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책임운영기관]][[분류:연구소]][[분류:동대문구 소재 관공서]][[분류:1949년 설립]][[분류:산림청]] [include(틀:책임운영기관)] [include(틀:홍릉포럼)] ||<-2> {{{#fff '''{{{+1 국립산림과학원}}}'''[br]國立山林科學院[br]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NIFoS}}}[* 2015년 4월 이전엔 영문명이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였다.] || ||<-2> [[파일:국립산림과학원 로고.svg|width=90%]] || || '''{{{#fff 원장}}}''' ||배재수 || || '''{{{#fff 소속}}}''' ||[[산림청]] || || '''{{{#fff 종류}}}''' ||[[국립]] [[연구소|연구 기관]] || || '''{{{#fff 설립일}}}''' ||[[1949년]] [[2월 23일]]([age(1949-02-23)]주년)[* '임업시험장'으로 설립.] || || '''{{{#fff 주소}}}''' ||(02455)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7 || || '''{{{#fff 연락처}}}''' ||(02) 961-2522 || || '''{{{#fff 웹사이트}}}''' ||[[https://nifos.forest.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instagram.com/nifos_phot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height=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ifos_news, 크기=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ifos_friendz, 크기=20)]^^{{{-2 서브계정 (홍릉숲친구들)}}}^^ [[https://blog.naver.com/kfri9612|[[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llYda-54cYbzRdFB1TUbhQ|[[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 || '''{{{#fff 지도}}}''' || [include(틀:지도, 장소=국립산림과학원, 너비=100%, 높이=20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산림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제2조(소속기관) ③산림청장의 관장사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책임운영기관의 설치ㆍ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제1항, 같은 법 시행령 제2조제1항 및 같은 영 별표 1에 따라 국립산림과학원ㆍ국립수목원 및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를 둔다. >제28조(직무)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환경ㆍ임산공학ㆍ산림자원ㆍ임목육종ㆍ임업생산기술분야의 시험ㆍ연구ㆍ조사 및 시험림ㆍ육종림의 관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youtube(7O44RJIqvt0)] [[대한민국]]의 [[국립]] [[연구소|연구 기관]]. [[산림청]] 소속 [[책임운영기관]]이자 국내에서 유일한 국립 산림 연구 기관으로서, 산림환경ㆍ임산공학ㆍ산림자원ㆍ임목육종ㆍ임업생산기술분야의 시험ㆍ연구ㆍ조사 및 시험림ㆍ육종림의 관리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며, 산림과학관, 전시실 등 연구 자산 공유 시설도 운영한다. 위치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7([[청량리동]])이다. 산림청 소속기관 중 산림교육원, [[국립수목원]], 산림인력개발원,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한국임업진흥원]] 등은 원래 국립산림과학원의 부서였다가 분리 독립한 기관들이다. == 기능 == - 지속가능사회에 기여하는 산림전략 및 활용 기술 개발 - 안전하고 건강한 산림환경 유지ㆍ증진 - 산림생명자원의 발굴ㆍ수집ㆍ개량 및 보급을 통한 가치있는 미래산림자원 육성 - 탄소중립사회를 구현하는 임산자원 이용가치 확산 - 산림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ICT 융복합 디지털 산림관리 기반 구축 - 경제림 품질제고 및 국산재 생산비용 절감 기술 개발 - 산림생명자원의 생활소재 가치 발굴 및 실용화 원천기술 개발 - 난아열대 산림의 지속가능한 보전 및 이용기반 구축 - 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프리미엄 산림약용자원 육성 및 산업화 활용기반 구축 == 조직 == <원장 아래 4부 1센터 4연구소> - 국립산림과학원장([[고위공무원단]] 가급 임기제 공무원) - 운영지원과 - 연구기획과 - 산림ICT연구센터 - 미래산림전략연구부 - 산림환경보전연구부 - 산림생명자원연구부 - 임산자원이용연구부 - 산림기술경영연구소 -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산림약용자원연구소 == 연혁 == 1949. 02. 23. 농림부 산하의 '''중앙임업시험장'''으로 '''설립''' (대통령령 제57호) 1957. 05. 농사원 소속의 임업시험장으로 개칭 1961. 10. 농사원 시험국의 임산부로 개편 1962. 04. 농촌진흥청 산하의 임업시험장으로 개편 1967. 01. 산림청 발족, 산림청 소속 임업시험장으로 편제 1981. 11. 산림자원조사연구소를 자원조사부로 통합 1987. 12. 임업시험장을 임업연구원으로 개칭 1998. 08. 임목육종연구원을 임목육종부로 통합 1999. 01. 임업연수원을 임업연수부로 통합 1999. 05. 중부임업시험장 수목원과를 국립수목원으로 분리 2001. 01. 책임운영기관 시행 2004. 01. 임업연구원을 '''국립산림과학원'''으로 개칭 2006. 01. 임업연수부를 산림인력개발원으로 분리 2008. 08. 산림종자연구소를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로 분리 2010. 08. 제 23차 IUFRO세계총회 개최 2012. 01. 한국임업진흥원 분리 2016. 06.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설립 (경북 영주) 2016. 07. 국내최대 목조건축 산림유전자원부 종합연구동 준공 (지상4층, 면적 4,500m2) 2018. 08. WCTE 세계목재건축대회 개최 2021. 01. 국가산불실험센터 준공 2022. 02. 책임운영기관 최우수등급 선정 (역대 11회 최우수등급 평가) 2022. 08. 산림과학연구 100년 기념 행사 추진 및 미래비전 선포 == 관련 문서 == *[[동대문구]] *[[산림청]] *[[책임운영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