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안동대학교)] || [[파일:안동대학교 심볼.svg|width=20]] {{{#273785 '''국립안동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회원교)]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고등교육기관)] [include(틀:경상북도의 대학)] [include(틀:안동시의 대학)] [include(틀:대한민국의 SW중심대학)] [include(틀:ABEEK 인증대학)] [include(틀:대한민국의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대학 박물관)] [include(틀:OCUC 소속대학)] [include(틀:국공립대학도서관협의회)] [include(틀:사회적경제대학협의회 소속대학)] [include(틀:링크플러스 사업단)] [include(틀:링크3.0 사업단)] [include(틀:글로컬대학 30)]}}} || ||<-3> {{{+2 '''국립안동대학교'''}}}[br]'''國立安東大學校'''[br]'''Andong National University''' || ||<-3>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width=250]] || ||<-2> '''교시''' ||'''진리(眞理), 성실(誠實), 창조(創造)''' || ||<|4>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상징'''}}}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슬로건'''}}} ||'''Forward {{{#273785 ANU}}}, Together {{{#273785 A{{{#DF861C &}}}U}}}''' || || '''교조''' ||'''학''' || || '''교목''' ||'''은행나무''' || || '''교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F00; font-size: 0.9em" {{{#000 '''노란색'''}}}}}} || ||<-2>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분류''' ||[[국립대학]] || ||<-2> '''지역''' ||[[경상북도]] || ||<-2> '''개교'''[* 햇수는 안동사범학교 개교년인 1947년을 기준으로 삼고, 국립 안동대학 개교일인 3월 12일을 개교기념일로 지낸다.] ||1947년 7월 21일 {{{-2 ([age(1947-07-21)]주년)}}} '''안동사범학교'''[br] 1979년 3월 12일 {{{-2 ([age(1979-03-12)]주년)}}} '''국립 안동대학''' || || '''폐교 예정''' || [[2025년]] [[?월 ?일]] || [[경북도립대]] 와 통합으로 인한 || ||<-2> '''총장''' ||제9대 [[정태주]][* 본교 전기·신소재공학부 교수 출신이다.] || ||<-2>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375 (송천동)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재학생'''}}}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학부생'''}}} ||4,837명{{{-2 (2023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대학원생'''}}} ||637명{{{-2 (2023년)}}} || ||<|3>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교직원'''}}} ||<|2> '''교원''' ||[include(틀:표시, other1=#273785, other2=#ffffff, other3=전임)] 272명{{{-2 (2023년)}}} || ||[include(틀:표시, other1=#273785, other2=#ffffff, other3=비전임)] 363명{{{-2 (2023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직원'''}}} ||136명{{{-2 (2023년)}}}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대학기본역량진단|{{{#ffffff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 (2021년)}}}''' || ||<-2> '''웹사이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https://www.andong.ac.kr/main/index.do|[[파일:안동대학교 심볼.svg|width=20]]{{{#000,#fff {{{-2 공식 홈페이지}}}}}}]] [[https://ipsi.andong.ac.kr/new/admission/index.htm|[[파일:안동대학교 심볼.svg|width=20]]{{{#000,#fff {{{-2 입학처}}}}}}]] [[https://aura.andong.ac.kr/|[[파일:안동대학교 심볼.svg|width=20]]{{{#000,#fff {{{-2 총학생회}}}}}}]] [[https://dongari.andong.ac.kr/|[[파일:안동대학교 심볼.svg|width=20]]{{{#000,#fff {{{-2 총동아리}}}}}}]] [[https://alumni.andong.ac.kr:8042/board/index.php|[[파일:안동대학교 심볼.svg|width=20]]{{{#000,#fff {{{-2 총동문회}}}}}}]]}}} ||}}}}}} || ||<-2> '''소셜 미디어''' ||[[https://ko-kr.facebook.com/anus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m.youtube.com/channel/UCQEkk5qbZP8txG-Y0VUM5r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instagram.com/anusns_i?utm_medium=copy_lin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blog.naver.com/anublog|[[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안동대학교, 너비=100%)]}}} || || {{{#white '''안동대학교'''}}}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민주주의 정신에 입각하여 진리를 탐구하고 성실하며 창조적인 인재양성을 추구한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소재한 '''경상북도 유일의 [[국립대학교|국립]][[종합대학|종합대학교]]다.'''[* [[경북대학교/상주캠퍼스|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의 경우 이원화캠퍼스이긴 하나 대학 본부와 거의 모든 단과대학이 [[경북대학교/대구캠퍼스|대구]]에 위치해 있고, [[금오공과대학교]]는 특성화 공과대학교이며, [[육군3사관학교]]는 특별법에 의해 설치된 사관학교이므로 논외이다.] 캠퍼스 소재지는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375 (송천동). 현 위치로 이전하기 전에는 現 안동시청 자리인 명륜동에 자리하고 있었는데, 1983년 3월 시 외곽인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 일부 교수와 교직원들은 이전 후 명륜캠퍼스를 [[안동시]]에 그냥 넘겨준 것을 아쉬워하는 사람들도 있다. [[캠퍼스]] 위치가 시내에서 외곽인 만큼 평생교육원이나 1~2개 [[단과대학]]을 두고 제2캠퍼스로 썼더라면 좀더 대학 측에 도움이 되었을거라고 여기기도 한다.] 1947년 개교한 '''안동사범학교'''가 그 기원이다. 1962년에는 도립 안동농업초급대학으로 개편되었으며, 이어 1965년 '''안동교육대학'''으로 재차 개편되어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역할을 수행했다.[* 안동시청 근처에는 좀 생뚱맞게 [[대구교육대학교 안동부설초등학교|대구교대 안동부설초등학교]]가 자리하고 있는데, 본래 안동대가 [[교육대학]]이던 시절 안동교대 부설초등학교로 개교한 곳이다. 이후 정부의 1도 1교육대학 정책에 따라 안동교대가 일반 국립대로 전환됨과 동시에 교대로서의 기능을 [[대구교대]]로 이관할 때 해당 초등학교도 같이 이관함으로서 대구교대 부설초등학교로 전환된 것이다. 당시만 하더라도 [[대구광역시|대구]]가 [[경상북도]] 대구시였으니 말이다.][* 그럼 '[[경북대학교/학부/사범대학|경대 사대]]는 뭐냐!' 라는 의문이 들 수 있는데, [[대구교대]]는 초등교원 양성기관이고 [[경북대학교/학부/사범대학|경대 사대]]는 중등교원 양성기관이다.] 1978년 [[교육대학]]의 기능을 [[대구교육대학교]]로 이관하면서 안동초급대학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듬해인 1979년 '''안동대학'''으로 재차 개편되어 정식 개교했다. 이때 신설된 8개 [[학과]][* [[한문학과]], [[사학과]], 민속학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음악과]], [[미술학과]], [[가정학과]].]