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국민대학교]]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국민대학교)] [include(틀:국민대학교)] [목차] == 교표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국민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흰색 심볼.svg|height=50]]]] ||<(> {{{-1 [[국민대학교|{{{#FFF '''국민대학교'''}}}]]}}}[br]{{{+1 [[교표|{{{#FFF '''교표'''}}}]]}}} || }}} || ||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width=30%]] || 2001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국민대학교]] 교표. 교표 선정과정과 이전 교표에 대해서는 [[국민대학교/역사#s-6]] 참고. 바깥의 원은 우주와 세상을, 안쪽의 부드러운 곡선은 백두대간과 북악을 뜻한다. 한국의 전통적 [[오방색]](청,백,적,황,흑)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영문 머릿글자 '''{{{#004f9f,#60aeff {{{#!htmlKMU}}}}}}'''는 동쪽을 가리키는 청색이며, 이는 탄생, 어짊, 나무를 의미한다. 흙에 해당하는 황색과 남쪽을 가리키는 적색은 조형 하단부에 위치시켜, 전체의 조화로운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중앙은 흰 여백으로 남겨 놓았다. 전체적으로는 화합과 융화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개성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거대한 변화를 창조하는 과정을 시각화한 것으로서, 국민대학교에서 배출한 인재들이 각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다는 의미이다. == 교훈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국민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흰색 심볼.svg|height=50]]]] ||<(> {{{-1 [[국민대학교|{{{#FFF '''국민대학교'''}}}]]}}}[br]{{{+1 [[교훈|{{{#FFF '''교훈'''}}}]]}}} || }}} || || {{{+4 {{{#004f9f,#60aeff '''以校爲家 事必歸正'''}}}}}}[br]{{{#004f9f,#60aeff '''이교위가 사필귀정'''}}} || [[파일:해공 신익희 선생님 친필 휘호 국민대.jpg]] * '''해공 [[신익희]] 국민대 교훈 친필 휘호 이교위가 원본''' >'''학생들이 신생 국민대학을 중심으로 한 마음, 한 뜻이 되어 정을 두텁게 하고, 새 희망을 전망하면서 형설지공을 쌓아주시기 바랍니다. 이 정신, 이 목적을 한문 글자로 표현하면 이교위가(以校爲家)라 합니다.''' >---- >해공 신익희, 창학연설문 >'''해공 선생은 평소 학생들에게 '일은 결국에는 올바른 데로 돌아가는 것이다.' '최후의 승리는 정의에 있다'(事必歸正)고 말씀하셨다. 어려운 국면을 용기와 희망을 갖고 뚫고 이겨나가기 위해, 올바르게 살 것을 학생들에게 강조하셨다.''' >---- >해공 신익희 일화집 이교위가 사필귀정의 정신은 작게는 학교를 내 집같이 사랑하라는 말이지만 크게는 내 나라를 내 가정같이 내 민족을 내 가족같이 사랑하라는 말이다. 이는 관념적이고 선언적인 화두가 아니라 해공을 비롯한 임시정부의 독립운동과 구국운동을 계승하게 함으로써 나라와 민족에 대한 실천적 봉사정신을 요구하는 것이다. == 교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민대학교/북악캠퍼스, 문단=3.24)]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국민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흰색 심볼.svg|height=50]]]] ||<(> {{{-1 [[국민대학교|{{{#FFF '''국민대학교'''}}}]]}}}[br]{{{+1 [[교상|{{{#FFF '''교상'''}}}]]}}} || }}} || || [[파일:용두리.jpg|width=100%]] || || {{{+4 {{{#004f9f,#60aeff '''용두리'''}}}}}} || == 교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국민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흰색 심볼.svg|height=50]]]] ||<(> {{{-1 [[국민대학교|{{{#FFF '''국민대학교'''}}}]]}}}[br]{{{+1 [[교가|{{{#FFF '''교가'''}}}]]}}} || }}} || || {{{#004f9f,#60aeff '''넓고도 아득한 배움의 바다''' }}}[br]{{{#004f9f,#60aeff '''파도와 싸우며 배들을 저어''' }}}[br]{{{#004f9f,#60aeff '''평화의 항구를 바라다 보고''' }}}[br]{{{#004f9f,#60aeff '''바쁘게 바쁘게 나가는 우리''' }}}[br]{{{#004f9f,#60aeff '''우리는 새로운 민주의 나라''' }}}[br]{{{#004f9f,#60aeff '''사공을 기르는 국민대학교''' }}} {{{#004f9f,#60aeff '''몇천년 찬란턴 조국의 문화''' }}}[br]{{{#004f9f,#60aeff '''지나던 자취를 바라다보며''' }}}[br]{{{#004f9f,#60aeff '''새문화 새생활 진리를 찾아''' }}}[br]{{{#004f9f,#60aeff '''광명한 세계로 나가는 우리''' }}}[br]{{{#004f9f,#60aeff '''우리는 새로운 민주의 나라''' }}}[br]{{{#004f9f,#60aeff '''보람을 이루는 국민대학교''' }}} ---- [[이병기(국문학자)|이병기]] 작사, [[이흥렬]] 곡 || [[https://www.kookmin.ac.kr/content/05sub/style0005/file/kmu_ar.mp3| 국민대학교 교가 듣기 ]] 국민대학교 교가는 언제 만들어졌는지 확인할 자료가 없다. 