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 [[파일:20210616_093943.jpg|width=30]] {{{#000080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예술고등학교)]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예술고등학교)] [include(틀:서울특별시 금천구의 고등학교)] }}} || [[파일:전통예고.jpg]] ||<-2> {{{+1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br]'''National High School of Traditional Korean Arts''' || ||<-2> [[파일:국립전통예술고 로고.png]] || ||<-2>{{{#!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너비=100%)]}}} || || '''개교''' || [[1960년]] [[3월 10일]] || || '''유형''' || [[예술고등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그러나 여학생이 남학생의 약 3배다.] || || '''운영형태''' || [[국립]] || || '''교장''' || 왕기철 || || '''교감''' || 정향곤 || || '''교훈''' || 성실, 근면, 창의 '''{{{#!html }}}''' || || '''학생 수''' || 518명[br](2024년 기준) || || '''교직원 수''' || 111명[br](2024년 기준) || || '''관할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 || '''소속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 38길 62 || || '''링크''' || [[https://kugak-am.sen.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nhtka_st_council_6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https://www.youtube.com/@user-wu4fg6do3k/feature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학교 상징 == ||[[파일:20210616_093943.jpg|width=100%]]|| 직사각형의 상하 변이 오목하게 파인 도형은 전통예술을, 그 위에 원은 하늘과 바다 전세계를 상징한다. [[교화]]는 [[목련]], [[교목]]은 [[은행나무]]이다. === 교훈 === 성실: 바르고 정직한 인간 근면: 부지런하고 최선을 다하는 사람 창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예술인 == 연혁 == 1960.03 국악예술학교 설립 인가 '''1960.05 국악예술학교 개교 ([[종로구]] [[관훈동]])''' 1962.05 프랑스 파리 세계민속예술 경연대회 참가 1964.02 미국아세학회 초청 48개 주립대학 순회공연 1968.04 종로구 [[운니동]] 교사로 이전 1968.09 멕시코 올림픽 한국민속예술단으로 참가 1970.04 서울대학교 농과대학과 자매결연 1970.09 [[석관동]] 교사로 신축 이전 '''1973.02 재단법인 '국악학원' 설립 인가''' 1983.02 학교법인 '국악학원'으로 조직 변경 1984.12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92.06 특수목적고등학교 지정 '''1992.10 현 시흥동 교사로 신축 이전''' 1997.07 프랑스 부레뒨 페스티발 참가 1998.10 자율학교 시범운영학교 지정(교육부) 1999.03 교육부 자율학교 시범운영지정 및 헌장공포시행 1999.08 네델란드 오던 페스티발 참가 2000.05 대만 화강예술학교와 자매결연 2000.07 일본 세이후고등학교와 자매결연 2001.07 제10회 슬라비안스키 바자르 세계민족예술경연대회 대상수상/벨라루시공화국 주최 2002.03 서울특별시교육청 자율학교 지정 '''2008.03 국립으로 전환, 