를 시작으로 [[학군사관후보생]] 교육과정, 일반대학원, 기타 여러 학과 등을 신설하며 크기를 점차 키워나갔다. [[1991년]] 3월 1일에는 '''안동대학교'''로 승격되면서 4개 단과대학을 보유한 [[종합대학]]으로 새로이 출범했다. [[2022년]] [[6월]] 기준 6개 [[단과대학]] 40개 학과, 6개 학부, 1개의 일반대학원, 1개의 전문대학원, 2개의 특수대학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2023년 11월 16일 국립안동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국립학교 설치령 개정] == 역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1C4FA0);" {{{+1 [[파일:안동대학교 심볼.svg|width=30]] {{{#fff '''국립안동대학교 연혁'''}}}}}}}}}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47~1989'''}}} || {{{#!wiki style="background-colo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947.07 안동사범학교 설립 * 1962.03 도립 안동농업초급대학으로 개편 * 1965.03 안동교육대학으로 개편 * 1978.02 국립 안동초급대학으로 개편 * 1979.01 국립 안동대학으로 개편(8개 학과) * 1979.03 초대 학장 김학수 박사 취임 * 1979.03 국립 안동대학 개교 * 1981.04 학군사관후보생(R.O.T.C) 설치 * 1983.03 명륜동 교사에서 송천동 현 교사로 이전 * 1983.03 제2대 학장 이기백 박사 취임 * 1984.06 제3대 학장 김엽 박사 취임 * 1988.03 대학원 신설 (4개 학과) * 1988.07 제4대 학장 배원달 박사 취임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90~1999'''}}} || {{{#!wiki style="background-colo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991.03 국립 안동대학교로 승격(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예·체능대학 신설) * 1991.03 초대 총장 [[남규창]] 박사 취임 * 1995.03 제2대 총장 [[이진설]] 박사 취임 * 1999.03 제3대 총장 [[권영건]] 박사 취임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000~2009'''}}} || {{{#!wiki style="background-colo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00.02 평생교육원 신설 * 2003.04 제4대 총장 [[권영건]] 박사 취임 * 2004.03 산학협력단 설립 * 2007.05 제5대 총장 이희재 박사 취임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010~현재'''}}} || {{{#!wiki style="background-colo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11.05 제6대 총장 정형진 박사 취임 * 2014.03 * 대학 - 7개 단과대학, 1개 학부(2개 전공) 46개 학과(48개 모집단위) 입학정원 : 1,588명 * 대학원 - 일반대학원(203명/석사 151명/박사 52명), 전문대학원(35명), 특수대학원(142명) * 2015.03 * 학과 명칭 변경: 정보전자공학교육과 → 전자공학교육과 * 학과 신설: 간호학과 신설(정원 40명) * 7개 단과대학, 1개 학부(2개 전공) 47개 학과(49개 모집단위) 입학정원 : 1,568명 * 대학원(380명) * 일반대학원(203명)/전문대학원(35명)/특수대학원(142명) * 2015.05 제7대 총장 [[권태환]] 박사 취임 * 2016.03 * 대학 - 7개 단과대학, 1개 학부(2개 전공) 47개 학과(49개 모집단위) 입학정원 : 1,476명 * 대학원 - 일반대학원(203명)/전문대학원(35명)/특수대학원(142명) * 2017.03 * 학과 명칭 변경: 정보과학교육과 ⇒ 컴퓨터교육과 * 대학 - 7개 단과대학, 1개 학부(2개 전공) 47개 학과(49개 모집단위) 입학정원 : 1,456명 * 대학원 - 일반대학원(203명)/전문대학원(35명)/특수대학원(142명) * 2018.03 * 대학 - 7개 단과대학, 1개 학부(2개 전공) 47개 학과(49개 모집단위) 입학정원 : 1,456명 * 대학원 - 일반대학원(203명)/전문대학원(35명)/특수대학원(142명) }}}}}} || == 상징 == === 교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1C4FA0);" {{{+1 [[파일:안동대학교 심볼.svg|width=30]] {{{#fff '''국립안동대학교 엠블럼'''}}}}}}}}} || ||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width=250]] || 안동대학교의 영문 [[이니셜]]인 '''A'''와 '''D'''를 간결하게 그래픽화한 것으로, 무한경쟁의 [[세계화]] 시대를 주도해 나갈 Powerful한 대학의 [[이미지]]를 집약하여 표현하고 있다. 또한 [[안동]]을 중심으로 한 경북북부지역의 지리적 환경인 [[산]]과 [[강]]이 [[조화]]를 이룬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주색인 청색은 [[무한]]한 우주공간과 미래 비전을 의미하며, [[은색]](또는 [[회색]])은 안동대학교의 최첨단의 교육과 세계를 향한 [[도전]] 정신을 [[상징]]하며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21세기형 [[인재]]양성의 큰 뜻을 담고 있다. === 교색 === 위에서 서술했듯 안동대학교의 교색은 '''[[노란색]]'''이다. 성실, 진리, 광명, 희망, 이상, 향상, 장엄, 신비의 상징으로서 [[대학]]을 대표하는 색깔이다. 그러나 정작 '''그 어디서도 [[노란색]]을 찾아볼 수 없다(...).''' 학교 홍보물을 비롯, [[로고]], [[마스코트]], 공식 홈페이지 등등, 온 동네를 뒤져봐도 노란색은 어디가고 시퍼런 [[청색]]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대신 교목인 [[은행나무]]가 교내 [[가로수]]로 심어져있는 덕에 [[가을]]이 되면 [[캠퍼스 ]]전체가 노란 빛깔로 물든다. === 마스코트 === ||<-4>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width=50]][br]{{{+1 '''국립안동대학교'''}}} || ||<-4> {{{#fff '''마스코트'''}}} || ||<-4> [[파일:안동대학교 캐릭터.png |width=100%]] || ||<-4> '''아누 & 아리''' || || [[파일:안동대 마스코트-1.png|width=100%]] || [[파일:안동대 마스코트-2.png |width=100%]] || [[파일:안동대 마스코트-3.png|width=100%]] || [[파일:안동대 마스코트-4.png|width=100%]] || ||<-4>{{{#!wiki style="margin: -5.1px -10px" [youtube(tPfo7Y4u0XY, align=center, width=100%)]}}}|| ||<-4> {{{#FFFFFF '''▲ 마스코트 아누 홍보영상(2022)'''}}} || 대학의 교조인 '''[[학]]'''을 모티브로 한 귀엽고 매력넘치는 캐릭터. [[MBTI]]는 [[ENFP]]에 취미는 [[프리스타일]] 랩과 [[농구]]라고 한다. 안동대학교에 이제 막 입학한 [[신입생]]이 [[졸업]]할 때까지 학년별로 성장하는 모습을 담아 [[디자인]]되었다. 각 학년별로 이름이 달라지는데, [[1학년]]은 아로, [[2학년]]은 쫌아로, [[3학년]]은 잘아로, [[4학년]]은 나로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안동대학교를 보다 친근한 [[이미지]]로 표현해 MZ세대들에게 더욱 가깝게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단 '''[[학]]'''을 모티브로 디자인했다곤 하는데, 모르는 사람한테 보여주면 거의 대부분 '''[[닭]]'''으로 착각한다.[* 머리 가운데에 있는 붉은 정수리가 닭벼슬처럼 보여서 그런 듯 하다.] 학교 측에서도 이를 의식했는지 공식 소개 홈페이지 밑에 '''닭아님'''이라는 해시태그를 달아놨다. === 교가 === ||<-4>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width=50]][br]{{{+1 '''국립안동대학교 교가'''}}} || || || || [[파일:anu_song.gif|width=100%]] || == [[국립안동대학교/학부|학부]] 및 [[국립안동대학교/대학원|대학원]] == ||<-5> [[파일:안동대학교 심볼.svg|width=20]] {{{#fff '''국립안동대학교의 단과대학 · 독립학부'''}}} || || {{{#13007D 인문예술대학}}} || {{{#13007D 사회과학대학}}} || {{{#13007D 사범대학}}} || || {{{#13007D 생명과학·건강복지대학}}} || {{{#13007D 공과대학}}} || {{{#13007D 자유전공학부}}} || ||||||<|3> {{{#13007D 성인학습자학부}}} |||||| * 학부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립안동대학교/학부)] * 대학원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립안동대학교/대학원)] == 캠퍼스 == ||
