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보건복지부 산하기관)] ||<-2> '''{{{+2 국민연금공단}}}'''[br]國民年金公團[br]'''N'''ational '''P'''ension '''S'''ervice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국민연금공단 로고.svg|width=50%]]}}} || || '''설립일''' ||[[1987년]] [[9월 18일]]^^([age(1987-09-18)]주년)^^ || || '''설립 목적''' ||국민의 노령, 장애 또는 사망에 대하여 연금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의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br][[http://www.law.go.kr/법령/국민연금법|국민연금법 제1조]] || || '''업종''' ||기금 운영업 || || '''전신''' ||'''국민연금관리공단'''[br]([[1987년]] [[9월 18일]]~[[2007년]] [[7월 22일]]) || || '''대표자''' ||[[김태현(1966)|김태현]] || || '''주무 기관''' ||[[보건복지부]] || || '''주요 주주''' ||해당 사항 없음 || || '''기업 분류'''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 || '''상장 여부''' ||[[비상장 기업]] || || '''직원 수''' ||7,364명^^(2022년 1분기 기준)^^ || || '''자본금''' ||해당 사항 없음^^(2020년 기준)^^ || || '''매출액''' ||26조 3,712억 7,225만 318원^^(2020년 기준)^^ || || '''영업 이익''' ||-180억 7,280만 9,132원^^(2020년 기준)^^ || || '''순이익''' ||-382억 9,410만 3,659원^^(2020년 기준)^^ || || '''자산 총액''' ||2,543억 8,964만 9,108원^^(2020년 기준)^^ || || '''부채 총액''' ||5,420억 5,219만 7,719원^^(2020년 기준)^^ || || '''부채 비율''' ||'''-188.43%'''^^(2020년 기준)^^ || || '''미션''' ||'''지속가능한 연금과 복지서비스로 국민의 생활 안정과 행복한 삶에 기여''' || || '''비전''' ||'''세대를 이어 행복을 더하는 글로벌 리딩 연금기관''' || ||<|2> '''소재지''' ||'''본사'''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기지로 180 ([[만성동]])[br]'''[[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기금운용본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오공로 131 ([[만성동]])[br]'''장애심사센터'''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35다길 13, 4~5층 ([[신천동(서울)|신천동]])[br]'''국제협력센터'''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기지로 180, 6층 ([[만성동]], 행복연금관) || ||{{{#!folding 지역 본부 소재지 보기 '''서울북부지역본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36, 9층 ([[충정로|충정로3가]])[br]'''서울남부지역본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128, 1~3층 ([[논현동(강남구)|논현동]])[br]'''경인지역본부'''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307번길 19, 3, 4, 9층 ([[인계동]])[br]'''대전세종지역본부'''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로(세종)|세종로]] 1250 ([[아름동]])[br]'''광주지역본부''' - [[광주광역시]] [[광산구]] [[무진대로]] 251, 1, 3층 ([[우산동(광산구)|우산동]])[br]'''대구지역본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로]] 419, 2층 ([[이곡동]])[br]'''부산지역본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 1000, 4층 ([[연산동(부산)|연산동]]) }}} || || '''웹사이트''' ||[[http://www.nps.or.kr|국민연금공단 공식 홈페이지]] || || '''소셜 미디어''' ||[[https://blog.naver.com/pro_nps|[[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user/NaionalPensionServi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npstagra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PS_2010,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proNP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post.naver.com/pro_nps|[[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20]]]] || ||<|2> '''전화번호''' ||고객 센터: {{{#2d2d7c '''1355'''}}}[br]본사: {{{#2d2d7c '''063-713-6900'''}}} || ||{{{#!folding 지역 본부 전화번호 보기 서울북부지역본부: {{{#2d2d7c '''02-2176-9999'''}}}[br]서울남부지역본부: {{{#2d2d7c '''02-3416-6000'''}}}[br]경인지역본부: {{{#2d2d7c '''031-229-4002'''}}}[br]대전세종지역본부: {{{#2d2d7c '''044-715-1610'''}}}[br]광주지역본부: {{{#2d2d7c '''062-958-2100'''}}}[br]대구지역본부: {{{#2d2d7c '''053-589-4601'''}}}[br]부산지역본부: {{{#2d2d7c '''051-797-7035'''}}} }}} || [목차] [clearfix] == 개요 == || {{{#fff '''국민연금공단의 경관, 홍보 영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0JXwF2If1E?si=doL9Bw6Iz5TOf_sJ)]}}}|| || {{{#white '''▲ 국민연금공단 공식 