국립전통예술중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12.05 문화체육관광부 이관''' 2013.02 제18대 대통령 취임식 축하공연 참가 2015.02 신세계 조선호텔 업무협약 (장학금 유치) 2015.12 제2예술관 준공 2018.2 2018 평창 동계올림픽/개회식 중 '태극: 우주의 조화' 공연 참여 == 학과 == === 한국음악과 === 세부 전공으로 [[가야금]], [[거문고]], [[대금]], [[피리(악기)|피리]], [[해금]], [[아쟁]], 작곡, 이론, [[판소리]], [[민요]], 가야금 병창, [[정가]], 타악(장단), 타악(연희)이 개설되어 있다. 전문교과는 전공실기(전공1 민속악, 전공2 정악, 전공3 초견등), 관현악, 정악합주, 전통연희기초(정가, 판소리, 민요, 설장구, 장단등), 음악이론(서양음악이론, 국악이론), 음악사(서양음악사, 국악사), 전통연희의 이해, 시창과 청음 등. === 무용과 ===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무용과는 전통예술의 계승과 창의적 학습법을 중심으로 무용 실기 및 창의력 배양, 인문학적 사고력을 신장하여 소양 있는 예술 영재인을 기르고자 한다. 저명한 예술인의 심화 특강과 강사의 지도 아래 전공 실기(전통춤과 창작춤), 전문교과(안무, 무용음악, 공연실습) 등의 무용 실기교육을 중심으로 기본 원칙에 충실하면서도 최신의 예술 교육체계를 지속적으로 접목시킨다. 또한 교육 과정과 연계하여 실제 공연 실습을 습득하고 풍부한 기법을 경험하여 창조적이고 표현력이 풍부한 예술 영재인를 양성하고자 한다. 전문교과는 전공실기, 기초[[발레]], 기초현대무용, 무용음악, [[안무]] 등. [[2018 평창 동계올림픽/개회식]] 중 '태극: 우주의 조화' 공연에 참여한 바 있다. === 음악연극과 === [[뮤지컬]]을 한국식으로 바꿔 만든 과 명. 2000년 국내에 최초로 신설된 음악연극과는 한국전통예술의 樂(악)歌(가)舞(무)를 바탕으로 미래의 한류의 중심이 될 연기예술인재를 양성한다. 본교의 음악연극과는 연극(음악극)의 전반적인 이론과 기초 및 전공실기를 중점교육하며 전문교과로 장구, 판소리, 한국무용, 탈춤, 뮤지컬성악, 현대무용, 제작실습 등을 편성하여 공연예술 창작과정의 전 요소를 조직하고 무대예술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실력과 인성을 고루 갖춘 전문예술인을 육성하고 있다. 1999년에 창설되었으며 2013년 전에는 한국적 뮤지컬을 위주로 공연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라이센스 뮤지컬을 위주로 하는 편. 전문교과는 [[연기]], 연극제작실습, [[합창]], 전통연희기초, 연극의 이해 등. 방과후학교 제도로 연기는 기본으로 글쓰기, 현대무용, 아크로바틱, 뮤지컬 성악, 연극제작, 판소리등등 다양한 특기를 배울수있다 == 시설 == === 인문관 === 인문 수업이 이루어지는 곳. 각 반이 있고 무용과는 1반 음연과는 2반 한국음악과는 3.4.5.6반 === 예술관 === 학생들의 연습공간. 지하1층부터 5층까지 약 30개가 넘는 연습실이 있으며 예술관에 들어가는 순간 전통적인 온갖 악기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 기산극장(야외공연장) === 인문관 과 예술관 사이에 있는 야외공연장이다. 이 곳에서는 매년 마당놀이--사실상 체육대회--가 열리며 민방위훈련, 화재대피훈련 등 단체로 모이는 곳으로 대부분 쓰이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에게는 그저 운동장을 가장한 축구장일 뿐.-- === 향사생활관 === 기숙사. 4인 1실을 원칙으로 하며 남학생은 건물 2층, 여학생은 건물 3~5층에서 생활한다. 학교가 산으로 둘러쌓여있어 모기는 기본으로 [[바퀴벌레]], [[돈벌레]], 각종 나방 가끔 두더지, 뱀, 쥐도 볼수있다고...--여름에는 대환장 파티...-- [[심야괴담회]] [[윤지성]]의 고등학교 기숙사 괴담에 나온적이 있다. === [[국립전통예술중학교]] === === 제2예술관 (신관) === 수십개의 개인연습실과 중학교전공실,체육관등등 전공실기수업을 위한 공간들이 들어서있다.[* 제2예술관이 만들어지기 이전에는 운동장이 있었다. 