[[파일:campusmap_1.jpg|width=100%]] || || {{{#13007D '''▲ 국립안동대학교 캠퍼스 안내도'''}}} || === 기숙사 === '''[[https://dorm.andong.ac.kr/2019/|안동대학교 생활관 홈페이지]]''' 총 3개의 기숙사가 존재한다. 남자기숙사인 솔뫼관, 남녀혼성기숙사인 가람관 [* 2023년까지는 여자기숙사였으나 2024년부터 1~3층에 남학생이 들어오게되면서 혼성기숙사로 변경되었다], 솔빛관 이렇게 3개가 있는데, 이중 솔뫼관과 가람관은 학교에서 직접 운영하는 기숙사이며 솔빛관은 [[민간투자사업#s-4.2|민자(BTL)]] 기숙사이다. 모든 기숙사의 출입은 출입구와 호실 현관 앞에 설치된 카드 인식시스템에 카드키를 찍는 방식으로 통제하고 있다. 솔뫼관과 가람관의 경우 0시 30분부터 새벽 5시 30분까지 출입이 통제되며, 솔빛관의 경우는 조금 더 널널해서 새벽 2시부터 5시 30분까지 출입이 통제된다. 점호의 경우 과거 솔뫼관과 가람관에서 0시부터 0시 30분까지 이뤄젔던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실시하고 있지 않다. 아마도 카드 인식시스템을 통해 통금시간 위반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서 그렇게 한걸로 추정이 된다. 하지만 한달에 한번정도 호실점검 (반입금지물품, 방 청결상태 등)을 한다. ==== 솔뫼관 ==== 지상 3층, 지하 1층[* 3동 한정]으로 이루어진 남자기숙사. 안동대 내에서도 상당히 구석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총 4개 동이 존재하며 생활관 행정실은 2동 1층에 자리하고 있다.[* 다만 저녁 6시 이후에는 행정실 직원들이 전원 퇴근하므로 용무가 있는 1,2,3동 관생은 솔뫼관 2동 사무실로, 4동 관생은 4동 사무실로 가야 한다.] 현재의 모습은 2020년에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거친 것이다. 호실은 전부 2인 1실이며, 방 마다 화장실 겸 샤워실을 구비해놓았다. [[리모델링]] 이전에는 방의 크기도 훨씬 작았고[* 대략 '''2평''' 남짓한 방에 2층침대 1개, 책상 2개, 옷장 2개만 겨우 들어가는 공간이었어서 닭장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현재의 호실은 리모델링 이전 기존 호실 3개를 합쳐 2개로 재분배한 것이다.], 화장실이 따로 없어서 공용 샤워장[* 따뜻한 물이 공급되는 시간이 아침저녁으로 제한되어 있었던 데다 수량도 넉넉하지 않아서 늦잠을 자거나 하면 사실상 따뜻한 물로 씻는게 불가능했다. 때문에 솔뫼관에서 살다가 군대에 가면 ''''군대 시설이 오히려 더 좋아서 적응이 쉬웠다''''는 경우도 왕왕 있었다.]과 공용 화장실을 사용해야 했다. 그 외에 옷장과 책상, 침대 등 기본적인 가구들도 마련되어 있다. 냉난방의 경우 각 호실마다 [[라디에이터]]와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다. 다만 둘 다 중앙에서 통제하기 때문에 마음대로 끄고 킬 수 없다는 것이 흠. 문제는 일부 솔뫼관 호실의 경우 라디에이터가 침대 바로 옆에 자리하고 있어서 겨울이나 봄에 난방을 돌리는 동안 '''따끈따끈하게 데워진 라디에이터에 발을 데는 경우가 있다'''. 물론 기숙사 측에서도 이런 점을 인지했는지 해당하는 라이에이터마다 그물과 플라스틱 보호판을 씌어놓았지만, 그래도 데일 사람은 덴다. 한 가지 특이한 점으로 솔뫼관은 '''현관과 바닥의 구분이 없다.''' 즉, 호실 안에서 신발을 신고 돌아다니는, 무슨 미드에서나 볼 법한 생활양식이 이곳에서 재현된다는 것. 때문에 일부 관생들은 집이나 배달을 통해 카페트를 챙겨와 바닥에 깔고 지내기도 한다. [[와이파이]]는 따로 설치되어있지 않으며, 휴게실에 [[ipTIME]] 공용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있다. 대신 각 호실마다 [[이더넷 케이블|랜선]]을 꼽는 코드는 있으므로 개인 와이파이가 필요한 관생은 따로 공유기를 가져와서 설치해야 한다. 편의 시설의 경우 2동과 3동에 [[엘리베이터]]가 추가되어 이동이 편리해졌으며, 이외에 정수기, 체력단련장, 세탁실, 정독실, 스터디룸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전자레인지]]의 경우 2동 1층 행정실 앞에 놓여있으며, 바로 옆에 정수기와 동전교환기가 자리하고 있다. ||
[[파일:청기정.jpg|width=100%]] || || {{{#13007D '''▲ 청기정'''}}} || 정문인 2동 출입구를 통해 나오면 바로 앞에 청기정이란 이름의 [[식당]]이 자리하고 있다. 솔뫼관과 솔빛관 관생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식당이며, 식비를 납부한 관생에 한해 카드키를 찍고 이용할 수 있다. 맛은 무난한 수준이며, 자율 배식이기 때문에 먹고 싶은 만큼 담아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몇몇 육류나 튀김같은 특식에 한해선 조리사 아주머니들이 직접 배식을 해주신다. 자칫하면 양이 모자랄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기숙사인 만큼 몇 가지 지원 자격이 존재하는데, [[안동시]] 거주자는 솔뫼관에 지원할 수 없다. ==== 가람관 ==== ||
[[파일:gr_front_1.jpg|width=100%]] || || {{{#13007D '''▲ 가람관'''}}} || 지상 12층, 지하 1층으로 이루어진 기숙사.[* 2024학년도부터 1~3층에 남학생들이 들어오게되면서 공용생활관으로 변경되었다.] 안동대학교 내에서도 독보적인 크기와 높이를 자랑하는 건물이다. 위치는 사회과학대학과 복지관 뒤편. 위 사진에서 보듯 워낙 [[존재감]]이 거대하다보니 학교 측에서 홍보물에 마르고 닮도록 우려먹는 [[건물]] 중 하나이다. 실제로 버스나 택시를 타고 가면서 [[학교]]에 점점 가까워진다는 것을 느끼는 때가 바로 육안으로 가람관이 보이는 시점이다. 각 호실은 1~3층 남 2인실, 4~6층 여 4인실, 7~10층 여 2인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내 기숙사 중 유일하게 [[2층 침대]]를 사용하고 있는 기숙사이기도 하다.[* 4인실인 4~6층에만 설치되어 있다.] 솔뫼관과는 달리 [[현관]]과 바닥의 구분이 뚜렷하므로 이 점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솔뫼관과 달리 현관에서 신발을 벗고 생활할 수 있다) 행정실과 관리실은 1층에 자리하고 있으므로 용무가 있는 사람은 이곳으로 가면 된다. 행정실 좌측 엘리베이터 2개 [* B1~12층 운행. 2,3,12층의 경우 정차하지않는다. 스카이라운지 이용학생은 11층에 내려서 한층 계단으로 올라가야함.] 는 여학생들이 사용하고 입구 택배함옆 엘리베이터 [* 1~3층 운행. 기존에는 스카이라운지 전용승강기로 사용되다가 한동안 운행하지않던 (방치된) 승강기였으나, 올해부터 남학생들이 들어오면서 여학생들과 승강기를 구분해야하므로 기존 방치승강기를 개선하여 남학생들이 사용할수있도록 운행. 하지만 지하까지 운행하지않고, 여학생들이 사용하는 엘리베이터 2대와 달리 교체를 한적이없어 매우 오래되었고 좁아서 불편하다는 문제가... 하지만 1~3층 여학생들은 엘리베이터를 아예 사용하지못하고, 4~6층 남학생들만 엘리베이터를 사용할수 있는 솔빛관의 경우보다는 그나마 낫다.]는 남학생들만 사용한다. 냉난방의 경우 솔뫼관과 마찬가지로 중앙제어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정된 시간에만 냉난방을 켜고 끌 수가 있으나, 난방의 경우 온수방열기 (라디에이터)를 사용하는 솔뫼관과 달리 가람관은 바닥난방방식이라 솔뫼관보다 덜 건조하고 훨씬낫다. ||
[[파일:garam12_2.jpg|width=100%]] || [[파일:garam12_3.jpg|width=100%]] || ||<-2> [[파일:garam12.jpg|width=100%]] || |||| {{{#13007D '''▲ 가람관 12층 스카이라운지'''}}} |||| 편의 시설은 솔빛관과 함께 교내 최고 수준이다. 특히 12층 꼭대기에 설치된 스카이라운지 [* 가람관 여학생전용층, 가람관생이더라도 남학생이거나 외부인일시 출입불가]는 환상적인 전망을 자랑하는데, 캠퍼스 전체 [[경관]]과 함께 근처 대학가까지 한 눈에 들어오는 탁 트인 시야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솔뫼관과 솔빛관에는 설치되어 있는 휴게실이 가람관에는 '''단 한 군데도 없다.'''] 스카이라운지의 경우 원래는 휴게실이 아닌 [[레스토랑]]으로 운영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이당시에는 가람관생이 아니더라도 현재 남학생들이 사용하는 전망엘리베이터를 타고 스카이라운지 (당시 레스토랑)에 올라갈 수 있었다. 그러나 건축법위반으로 한동안 폐쇄되었다가 영업목적이 아닌 휴식목적으로 운영을 변경하면서 안동소방서로부터 재개방허가를 받았고,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의 모습이 완성되었다. 1층에는 새벽 2시까지 운영하는 [[GS25]] 무인 편의점과 정독실이 위치해 있으며, 이외에 3층부터 10층까지 세탁실이 설치되어 있다. ||
[[파일:gr_food.jpg|width=100%]] || || {{{#13007D '''▲ 은기정'''}}} || 지하 1층에는 체력단련장과 식당인 은기정이 위치해 있으므로 학식을 먹거나 간단한 체력단련을 하고 싶으면 지하 1층까지 내려가면 된다. 이곳 은기정도 청기정과 마찬가지로 식비를 낸 사람에 한해 카드키를 찍어야 출입할 수 있다. 가람관 역시 [[안동시]] 거주자는 지원할 수 없다. ==== 솔빛관 ==== ||
