부근)에서 선착순으로 대기 후 탑승하실 수 있습니다. * 기상상황에 따라 트램 운행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트램 내에는 해설사가 동반탑승하지 않습니다. * 트램은 선착순으로 대기인원이 많을 경우 탑승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잔디언덕 === 경사 지형을 활용하여 수목원의 전체적인 조망이 가능한 전시원으로, 방문객의 휴식공간으로도 활용됩니다. 또한 드넓은 잔디언덕과 높은 금강송의 대비가 절경을 이루는 공간입니다. 대표수종 : 소나무, 무궁화 === 주민헌정기념원 === 수목원의 후문 바깥쪽으로는 지역민과 수목원의 화합 및 교류를 위한 주민헌정기념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주민헌정기념원은 수목원의 조성을 위해 헌신한 지역 주민을 기념하기 위하여 마련되었으며, 지역민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상시로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수종 : 왕벚나무 === 모험의 숲 === 놀이 활동을 통해 자립심, 모험심 및 공동체의식을 기를 수 있는 숲 속 모험의 공간입니다.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식물 생태관찰 길, 나무 흔들다리, 백두대간 보물길 등의 놀이와 체험 활동 공간이 조성되어 있으며, 각종 동물과 곤충 모형으로 산림생태계의 이해를 돕는 공간입니다. 대표수종 : 복자기, 단풍나무, 소나무 == 논란 및 사건사고 == 산림청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한수정)이 산림청 출신 직원들에게 연봉과 승진 등에서 특혜를 제공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한수정이 운영하는 백두대간수목원이 민간 연구 성과를 가로채 정부 연구비 5억 8천만 원을 챙기고, 이에 대해 감사를 벌인 한수정 감사실장을 부당해고한 사실도 확인되고 산림자원을 관리하기 위해 설립된 한수정이 '산피아(산림청+마피아)'들의 온상이 되고 있다는 큰 문제가 되고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5RZH54IBn0s]] [[분류:식물원]][[분류:봉화군]][[분류:2018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