매일 운동장에서 오전 조회를 하고 수업을 시작했다고 하니 만들길 잘한 것 같다.] == 출신 인물 == [include(틀:고등학교별 출신 연예인)] ===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시절 === * [[강태관]] * [[강윤(배우)|강윤]] * [[강하늘]]: 배우 * [[견미리]] * [[고재숙(가수)|고재숙]] * [[고정숙]] * [[김권]] * [[김사희]] * [[박성휘]] * [[박진희(정치인)|박진희]] * [[김지은(연주자)|김지은]] * [[김형준(SS501)|김형준]] * [[민해경]] * [[서경수]]: 뮤지컬 배우 * [[신혜선]]: 배우 * [[양수경]] * [[예지원]] * [[오정해]] * [[오한아]] * [[온희정]] * [[유소영]] * [[이재은(1980)|이재은]] * [[이종석(배우)]]: 배우(전학) * [[임화영]] * [[장서희]] * [[조관우]] * [[한솔(피트니스 모델)|한솔]] * [[G-DRAGON]]: 가수 전학 ===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시절 === * [[김나영(2004)|김나영]]: 인플루언서 * [[김윤설]]: 배우 * [[김건]]: [[언더나인틴]] 참가자 * [[김다예]]: 배우 * [[김산하(2001)|김산하]]: 트로트 가수 * [[김정연(배우)|김정연]]: 배우 * [[남창동(국악인)|남창동]]: 줄타기 예인 * [[도현(파스텔걸스)|도현]]: 그룹 [[파스텔걸스]] 소속 아이돌 * [[서의철]]: 국악인 * [[예결]]: 국악인 * [[윤지성]] - 그룹 [[Wanna One]] 출신 아이돌 * [[이송연]]: 국악인 * [[이인성(배우)|이인성]]: 배우 * [[정영범]]: [[비파]] 연주자 * [[전혜주]]: 배우 * [[최리(배우)|최리]]: 배우 * [[최태준]]: 배우 * [[추현탁]]: [[가야금]] 연주자 * [[박하준]]: 배우 * [[혜찌]]: 인플루언서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 금천문화원.국립전통예술중고/금천폭포공원 (18-967/18-983) || [[서울 버스 금천11|금천11]] || || 박미삼거리.국립전통예술중고/금천폭포공원/남서울힐스테이트[br](18-011/18-012/18-164/18-165) || [[안양 버스 1|1(숲속마을-구디단역)]], [[안양 버스 5|5(월암종점-당중초교)]], [[안양 버스 9, 9-3|9(-3)]], [[안양 버스 51|51(대원아파트-구디단역)]],[br] [[김포 버스 388|388]], [[서울 버스 500|500]], [[서울 버스 507|507]], [[수원 버스 900|900]], [[서울 버스 5530|5530]], [[서울 버스 5531|5531]], [[시흥 버스 5602|5602]], [[서울 버스 5618|5618]]. [[서울 버스 5623|5623]], [[서울 버스 5625|5625]], [[서울 버스 5626|5626]], [[서울 버스 5713|5713]], [[서울 버스 금천04|금천04]] || || 백산초등학교 (18-171/18-172) || [[서울 버스 5617|5617]], [[서울 버스 5633|5633]], [[서울 버스 6516|6516]]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시흥중학교(서울), version=92, paragraph=3.1)] == 기타 == * 학교 진입로가 오르막길의 연속이며, 심지어 학교부지 내에도 오르막길이 있다. 저녁에 4층 구름다리에서 내려다 보면 이쁜 노을 사진을 건질수있다. * 2000년도 후반쯤에 바뀐 새로운 [[교복]]이 예쁘기로 잘 알려져 있다. 상의가 하늘색이다.[* 기존의 교복은 여학생 교복이 초록색 계열의 교복, 남학생 교복이 전형적인 [[가쿠란]] 디자인의 남색 계열의 교복 이였다.] * 학생수에 비해서 선생님의 수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각주] [[분류:서울특별시의 국립고등학교]][[분류:금천구의 고등학교]][[분류:서울특별시의 예술고등학교]][[분류:1960년 개교]][[분류:대한민국의 국립음악기관]][[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