[[파일:sb_front.jpg|width=100%]] || || {{{#13007D '''▲ 솔빛관'''}}} || 지상 6층, 지하 1층으로 이루어진 안동대의 유일한 [[민간투자사업#s-4.2|민자(BTL)]] 기숙사. 남녀혼성기숙사이며 전 층 호실에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솔뫼관의 경우 리모델링을 거치며 2동 일부 호실에 추가되었으며, 가람관은 발코니실이 아예 없다.] 가장 최근에 지어진 기숙사인 만큼 모든 기숙사 중 시설이 가장 깔끔하다. 각 호실은 2인 1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역시 현관과 바닥의 구분이 뚜렷하다. 다른 기숙사와는 달리 [[옷장]]이 발코니에 하나 더 설치되어 있으며, [[현관]]에 신발장이 설치되어 있어 [[신발]]을 수납하기 편하다. [[화장실]] 역시 두 명이 사용하는 것 치고 굉장히 넓어서 쾌적하게 쓸 수 있다. 냉난방의 경우 방마다 [[에어컨]]과 전기[[보일러]]가 설치되어 있는데, 특히 전기보일러의 경우 기숙사들 중 유일하게 중앙제어가 아니라서 관생 개개인이 마음대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도 냉방이 중앙제어인 것은 마찬가지이지만, 대신 다른 곳보다 시간을 널널하게 설정해준다. 보통 정오부터 다음날 새벽 3시까지 [[냉방]]을 사용할 수 있다.] 1층에는 [[CU]] 편의점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외에 행정실장실, 상담실, 휴게실, 체력단련실, 정독실, 회의실, 세탁실 등등 기타 시설이 전부 1층에 위치해 있어서[* 세탁실은 6층에 하나 더 있다.] 앵간한 문제를 해결하고 싶으면 1층으로 내려가면 된다. 지하에는 기계실이 있으므로 학생들은 사실상 내려갈 일이 없다. 식사의 경우 솔뫼관과 함께 쓰고 있는 [[식당]]인 청기정으로 가서 해결하면 된다. 이렇게나 생활하기 편한 만큼, 솔빛관은 다른 기숙사들과 달리 지원할 수 있는 자격조건이 나름 빡빡하다. [[신입생]]은 절대로 지원할 수 없으며, 재학생이거나 [[대학원]]생이면서 직전학기 성적이 B0 이상이거나 학과장 또는 지도교수가 추천한 학생에게만 지원 자격이 주어지므로 솔빛관에 입사하고 싶으면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 대신 여기는 [[안동시]] 거주자들의 지원도 허용하고 있으므로 관심 있는 사람은 한 번 고민해보는 걸 추천한다. === 박물관(舊 도서관) === ||
[[파일:img박물관.jpg|width=100%]] || || {{{#13007D '''▲ 안동대학교박물관'''}}} || 안동대학교의 [[박물관]]. 원래는 안동대학교 도서관 건물이었다. 정문 부근에 중앙도서관 건물이 신축되고 도서관이 이전한 현재는 박물관을 비롯한 다양한 기관이 들어서 있다. 1층에는 양식당과 [[맘스터치]], [[파리바게뜨]]가 입점해 있어 항상 사람들로 붐비며, 2층에는 취업창업진로본부와 대학일자리센터, 상담센터가 위치해 있다. 박물관은 3층과 4층에 자리하고 있는데, 3층의 상설 전시실과 4층의 특별 전시실로 나뉘어져 있다. 안동대 박물관의 시그니처라고 할 수 있는 [[이응태 묘 출토 편지]](일명 원이엄마 한글편지) 원본을 포함한 관련 유물 여러 점이 3층 상설 전시실에 전시되어 있으므로 관심 있는 사람은 한 번쯤 가볼 것을 추천한다. 5층에는 외국인 및 유학생들을 위한 라운지와 한국어학당, [[https://kongzi.andong.ac.kr/board/index.php|공자학원]][* [[중국]] 정부가 [[중국어]] 교육 및 중국의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사상]], [[일당 독재|체제]]와 [[중국/문화|문화]]를 전파·홍보하여 대외적 [[소프트 파워]] 영향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설립한 기관.]이 들어서 있다. 박물관 뒷편으로 나오면 야외전시장이 자리하고 있다. 원래는 박물관 앞에 위치해 있었으나 학교 측이 해당 부지를 새롭게 [[정비]]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jsessionid=kxXfeipkmtX48GnJcNxFrqU9ASIYCsWlTDpzhQM5L3YhF6vt7VB568XwkmSZ3TCU.cpawas_servlet_engine1?pageNo=1_1_1_0&ccbaCpno=3413700190000|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9호 안동석사자]] 2점을 포함해 안동 곳곳에 흩어져 있던 석조 유물 40여점을 한데 모아 전시하고 있다. ==== 역동서원 ==== ||
[[파일:1058129_341136_3652.jpg|width=100%]] || || {{{#13007D '''▲ 역동서원'''}}} || 경상북도 기념물 제146호로 지정된 '''안동 최초의 [[서원]].''' 현재 안동대학교 내에 위치하고 있다. 1570년 [[퇴계 이황]]의 발의로 역동(易東) 우탁(禹倬)[*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 [[충선왕]]이 아버지 [[충렬왕]]의 후궁과 통간하자 지부상소를 날린 것으로 유명하다.]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창건되었다. 1684년에는 [[숙종(조선)|숙종]]으로부터 현판을 내려받은 사액 서원의 자리에 올랐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1868년 철거된다. 이후 1969년 11월 현 위치에 복원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안동대학교가 현 위치인 송천동으로 이전한 것이 1983년이니 안동대보다 14년 먼저 이 자리를 지켜오고 있던 셈. 안타깝게도 [[숙종(조선)|숙종]]으로부터 사액받은 현판은 유실되었지만, 다행히 [[퇴계 이황]]의 친필 현판은 온전히 보존되어 지금도 역동서원 내에 걸려 있다. 현재 역동서원의 관리는 안동대학교박물관에서 총괄하고 있다. === 중앙도서관 === ||
[[파일:1054270_335966_3421.jpg|width=100%]] || || {{{#13007D '''▲ 중앙도서관'''}}} || '''[[https://lib.andong.ac.kr/#/|안동대학교 도서관 홈페이지]]''' 안동대학교의 [[도서관]]이다. 현재의 건물은 2005년 신축한 것으로, 원래는 지금의 박물관 건물을 도서관으로 사용했다. 정보화시대에 걸맞게 리뉴얼이 잘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80만 권이 넘는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도 꾸준히 장서량을 늘리고 있다. 또한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4270|2018년 전국 대학도서관 평가에서 상위 20%의 등급을 받을 정도로]] 준수한 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자료 대출을 위해선 [[학생증]] 또는 도서관 어플에서 발급하는 모바일도서관이용증이 필요하다. 없으면 [[대출]]이 불가하므로 도서관에 갈 때마다 잊지 말고 꼭 챙겨가야 한다. 반납의 경우 각 층에 설치된 도서대출반납기를 이용하면 된다. 또한 도서관 입구에 무인반납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만약 폐관 시간을 넘어 도서관에 도착하더라도 무인반납기에 자료를 반납하면 되니 너무 걱정하지 말자. 대신 반납 일자는 꼭 지켜야 한다. 만약 자료를 반납하지 않고 [[졸업]]이라도 할 경우 모든 제증명 서류 발급이 중단된다. 대출 자료는 1회에 한해 [[연장]] 가능하며, 반납 예정일 5일 전부터 연장이 가능하다. 자신이 찾는 [[자료]]가 어디 있는지 도저히 모르겠으면 각 층에 설치된 자료검색대를 이용하면 된다. 해당 자료의 정확한 위치와 남은 수량을 친절히 알려줄 것이다. 특이하게도 도서관 입구가 2층에 위치해 있는데, 이는 전체적으로 경사진 학교의 지반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1층은 2층의 출입구가 아닌 별도로 마련된 출입구를 통해 들어가야 한다. 1층에는 일반열람실과 제2, 3보존서고, 그리고 '''핸즈 커피'''라는 이름의 [[북카페]]가 자리하고 있다. 2층에는 전자정보실과 나눔터, 리브 스퀘어(Lib. Square)라는 학습라운지가 위치해 있는데, 특히 리브 스퀘어의 경우 개인학습실과 토론방, 콩모양 소파(bean bag) 등 다양한 시설을 조성하여 학생들의 편안한 쉼터가 되고 있다. 전자정보실의 경우 입구로 들어서서 검색대를 통과하면 바로 왼쪽에 자리하고 있는데, 이곳어서는 [[최신]] DVD와 CD 등 수많은 영상자료를 대출하고 그 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8대의 [[컴퓨터]]와 4석의 영화코너를 마련해 두었으나... 이용객이 적다. 많이 애용하도록 하자.[* 2022년 6월 기준 '''[[이터널스]],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더 배트맨]], [[엔칸토: 마법의 세계]],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 등 여러 최신 영화와 애니메이션을 대출해서 감상할 수 있다.] 나눔터에는 연속간행물(학술지, 교양잡지, 신문 등)등을 비치하여 학생들이 자유롭게 읽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5층에는 만화열람실이 위치해 있는데, [[식객(만화)|식객]], [[신과 함께]], [[D.P 개의 날]] 등 많은 양의 한국 만화와 웹툰 단행본, 그리고 소수의 일본 만화책이 구비되어 있다. === 종합스포츠센터 === ||