다만 그 작사자를 통해 유추할 수 있을 뿐이다. 교가를 작사한 사람은 시조 시인인 가람 [[이병기(국문학자)|이병기]]. 이병기는 [[일제강점기]]에 '한글맞춤법통일안'을 마련하고, 그 뒤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그가 국민대와 인연을 맺은 것은 1948년. 당시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국민대로 출강한 것이 계기였다고 한다. == 교색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국민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흰색 심볼.svg|height=50]]]] ||<(> {{{-1 [[국민대학교|{{{#FFF '''국민대학교'''}}}]]}}}[br]{{{+1 [[색|{{{#FFF '''교색'''}}}]]}}} || }}} || ||<-2> {{{+4 {{{#004f9f,#60aeff '''KMU Blue'''}}}}}} || || [[RGB|{{{#004f9f,#60aeff '''RGB'''}}}]] || [[CMYK|{{{#004f9f,#60aeff '''CMYK'''}}}]] || || 0/79/159 || 100/70/0/0 || || [[팬톤|{{{#004f9f,#60aeff '''PANTONE'''}}}]] || [[헥스 코드|{{{#004f9f,#60aeff '''헥스 코드'''}}}]] || || 2728 C || #004F9F || 국민대학교의 대표색상은 KMU Blue이며 열가지의 보조색상이 있다. == FM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국민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흰색 심볼.svg|height=50]]]] ||<(> {{{-1 [[국민대학교|{{{#FFF '''국민대학교'''}}}]]}}}[br]{{{+1 [[FM(자기소개)|{{{#FFF '''FM'''}}}]]}}} || }}} || || {{{+4 {{{#004f9f,#60aeff '''자주북악'''}}}}}}[br]{{{#004f9f,#60aeff '''自主北岳'''}}} || || 학부(과)별 FM{{{#!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M 존재하는 학부(과) 서술.'' ||<-2> {{{#004f9f '''글로벌인문·지역대학'''}}} || || 한국어문학부 국어국문학전공 || 다정다감 국어국문학과 || || 영어영문학부 || 강철영문 영문학부 || || 중국학부 중국어문전공 || 전진중문 중문학과 || || 중국학부 중국정경전공 || 도약중국정경 중국정경 || || 유라시아학과 || 도약유라시아 유라시아학과 || || 한국역사학과 || 민족자주 국사학과 || ||<-2> {{{#004f9f '''사회과학대학'''}}} || || 행정학과 || 파죽지세 행정학과 || || 정치외교학과 || 애국정외 정치외교학과 || || 일본학과 || 조화일본 일본학과 || || 사회학과 || 전진불꽃 사회학과 || || 언론정보학부 || 자유예찬 언론정보학부 || || 교육학과 || 당찬교육 교육학과 || ||<-2> {{{#004f9f '''법과대학'''}}} || || 법학부 || 자주국민 해방법대 || ||<-2> {{{#004f9f '''경상대학'''}}} || || 경제학과 || 청년경상 경제학과 || || 국제통상학과 || 청년경상 국제통상학과 || ||<-2> {{{#004f9f '''경영대학'''}}} || || 경영학부 || 자주북악 도전경영 (학회별 구호) || || 경영학부 빅데이터경영통계전공 || 자주북악 도전경영 불패경통 || || [[경영정보학과|경영정보학부]] || 자주북악 도전경영 혁신경영정보 || || KMU International Business School || 자주북악 도전경영 KIBS || ||<-2> {{{#004f9f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 소프트웨어학부 || 막강소융 무적컴퓨터 || || 인공지능학부 || 막강소융 인간시대의끝이도래했다 || ||<-2> {{{#004f9f '''창의공과대학'''}}} || || 신소재공학부 || 자주북악 열혈공대 강철신소재 || || 기계공학부 || 자주북악 열혈공대 최강기계 || || [[토목공학과|건설시스템공학부]] || 선봉 건설시스템 || || 전자공학부 || 불꽃전자 전자공학부 || ||<-2> {{{#004f9f '''자동차융합대학'''}}} || || 자동차공학과 || 자주북악 질주하라 자동차융합 || || 자동차IT융합학과 || 자주북악 질주하라 자동차융합 || ||<-2> {{{#004f9f '''과학기술대학'''}}} || || [[물리학과|나노전자물리학과]] || 나노물리-'함께 소통하는 혁신물리 || || [[화학과|응용화학과]] || 미래과학기술의 중심 || || 정보보안암호수학과 || 용두용미 수학과 || || [[식품영양학과]] || 천년의 맛 비룡 식영 || || 발효융합학과 || 소수정예 강렬발융 || ||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단결삼림 전진산템 || || 임산생명공학과 || 자주북악 단결삼림 역동임산 || ||<-2> {{{#004f9f ''' [[국민대학교/학부/조형대학|조형대학]]'''}}} || || 금속공예학과 || 강철금공 || || 도자공예학과 || 불꽃도자 || || 영상디자인학과 || 금결영상 || ||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 최강자디 || ||<-2> {{{#004f9f '''예술대학'''}}} || || 미술학부 입체미술전공 || 입체신화 || || 미술학부 회화전공 || 전설회화 || || 공연예술학부 || 천하무적 연극영화 || ||<-2> {{{#004f9f '''체육대학'''}}} || || 체육학부 || 자주북악 국민체대 || }}} || [[http://press.kookmin.ac.kr/site/main/view.htm?num=10424/|옛 각 학부(과)별 FM 목록]] 보통은 '자주북악'으로 시작하지만 [* 정파에 따라 자주'''국민'''을 사용하기도 한다.] 총학생회 현판은 '해방의 함성으로 진군하는' 이라고 붙어있다. 서울대학교 등 다른 학교의 예를 볼때는 전자는 [[NLPDR|NL계열]]이 만들고 후자는 [[PD(정파)|PD계열]]이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2000년대 이후 FM은 악폐습이라는 의견이 나옴에 따라 FM 문화는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일상에서 FM을 할 일은 거의 없다. 신입생 OT 뒷풀이때 자기소개와 같이 하는 정도. == 캐릭터 == === 공식 캐릭터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국민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흰색 심볼.svg|height=50]]]] ||<(> {{{-1 [[국민대학교|{{{#FFF '''국민대학교'''}}}]]}}}[br]{{{+1 [[캐릭터|{{{#FFF '''캐릭터'''}}}]]}}} || }}} || ||[[파일:external/www.kookmin.ac.kr/img_ui_character.gif|width=100%]]|| [[파일:external/www.kmua.or.kr/MNU02_201101_%EA%B5%AD%EB%AF%BC%EB%8C%80QR%EC%BD%94%EB%93%9C.jpg|width=70%]] || || A/B/C형 캐릭터 || 용룡이 QR 코드 || 국민대 학생들조차 이런게 있는지 잘 모르지만 공식 학교 캐릭터가 있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무려 A, B, C 3가지 버전이 있다. 그 중에서 그나마 가장 많이 쓰이는 건 [[QR코드]] 버전 '용룡이'.[* 포털 사이트 [[다음]]을 통해 국민대학교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QR 코드를 제작했다. 그러나 다음 QR 코드 서비스 종료로 인해 2018년 10월 1일 이후로 접속 불가.] 용룡이는 '용감한 용'이라는 뜻이다. 2011년 EBS 인터넷수능 문제집 뒷면의 국민대 광고와 2013년 교양강의 지성과 글 교재(우리 시대의 글쓰기), 국민대 정시 모집요강 팜플렛 등등에서 용룡이를 볼 수 있다. B형 캐릭터의 경우 2017년부터 새로 설치된 교내 분리수거함에 등장한다. === 쿠민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국민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흰색 심볼.svg|height=50]]]] ||<(> {{{-1 [[국민대학교|{{{#FFF '''국민대학교'''}}}]]}}}[br]{{{+1 [[캐릭터|{{{#FFF '''홍보팀 캐릭터'''}}}]]}}} || }}} || || [[파일:쿠민.png|width=80%]] || [youtube(PmExfVSzYfk, width=720, height=480)] || ||<-2> 쿠민 KOOMIN || 쿠민은 2018년 4월 26일 국민대학교 홍보팀에서 새롭게 발표한 캐릭터이다. [[https://www.facebook.com/kookmin.univ/photos/a.796735450373302/1742079599172211/?type=3&theater|#]] [[https://www.kookmin.ac.kr/comm/board/user/46c025a625a3234f240ddb1d819a1816/index.do|쿠민 공식 페이지]] 교내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스크린과, 해가 진 이후 도서관 가는 길[* 로고라이트를 설치하여 바닥에 이미지를 노출하는 방식이다.]에서 쿠민을 볼 수 있다. 노출 빈도가 많아 공식 캐릭터보다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 교내 영자신문 [[국민대학교/학내 언론#s-2.2|국민리뷰]]에서 쿠민을 가상으로 인터뷰한 기사를 냈다. [[https://www.facebook.com/thekookminreview/photos/pcb.2175486435829328/2175486059162699/?type=3&theater|#]] 반응이 좋았는지 교내외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학교 홍보용 지하철 전광판에도 쿠민을 내세울 정도. 국민대학교 홈페이지에 도입된 도움말 AI 이름도 '쿠민이'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국민대학교, version=1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