[[파일:안동대 종합스포츠센터.png|width=100%]] || || {{{#13007D '''▲ 종합스포츠센터'''}}} || '''[[http://sports.andong.ac.kr/|종합스포츠센터 홈페이지]]''' 2012년 11월 개관한 평생교육원 산하 시설. 학교에서 가장 높고 구석진 지대에 자리하고 있다. [[학교]] 자체가 [[산]]을 깎아 들어가면서 세워진 터라 전체적으로 [[경사]]가 상당한데, 기어이 저 위쪽까지 꾸역꾸역 기어올라가 지어놨다. 때문에 [[햇빛]]이 사정없이 내리쬐는 [[한여름]] 대낮에는 학생들의 접근이 매우매우 힘들다. 2013년 3월에 [[수영장]]이 완공된 이후로는 주로 학교 주변 및 안동 시내 주민들이 애용한다. 게다가 직원들 통근버스까지 종합스포츠센터 셔틀버스로 쓸 정도면 학교에서 엄청 신경쓰는 듯하다. 하루 4번 셔틀버스가 왕복 운행하는데 심심하면 변동되니 수시로 사이트를 참고하자. 각 개설 [[프로그램]] 별 가격은 다음과 같다. ||<-10> {{{#fff '''종합스포츠센터 가격 정보'''}}} || ||||<|2> {{{#fff '''종목'''}}} |||||||| {{{#fff '''단기과정(1개월)'''}}} |||||||| {{{#fff '''정규과정(3개월)'''}}} |||||||| || {{{#fff '''재학생'''}}} || {{{#fff '''교직원'''}}} || {{{#fff '''구성원'''}}} || {{{#fff '''일반'''}}} || {{{#fff '''재학생'''}}} || {{{#fff '''교직원'''}}} || {{{#fff '''구성원'''}}} || {{{#fff '''일반'''}}} || || {{{#fff '''골프 아카데미'''}}} |||| '''70,000''' || '''90,000''' || '''100,000''' || '''110,000''' || '''210,000''' || '''270,000''' || '''300,000''' || '''330,000''' || || {{{#fff '''수영 아카데미'''}}} |||| '''60,000''' || '''70,000''' || '''75,000''' || '''80,000''' || '''180,000''' || '''210,000''' || '''225,000''' || '''240,000''' || || {{{#fff '''탁구 아카데미'''}}} |||| '''45,000''' || '''50,000''' || '''55,000''' || '''60,000''' || '''135,000''' || '''150,000''' || '''165,000''' || '''180,000''' || || {{{#fff '''헬스 아카데미'''}}} |||| '''30,000''' || '''35,000''' || '''40,000''' || '''45,000''' || '''90,000''' || '''105,000''' || '''120,000''' || '''135,000''' || || {{{#fff '''필라테스 아카데미'''}}} |||||||| '''40,000''' || '''45,000''' |||||| '''120,000''' || '''135,000''' || || {{{#fff '''헬스 PT 아카데미'''}}} |||||||||| '''66,000''' |||||||| '''198,000''' || 특이하게도 교직원이 아닌 재학생 가격이 제일 저렴하다. 만약 자신이 이런저런 이유로 종합스포스센터까지 가는 게 부담된다면 정보통신원 체력단련장을 추천한다. 창의융합학부 맞은편에 자리하고 있어서 종합스포츠센터보다 [[접근성]]이 좋다. ==== 주요 시설 ==== ||
[[파일:facilities_golf_03.png|width=100%]] || || {{{#13007D '''▲ 골프연습장'''}}} || ||
[[파일:facilities_swimming_01.png|width=100%]] || || {{{#13007D '''▲ 수영장'''}}} || ||
[[파일:facilities_fitness_05.png|width=100%]] || || {{{#13007D '''▲ 헬스장'''}}} || ||
[[파일:facilities_gx_01.png|width=100%]] || || {{{#13007D '''▲ GX룸'''}}} || === 식당과 매점 === 교내 식당은 총 2곳이 존재한다. 학생회관 1층의 이룸관과 채움관, 박물관 1층의 양식당이 그것이다. (아래 목록은 현재 영업중인 곳과 폐업한 곳 모두 작성함.) * '''이룸관(학생식당) / 채움관(교직원식당)''' 점심시간에 가장 많은 학생이 몰리는 곳이다. 여기서는 플라스틱 식판에 급식 형태로 나오는 식단이 제공된다. 그래도 먹을 만한 반찬도 많고 가격도 싸서 (2023년 기준 5,500원.)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많이 간다. 다만 점심과 비교하면 저녁 시간대에는 사람이 많이 적다. 메인반찬과 국을 제외하고는 자율배식이다. 바로 옆에는 교직원식당이 있으며 교수, 교직원 전용으로 이용되나, 학생의 출입도 가능하다. 메뉴는 학생식당의 메뉴에 + 알파로 알려져 있다. 물론 가격도 더 비싸다(학생식당보다 500원 더 비싸다). 2015년 2월 학생회관이 리모델링되면서 기존 박물관 1층에 위치한 학생식당을 기존 분식당 위치로, 교직원식당을 기존 1식당 위치로 이전했으며 공모전을 통해 학생식당 이름을 이룸관으로, 교직원식당을 채움관으로 이름지었다. 이전하면서 가격을 즉석식권 기준으로 이룸관은 3,800원, 채움관은 4,000원으로 인상했다. 전자식권카드 사용 시 이룸관은 300원, 채움관은 200원 할인된다. 기존에 학생식당에서 저녁 식단을 운영하던 것을 채움관으로 옮겨 운영하게 된다. 따라서 이룸관은 점심시간만 운영하게 됐으며 대신 점심시간 전후로 떡국정식, [[샌드위치]], [[핫도그]], [[감자튀김]] 등을 판매하기로 했으나, 2015년 3월 3일 기준으로 전자식권으로 사 먹을 수 없어서 식권을 발권해야 한다. 또, 기존에 소비자생활협동조합에서 계좌이체 방식으로 판매하던 통학버스 1일권 판매를 채움관에 비치된 발권기로 판매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요일별로 판매하게 돼 있으니 신중하게 선택해서 사야 한다. 2016년까지는 정식류 외에 판매하는 간식메뉴로는 불고기버거, 치킨버거, [[떡국]], [[떡볶이]], [[순대]], [[핫도그]], [[유부초밥]], [[감자튀김]], 에그샌드위치도 판매했으나, 파리바게뜨와 맘스터치가 박물관에 입점하면서 2017년 9월 현재 간식메뉴는 판매하고 있지 않다. * '''양식당''' 박물관 1층 [[맘스터치]] 옆자리에 자리한 식당. 복지관 1층의 나눔관이 폐쇄되면서 일부 양식 메뉴를 이곳에서 판매하게 되었다. 아래는 양식당 대표메뉴와 가격표이다. || {{{#fff '''{{{+1 대표메뉴}}}'''}}} || {{{#fff '''{{{+1 가격}}}'''}}} || || {{{#fff '''치킨까스'''}}} || '''4,200원''' || || {{{#fff '''등심돈가스'''}}} || '''4,800원''' || || {{{#fff '''치즈돈가스'''}}} || '''5,000원''' || || {{{#fff '''순대국밥'''}}} || '''4,500원''' || || {{{#fff '''돼지불고기덮밥'''}}} || '''4,000원''' || || {{{#fff '''참치마요'''}}} || '''3,500원''' || || {{{#fff '''라면'''}}} || '''2,500원''' || || {{{#fff '''공기밥'''}}} || '''1,000원''' || 특이사항으로 음식을 주문할 시 [[맘스터치]] 식권과 양식당 [[식권]]을 같은 [[키오스크]]에서 주문 가능하다. 다만 양식당은 식권을 바로 [[조리사]] 아주머니한테 내야 한다는 주의사항이 있다.[* 안그러면 주문이 들어가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아주머니가 직접 육성으로 메뉴 이름을 부르는데, 위에서 보듯 워낙 [[메뉴]]가 한정적이라 가끔 자기 음식으로 착각하고 가져가는 오배송 사고가 터지는 경우도 왕왕 있다. 물론 이를 이용하여 일부러 남의 음식을 모른 척 가져가는 악질도 있는데 하지 말자. [[범죄]]다. * '''[[파리바게뜨]]/[[맘스터치]]''' 명실상부 안동대 최대 핫플(?). 교내에 자리잡은 유이한 [[프렌차이즈]] 업체다. 박물관 1층에 위치하고 있다. * '''[[GS25]]''' 교내에 자리한 [[편의점]]. 현재 GS25는 총 2곳에 위치해 있는데, 한 곳은 복지관 2층이고 다른 한 곳은 학생회관 1층이다. 평소에는 [[무인]] 매장으로 운영되나 가끔 관리하는 아주머니가 들어오기도 한다. === 편의시설 === * '''[[신한은행]] 안동대학교출장소''' :복지관 2층에 위치해 있다. ATM기는 학생회관 2층, 신도서관 1층, 복지관 2층, 종합연구동 공학교육혁신센터 1층에 설치되어있다. * '''안동대학교 [[우편취급국]]''' :복지관 2층에 위치해 있다. ATM기는 복지관 1층에 설치되어있다. * '''안동 출입국 센터''' :복지관 2층에 위치한 대구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산하 기관. 주로 유학생이나 외국인 교수들이 많이 이용한다. * '''[[농협]] ATM''' : 복지관 1층에 설치되어 있다. * '''보건진료소''' : 복지관 1층에 자리하고 있다. 병원에 갈 정도는 아닌데 당장 처치하지 않으면 곤란한 상처는 여기서 해결하면 된다. 기본적인 의약품을 받거나 간단한 치료도 가능하고 금연상담도 할 수 있다. * '''안경점, 미용실, 잡화점, 구내서점''' : 복지관에 위치...했으나 2022년 기준 안경점과 잡화점을 폐업했고, 현재 운영 중인 시설은 복지관 2층의 미용실과 지하 1층의 구내서점이다. == [[안동대학교/동아리|동아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동대학교/동아리)] == 교통 == === [[안동시 시내버스|시내버스]] === ||<-2> {{{+1 {{{#373a3c,#c3c6c8 '''안동대학교(540410)'''}}}}}} {{{#!wiki style="text-align: left" * 시내 방면}}} || || {{{#ffffff 급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39; font-size: .95em" [[안동 버스 급행1|{{{#ffffff 급행1}}}]]}}} || || {{{#ffffff 일반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0081; font-size: .95em" [[안동 버스 110|{{{#ffffff 11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0081; font-size: .95em" [[안동 버스 212|{{{#ffffff 212}}}]]}}} || ||<-2> {{{+1 {{{#373a3c,#c3c6c8 '''안동대학교(542045)'''}}}}}} {{{#!wiki style="text-align: left" * 안동대 종점 하차장}}} || || {{{#ffffff 급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39; font-size: .95em" [[안동 버스 급행1|{{{#ffffff 급행1}}}]]}}} || || {{{#ffffff 일반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0081; font-size: .95em" [[안동 버스 110|{{{#ffffff 11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0081; font-size: .95em" [[안동 버스 212|{{{#ffffff 212}}}]]}}} || ||<-2> {{{+1 {{{#373a3c,#c3c6c8 '''안동대지역협력관(540484)'''}}}}}} {{{#!wiki style="text-align: left" * 임하 방면}}} || || {{{#ffffff 일반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0081; font-size: .95em" [[안동 버스 212|{{{#ffffff 212}}}]]}}} || ||<-2> {{{+1 {{{#373a3c,#c3c6c8 '''안동대인문학과앞(540411)'''}}}}}} {{{#!wiki style="text-align: left" * 시내 방면}}} || || {{{#ffffff 일반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0081; font-size: .95em" [[안동 버스 212|{{{#ffffff 212}}}]]}}} || ||<-2> {{{+1 {{{#373a3c,#c3c6c8 '''안동대학교(540048)'''}}}}}}[* 안동대 바깥 논골 입구에 있는 정류소다.] {{{#!wiki style="text-align: left" * 시내 방면}}} || || {{{#ffffff 일반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0081; font-size: .95em" [[안동 버스 212|{{{#ffffff 212}}}]]}}}[* 임하발 도청행 경유. 안동대 내부에 진입하지 않는다.] || || {{{#ffffff 읍면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2; font-size: .95em" [[안동 버스 412|{{{#ffffff 41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2; font-size: .95em" [[안동 버스 413|{{{#ffffff 41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2; font-size: .95em" [[안동 버스 610|{{{#ffffff 61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2; font-size: .95em" [[안동 버스 611|{{{#ffffff 61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2; font-size: .95em" [[안동 버스 612|{{{#ffffff 612}}}]]}}}|| ||<-2> {{{+1 {{{#373a3c,#c3c6c8 '''안동대학교(540074)'''}}}}}}[* 안동대 바깥 논골 입구 맞은편에 있는 정류소다.] {{{#!wiki style="text-align: left" * 길안/임동 방면}}} || || {{{#ffffff 일반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0081; font-size: .95em" [[안동 버스 212|{{{#ffffff 212}}}]]}}}[* 도청발 임하행 경유. 안동대 내부에 진입하지 않는다.] || || {{{#ffffff 읍면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2; font-size: .95em" [[안동 버스 412|{{{#ffffff 41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2; font-size: .95em" [[안동 버스 610|{{{#ffffff 61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2; font-size: .95em" [[안동 버스 611|{{{#ffffff 61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2; font-size: .95em" [[안동 버스 612|{{{#ffffff 612}}}]]}}}|| || {{{#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fbe26; font-size: .95em" [[안동 버스 임동1|{{{#ffffff 임동1}}}]]}}} || ||<-2> {{{+1 {{{#373a3c,#c3c6c8 '''안동대학교후문(540537)'''}}}}}} {{{#!wiki style="text-align: left" * 시내 방면}}} || || {{{#ffffff 읍면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2; font-size: .95em" [[안동 버스 611|{{{#ffffff 611}}}]]}}} || ||<-2> {{{+1 {{{#373a3c,#c3c6c8 '''안동대학교후문(540483)'''}}}}}} {{{#!wiki style="text-align: left" * 임동 방면}}} || || {{{#ffffff 읍면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2; font-size: .95em" [[안동 버스 611|{{{#ffffff 611}}}]]}}} || || {{{#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fbe26; font-size: .95em" [[안동 버스 임동1|{{{#ffffff 임동1}}}]]}}} || 송현동 [[안동역]], [[안동터미널]]에서 시내버스로 40~50분가량 소요된다.[* 2013년부터 11번이 안동터미널 경유로 바뀜에 따라 학교에서 터미널 가기가 훨씬 빨라졌으며, 운흥동 시절에는 시내버스로 15분~20분 가량 소요되었다.] 그나마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많다. 다만 학내로 들어가는 노선은 [[안동 버스 110|110]]번과 [[안동 버스 212|212번]], [[안동 버스 급행1|급행1번]]이며[* 해당 노선들의 동쪽 종점이 국립안동대학교이며, 서쪽 종점은 [[경북도청이전신도시]]다. 또한 212번의 일부는 임하까지 연장운행을 하기도 하며, 정문 왼쪽 대운동장 근처에 회차지와 정류소가 마련되어 있다. 근데 이 회차지가 말만 그렇게 했지 사실 대운동장 옆 길가에 노상주차하는 수준이다. 기사 편의시설도 없고 화장실은 대운동장 옆 체육관에서 자판기는 길 건너 신도서관 1층 열람실 앞 자판기를 쓰는 현실이다.][* 2018년 1월 1일부터 [[안동 버스 240|40번]]은 노선이 교보생명 앞으로 단축되어서 더 이상 들어오지 않는다.] [[안동 버스 412|412번]], [[안동 버스 413|413번]], [[안동 버스 610|610번]], [[안동 버스 611|611번]], [[안동 버스 612|612번]], [[안동 버스 임동1|임동1번]] 등은 정문 앞을 통과만한다. [[안동터미널]]에서 학교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110번 기준 평균 50분소요, 212번 기준 35분이 소요된다. 급행1번은 212번보다 5분정도 빠르다. 요금도 똑같으나 배차간격이 평균 1시간 정도로 길다. 급행은 시외버스랑 가는 길이 똑같다. 옥동을 가려면 110번을, 시내나 송현동을 가려면 212번을 타는 것이 좋다. 등교 시간대 110번 및 212번은 대도시의 출퇴근 시간대 시내버스만큼 혼잡하다. 다만 이것은 08시 30분부터 10시 한정이며, 학교로 들어오는 노선이 11번 하나 뿐이었던 2011년 1월 이전에는 지금보다 훨씬 막장이었다. 대도시에서나 볼 수 있는 승강장 무정차통과가 자주 벌어졌다. 오후 8시 이후에는 6~7회 정도 운행되는 야간 시내버스를 제외하면 밤 11시 20분경부터 다음날 새벽 6시까지는 [[오지(지리)|콜택시를 제외한 모든 대중교통수단이 끊어져 고립된다.]] 정하동(강남동)에 가려면 용상에서 환승해, [[안동 버스 순환2|순환2번]]을 타야한다. 배차가 20분 간격이니 시간을 알아보고 타는게 좋다. === [[시외버스]] === [include(틀: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 시외버스 외에도 안동 시내버스 412번, 610번, 611번, 612번, 임동1번 등 학교 내를 경유하지 않는 노선들도 학교 앞 큰길(논골 맞은 편)에 정차한다. [[동서울터미널]], [[대구북부정류장]]에서 시외버스를 타고 학교까지 올 경우 대부분의 노선이 [[안동터미널]]을 거쳐 학교 정문 건너에서 내려준 후 영덕, 영양 등 최종 목적지까지 가는 경우가 많으며[* 정문 건너에서 하차만 가능하며 승차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반대편 방향으로 가는 버스를 탈려면 [[안동터미널]]까지 가야한다.] [[포항터미널]]에서 올 경우에는 [[안동터미널]]에 도착하기 전에 학교 정문 앞에서 내려주며 반대로 안동터미널에서 포항으로 갈 때도 정문 건너 정류소에서 중간 정차를 한 뒤에 포항으로 간다.[* 다만 유의할 점이 있다면 포항서 안동 오는 버스는 영덕을 경유하는 시간대와 35번 국도 무정차 시간대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시간표를 확인 해서 승차 해야 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보통 버스기사들이 타라고 하면 무정차, 타지마라고 하면 경유 시간대의 버스이다.] 참고로 안동터미널에서 학교까지 시내버스를 타고 올 경우에는 40분이 소요되지만, 시외버스를 타고 오면 20분만에 학교 정문 건너까지 올 수가 있다. 그렇지만 워낙 배차가 터미널-안동대는 사실상 5분수준이라 시내버스가 매우 유리하다.[* 당연하겠지만 요금이 약간 비싸다. 시내버스는 현금 기준 1,200원, 시외버스는 1,700원.] 아래는 정문 앞 시외버스 정류장에서 승하차가 가능한 행선지 목록들. 승하차 모두 가능 * [[포항터미널|포항]](무정차, 영덕 경유로 나뉨) * [[청송]](진보, 청송, 주왕산) * [[영덕군|영덕]](진보면 경유)[* 무정차는 [[서산영덕고속도로]] 개통 이후 통과하지 않는다.] * [[영양군|영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후 수비행은 운행이 중단되었다.] 하차만 가능 * [[동서울터미널|동서울]](평균 배차간격 60분, [[시외버스 동서울-영해,영양,주왕산]] 참조.) * [[북부정류장|북대구]](평균 배차간격 30~60분 [[시외버스 대구북부-안동]] 참조.)[* 북부정류장에서 학교까지 직통버스를 타고 온다면 평균 1시간 30분 소요. 비록 돈이 6백원 더 나가긴 하지만 안동터미널에 내려서 시내버스를 갈아타고 오는거보다 소요시간이 30분 가량 단축된다. 가끔씩 경북고속에서 우등형 차량을 넣어주는 때도 있다.] * [[안동터미널]](안동초교, 용상동 포함)[* [[경북고속]]과 [[아성고속]]이 운행하는 시간대만 가능하다. [[KD 운송그룹]]도 운행 해주긴 하지만 버스기사가 90%의 확률로 싫어한다. 물론 동서울터미널에서 승차한 경우는 당연히 정차시켜준다.] === 철도 === ||
[[파일:안동역.jpg|width=100%]] || || {{{#13007D '''▲ 중앙선 안동역'''}}} || [[2020년]] 12월 [[중앙선]] 전철화 작업을 거쳐 [[청량리역]]으로 가는 [[KTX-이음]]이 신설되면서 서울과 접근성이 매우 좋아졌다. 안동에서 청량리까지 2시간밖에 걸리지 않으며, [[2022년]] 말 복선화까지 완료되면 1시간 30분대로 단축된다. 또한 안동 이남 노선의 복선전철화를 통해 부산과의 접근성도 매우 좋아질 예정이다. == 역대 총장 == [include(틀:국립안동대학교 총장)] == 대학가 == 학교 주변 원룸촌은 솔뫼와 논골 그리고 하리가 있으며 술집, 원룸수준, 식당 및 기타 시설의 선호도는 솔뫼>>논골>>[[넘사벽]]>>하리. 2003년 이전엔 정반대였다는 것이 믿기지 않지만 사실이다. 원래 대학로는 논골 하나였으며 2003~4년경에 솔뫼가 지금의 모습으로 발전한 것이다. 왜냐하면 논골엔 일반 주택가와 논밭 때문에 더 이상 상가나 원룸이 들어설 자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원룸의 가격은 건물의 위치, 방의 수준, 세금유무, 심야전기/온수 유무 등에 따라 천차만별이며 가장 싼 방은 1년에 80만원대 (하리) 1년에 60만원(솔뫼), 가장 비싼 방은 1년에 400만원대(솔뫼에서도 가람관 및 공대에서 가까운 지역 한정)를 호가한다. 특히 겨울방학 끝날 시즌에 기숙사는 들어가기 싫거나 떨어진 사람들은 대학가 주변에 자취방을 구하는데, 이때 호객행위를 조심하자. 차에서 내리면 곧바로 빈방이 많은 주인집 아주머니가 내앞으로 오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솔뫼 === 지도를 보았을 때 안동대학교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2003~4년까지는 그저그런 평범한 시골동네에 불과했으나 이후 발전하여 지금은 안동대 대학가의 중심지이다. 가장 많은 술집과 식당이 위치하고 있으며 원룸들의 수준과 가격대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다. 사회대, 공대, 자연대, 예체능대 학생들의 자취율이 높다. 2015년 들어 잦은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 가을에는 동진 가든앞에서 묻지마 폭행이 발생했고 2015년 5월 즈음에는 근처에 사는 한 남자가 여학우들의 방을 기웃거린다는 제보가 있었다. 2016년 9월 기준 점점 다양한 음식점들이 들어오고있다. PC방은 기존 2개에서 4개로 늘어났다. 이제 어느 PC방에서 자리가 없어 PC를 못하는 상황은 줄어들었다. 2019년 1월 기준 PC방은 5곳으로 늘어났고, 노래방은 동전 노래방을 포함해 총 4곳이다. 편의점만 총 5곳이며[* 교내편의점까지 합치면 무려 9곳이다.] 카페도 너무 생기고 있어 불만이 있는 상황이며 새로 생겼다하면 술집과 카페가 대다수다. 주변에 상가가 많이 없다보니, 가게들이 독점운영을 한다는 의견이 많다. 최저시급 미지급, 음식의 위생(벌레, 그물, 머리카락 등)문제[* 이 마저도, 원래 해산물에 그물이 딸려온다는 등, 제대로 사과를 안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건물이 5층이라 배달을 거부한다거나, 기본으로 반말 응대를 하는 가게가 있어, 타지역 사람들이 방문하고 당황하는 일이 다수 있는 편이다. 모 가게는, E 커뮤니티에 이런 사실과 관련한 글을 쓴 학생을 대상으로 명예훼손으로 고소했으나, 경찰 에서는 불송치결정을 했다.[* 2021년 부터는 개정법으로 인해 위로 송치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 되는 경우, 경찰에서 검찰로 사건 송치를 하지 않고 1차 수사 종결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해당 가게는 이 사건 이전에도 소문이 좋지 않았다고 한다.][* 이 학생은 동아리에 대한 허위사실 유포로 동아리에서 쫓겨났다고 한다.] === 논골 === 지도를 보았을 때 국립안동대학교의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2003~4년까지는 국립안동대학교의 거의 유일한 대학가였으나 지금은 중심지 기능이 솔뫼로 넘어간 상태다. 그렇지만 인문대, 사범대, 자연대와 가깝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그런대로 대학가가 유지되고 있다. 주로 인문대, 사범대 학생들이 자취하는 경우가 많아 원룸이 모여있다. 최근에는 나름 인기있는 술집들이 몇개가 있어 나름 사람들이 모인다. === 하리 === 지리적으로는 솔뫼와 인접해있으며, 주로 송천초등학교를 기준으로 그 서쪽 동네를 가리킨다. 거리가 꽤나 멀어서 오죽하면 동쪽의 논골보다도 [[용상동]]과 더 가까울 지경이다. 안동[[향교]]가 위치한다. 도보로 아침 1교시 수업을 나가는 학생에게는 죽음이다. 이곳에 거주하는 계층은 수업이 적은 4학년 학생이나 대학원생, 아니면 이도저도 모르고 가격만 보고 들어온 1학년 학생이 많다.[* [[청송교도소]]에 근무하는 교정직 공무원들이 의외로 많이 산다. 청송의 비싼 월세 + 관사 생활 비선호가 겹친 결과로, 안동대가 청송, 영양으로 나가는 길목에 있기에 가능하다. 실제로 이 일대를 지나는 자동차 전용 도로를 이용하면 청송까지 4~50분이면 닿는다.] == 여담 == === 경북도립대학교 통합 추진 === 현재 [[예천군]]에 있는 [[경북도립대학교]]와의 통합이 추진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014207?sid=102|#]] 이후 5월 30일 경북도립대와 대학 통합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47408|체결]]했으며, [[글로컬대학 30]] 사업에 2025년 안동대와 경북도립대 양교간 통합을 전제로 신청서 제출까지 했다. 그리고 2023년 6월 20일 글로컬대학 30 사업에 예비 지정 15개교 안에 들면서 통합 추진에 더욱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3062010063078308|#]] 2023년 11월 13일, [[경북도립대학교]]와 공동으로 신청한 [[글로컬대학 30]]에 최종 선정되었다. 2025년 3월 국공립대 통합 출범을 목표로 공공형 대학 혁신모델을 추진할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97030&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예정이다]]. 2024년 6월 10일 [[경북도립대학교]]와 통합을 교육부가 최종 승인하면서 이문서의 [[안동대]]는 그대로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경북도립대학교]]도 사라진건 마찬가지 새 교명은 [[국립경국대학교]] 이다.[* [[경도대]] 역시 경상북도란 대학교 이름 명칭을 사라지게 하면서 두 대학교는 기존이름을 가져오지 않고 이로써 기존 앞 상징을 버리고 새롭게 출발하는것을 증명하였다.] === 여담 === * 학교 위치상 근처에 논밭이 엄청나게 많은데, [[유기농]] 덕분인지 밤만 되면 퇴비 냄새가 교내에 진동한다. 여기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4년 내내 불평을 쏟아낸다. 근처에 논밭, 학교 뒤에 산[* 학교 자체도 비탈진 걸 봐서 산 아랫부분을 깎아 만든 듯.]이라 매우 자연친화적이다. 모 교수의 증언에 따르면 학교 뒷산에 [[등산]]을 갔는데 [[고라니]]가 나왔다나 머라나? 13년 1학기에는 학생회관 건물에 고라니가 출몰해 유리문하고 싸우다 사라졌다는 설도 있다. 뒷문 근처에선 [[뱀]]도 나온다. 죽은 것도 아니고 산 것. 물론 단 1번 뿐이지만... 최근 2번째 뱀을 목격했단다. 역시 [[유혈목이]]. 3번째 발견 역시 어린 유혈목이였다. 유혈목이가 주로 서식하는 모양. 그리고 자취하면서 밤에 문을 열어 두면 갖은 벌레가 다 모여드는데, 모 재학생에 의하면 줄무늬물방개까지 목격했단다. 길가다 죽은 [[물방개]]도 봤고, [[개구리]]도 있다. [[청개구리]]도 그럭저럭 보인다. 다만 [[참개구리]]는 별로 안 보이는 듯. [[무당개구리]]는 하리 지역에서 열심히 [[로드킬]] 당하는 중이다. [[양봉업]]을 하는 탓인지 [[꿀벌]]과 [[말벌]], [[호박벌]], [[맵시벌]] 등 다종 다양한 [[벌(곤충)|벌]]들이 서식 중이다. 양봉업 정말로 한다. 농장에서 산책로로 가는 근방에 보면 양봉을 하는 게 보인다. 식물의학과에는 양봉학 강의도 개설되어 있고... 여름과 가을에는 밤마다 마을로 내려오는 [[멧돼지]]를 쫓기 위해 폭약을 터트리니 놀라지 말자. 도시권에서 내려온 저학년생들은 볼 때마다 놀라지만, 수년간 지내면서 익숙해진 고학년들이나 원래 시골에서 살다 온 학우들은 그냥 그러려니 하면서 지나간다. * 동양철학과에서 [[유학(학문)]], 불교학, 도가사상을 연구한다. 전임교원이 4명이나 있다. * [[안동]]이라는 도시 자체는 [[경상도]]답게 [[불교]] 또는 [[유교]]의 영향이 강한 도시인데, 안동대 주변 대학가만은 예외적으로 [[기독교]]의 세가 매우 강한 지역이며, 불교나 유교는 크게 힘을 쓰지 못하는 지역이다. 어느 정도냐면 동네에서 영업하거나 거주하는 사람들의 '''절대 다수'''가 솔뫼 한복판에 위치한 송천교회 신도일 정도다. * [[카자흐스탄]] [[알마티]]의 알마티공대에 국립안동대학교 알마티캠퍼스가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609807|링크]] 학부 과정은 아니고 석박사 과정이라고 한다. * 가끔 솔뫼계단 앞에서 [[증산도]]와 [[환단고기]]를 나눠 주는 전도집단이 출몰한다. 자동차공장과 종합연구동 근처와 어학원 근처에서는 교회 사람들의 전도가 종종 있다. * 국립안동대학교 총학생회의 권기창[* 現 안동시장] 예비후보자 지지를 비판하는 유기명 대자보가 지난 3월 20일에 붙었었다. * 2018년 11월 26일 17년만에 정상적인 절차를 통한 학생회칙 개정이 이뤄졌다. 이 날 열린 학생총회에 전체학생의 30.37%인 1,716명이 참석하여 이중 1,166명의 찬성으로 학생회칙 개정안이 가결됐다. * 2020년 7월, 경북도청 신도시에 AI융합관과 평생교육원, 기업 타운을 조성하고 이와 함께 공공 [[의대]] 건립과 [[간호학과]] 이전을 추진해 2026년 3월부터 780명의 학생을 유치한다는 제2캠퍼스 계획안을 [[경상북도]]에 제출했다. 물론 다른 지역의 타 대학들도 공공의대를 놓고 경쟁할 것이 뻔하기 때문에 공공의대 유치가 실현이 될지는 미지수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655883|기사]] 당장 [[경상북도]]에서만 안동대 말고도 [[포항공과대학교]]도 의과대학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 [[안동MBC]] 보도에 따르면 2021학년도에 신입생 정원의 3/4 밖에 못 채웠으며,[[http://www.andongmbc.co.kr/main/news/news_view.php?num=50396&sfl=TITLE&stx=%EC%95%88%EB%8F%99%EB%8C%80|#]] 전국 국립 대학교 중에서 신입생 충원율이 꼴찌라고 한다. [[http://www.andongmbc.co.kr/main/news/news_view.php?num=50936&sfl=TITLE&stx=%EC%95%88%EB%8F%99%EB%8C%80|#]] * [[2021년]] [[6월 19일]]부터 방송하는 [[송강]], [[한소희]] 주연의 드라마 '''[[알고있지만,]]'''의 촬영지이다. * 학교 광고 영상이 상당히 병맛이다. [[https://m.youtube.com/watch?v=bTyZNNqgT8A|#]] * [[큐브엔터테인먼트]]와 업무협약을 맺고 있는데, 2024학년도부터 학교 홍보 모델로 [[LIGHTSUM]]이 발탁되었다.[* 여담으로 라잇썸에는 안동은 물론 경상북도 출신인 멤버가 없다.] * 사학과 안상준 교수는 2020년 우와한 비디오에 [[https://youtu.be/32Z9l1VoURs|출연했다]]. 이 영상은 산에서 돌담을 쌓은 남자의 이야기를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9956581?view_best=1|다루었다]]. * 2023년 8월, 개강하면 사람을 죽이겠다고 [[살인]] 예고를 한 학생이 붙잡혔다. [[관심병|관심을 받고 싶었다고 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5154452|#]] === 예전 이야기 === * 아주 예전(2009년 이전) 점호시간 이후 폐쇄된 기숙사로 배달음식을 밀반입하기 위해 가방에 줄을 매달아 내리고, 거스름돈을 받아서 올리는 [[밀수]]가 공공연하게 행해졌다고 한다. 점호 후 야간 기숙사 출입이 엄격하기 때문에 생긴 문화인데 CCTV 감시가 철저해지면서 거의 사라진 문화고, 시도하더라도 걸리면 바로 퇴사당한다. 대신 책가방에 포장된 음식을 넣어서 밀반입한다. * [[2011년]] [[11월 24일]]에 [[MBC]] [[대학가요제]]가 국립안동대학교에서 열렸다. === 학교생활정보 === * 국립안동대학교 학생증은 [[신한은행]] 체크카드 겸용이다. [[교통카드]] 기능도 있긴 한데, 선불기능만 있다. 그것도 [[한국스마트카드]] [[T-Money]]가 아닌 [[센스패스|탑T-Money]] 모듈이 들어있는 선불 교통카드다. 2013년 9월부터 시내버스 승차시 삼성, KB, 농협, BC, 신한, 롯데, 하나, 현대의 후불교통카드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학교 내에서 쓰이는 코인 복사기를 도입할 때 실수로 탑T-Money가 아닌 한국스마트카드 T-Money를 사용하는 기기를 도입하는 바람에 “안동대에서 [[센스패스|안동 티머니]]를 쓰지 못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는 항의를 많이 한다. 다행히도 탑T-Money와는 별도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 [[학생군사교육단|ROTC]] 예하 제161[[학생군사교육단|학군단]]이 안동대에 설치되어 있다. 축구 좋아하는 남학생이라면 이곳 행정반에 들를 일이 많을 것이다.[* 대운동장을 제외하고 안동대에서 축구를 할 만한 곳은 '연병장'밖에 없는데, 이곳의 관리를 학군단에서 하기 때문이다.] * 전국적으로 체인점을 두고 있는 미쳐버린 [[파닭]]의 본점이 솔뫼 퀸마트 옆에 있'''었'''다. 2017년 현재는 ‘피치콜(PICHICALL)’로 상호가 바뀌었다. 현재 미쳐버린 파닭 홈페이지 확인하면 본사가 영주로 옮겨졌다. 국립안동대학교는 그대로 남아있긴하다. *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이 있다. 거기서 문화기획자 창의 아카데미를 전액 무료로 여는데 뮤지컬 쪽에 관심 있는 사람은 들어보도록 하자. == 출신 인물 == * 강기석 : 기계공학부 / 산악인.[* 2011년 안나푸르나 하산 중 행방불명.] * [[강명구(정치인)|강명구]] : 윤석열 정부 2대 대통령실 국정기획 비서관 * [[강민창]] : 前 [[경찰청장]], [[해양경찰청장]]. * 강윤정 : 사학과 / 안동대학교 사학과 교수. * [[권기창]] : 행정학과 / 現 제31대 경상북도 [[안동시]]장. * 권윤 : 생약자원학과 /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 [[구본찬]] : 체육학과 / 리우올림픽 양궁 금메달리스트. * [[그냥찌]] : 아동사회복지학과 / [[트위치]] 스트리머 * [[김미자(양궁)|김미자]] : 양궁선수. * [[김영균(1971)|김영균]] : 민속학과 / [[1991년 연쇄 분신 파동]]의 희생자. * [[김용일(트레이너)|김용일]] : [[LG 트윈스]] 트레이너. * [[김은진]] : 양궁선수 * [[김종탁]] : 법학과 / 現 [[제3공수특전여단]] 여단장(준장) * 김주현 : 국어국문학과 /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김호길]] : [[포항공과대학교]] 초대 총장 * [[박신양]] : 배우 / 미술학과 서양화전공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 [[박정석]] : 철학과 /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 [[박혜민(뮤지컬 배우)|박혜민]] : 음악과 / 뮤지컬 배우 * [[박희재]] : 양궁선수 * [[배요한]] : [[LG 트윈스]] 트레이너. * 안태현 : 민속학과 / 제2대 [[국립항공박물관]] 관장. * 안계범 : 체육학과 / 배우. * [[엉덩국]] : 국어국문학과 / 웹툰작가. * [[이기복]] : 체육학과 / [[컬링]] 선수. * [[이기정]] : 체육학과 / [[컬링]] 선수. * [[이성진(시인)|이성진]] : 음악과 / 시인, 작곡가 * 이제홍 : 문학과 (석사) / 現 태성회계법인 회장 * 올자스 아비쉐브(Olzhas Abishev) : 정보통신공학과 (석·박사) / [[카자흐스탄]] 보건부 차관 [* [[http://news.imaeil.com/Society/2018061110394618210|기사1]],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611_0000332363&cID=10810&pID=10800|기사2]]] * [[장혜지]] : 법학과 / [[컬링]] 국가대표. * [[조병영]] : 축구 감독 * 최종호 : 민속학과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관리학과 교수 * 천진기 : 민속학과 / 前 [[국립민속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 관장. * 한호섭 : 전문건설공제조합 이사 * [[잇섭|황용섭]] : 정보통신공학과 / IT 유튜버 * 한건희 : 환경공학과 / [[헬스터디]]시즌1 참가자 [[분류:국립안동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