PR'''}}}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민연금공단본부.jpg|width=100%]]}}}|| || {{{#ffffff '''▲ 국민연금공단 본사 사옥'''[br]{{{-2 [[전북특별자치도|{{{#fff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fff 전주시}}}]] [[덕진구|{{{#fff 덕진구}}}]] [[기지로|{{{#fff 기지로}}}]] 180 ([[만성동|{{{#fff 만성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기금운용본부12.jpg|width=100%]]}}}|| || {{{#ffffff '''▲ 국민연금공단 국민누리관 사옥'''[br]{{{-2 [[전북특별자치도|{{{#fff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fff 전주시}}}]] [[덕진구|{{{#fff 덕진구}}}]] [[기지로|{{{#fff 기지로}}}]] 170 ([[만성동|{{{#fff 만성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글로벌기금관.jpg|width=100%]]}}}|| || {{{#ffffff '''▲ 국민연금공단 글로벌기금관 사옥'''[br]{{{-2 [[전북특별자치도|{{{#fff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fff 전주시}}}]] [[덕진구|{{{#fff 덕진구}}}]] [[오공로|{{{#fff 오공로}}}]] 180 ([[만성동|{{{#fff 만성동}}}]])}}}}}} || }}}}}}}}} || ||'''국민연금법''' '''제1조(목적)''' 이 법은 국민의 노령, 장애 또는 사망에 대하여 연금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의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4조(국민연금공단의 설립)''' [[보건복지부장관]]의 위탁을 받아 제1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국민연금공단(이하 "공단"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제26조(법인격)''' 공단은 [[법인]]으로 한다. '''제48조(「[[민법]]」의 준용)''' 공단에 관하여 이 법에서 정한 것 외에는 「[[민법]]」중 [[재단|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181777,#7193ff 국민}}}을 든든하게 {{{#181777,#7193ff 연금}}}을 튼튼하게''' >---- >국민연금공단의 [[슬로건]] [[국민연금]]을 관장하는,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1987년]] [[9월 18일]]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기관이다. 설립 당시의 명칭은 '국민연금관리공단'이었으나 [[2007년]] [[7월 23일]]부로 '국민연금공단'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본부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5다길 13 ([[신천동(서울)|신천동]])[* [[파일:국민연금공단송파지사.jpg]] 현재는 서울 송파 지사이다.]에 위치해 있었지만, [[2015년]] 6월에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기지로 180 ([[만성동]])으로 이전하였다. 주요 업무는 국민연금 가입자의 이력관리, 국민연금의 수취/지급, 국민연금 수취액을 굴려가지고 더 크게 만드는 것, 연금 관련 복지사업 등이다. 또한 수탁사업으로 장애인 등록심사, [[장애인]] 활동지원, [[기초생활수급자]] 활동능력평가가 있다. 4대보험은 국민연금공단([[국민연금]]),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 [[근로복지공단]]([[고용보험]], [[산재보험]])에서 관리한다.[* 단 수납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담당한다.] == 조직도 == [[파일:국연조직도.gif|width=100%]] == 업무 == 국민연금공단은 다음의 업무를 한다(국민연금법 제25조). * [[국민연금]] 가입자에 대한 기록의 관리 및 유지 * 국민연금 연금보험료의 부과 * 국민연금 급여의 결정 및 지급 * 국민연금 가입자, 가입자였던 자 및 수급권자를 위한 자금의 대여와 복지시설의 설치·운영 등 복지사업 * 국민연금 가입자 및 가입자였던 자에 대한 기금증식을 위한 자금 대여사업 * 국민연금 가입대상과 수급권자 등을 위한 노후준비서비스 사업 * 국민연금제도·재정계산·기금운용에 관한 조사연구 * 국민연금에 관한 국제협력 * 그 밖에 '국민연금법'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위탁받은 사항 * 그 밖에 국민연금사업에 관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위탁하는 사항 == 역대 이사장 == [include(틀:역대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 장원찬 (1987~1990) * 심유선 (1990~1991) * 이상수 (1991~1993) * 김태환 (1993~1996) * 조기욱 (1996~1997) * [[최선정]] (1997~1998) * 전계휴 (1998~1999) * [[차흥봉]] (1999) * 인경석 (1999~2002) * [[장석준]] (2002~2005) * 김호식 (2005~2008) * [[박해춘]] (2008~2009) * [[전광우(1949)|전광우]] (2009~2013) * [[최광(1947)|최광]] (2013~2015) * [[문형표]] (2015~2017) * [[김성주(1964)|김성주]] (2017~2019)[* 2019년 12월 30일 이사장직에서 사퇴. 이후 2020년 4월 15일에 시행하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전주시 병]]선거구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2&aid=0002116625|기사]]] * [[김용진(1961)|김용진]] (2020~2022)[* 2022년 4월 18일 이사장직에서 사퇴. 사임 직후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경기도지사 예비후보 캠프에 합류했으며([[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075668?sid=102|기사]]) 김 지사 당선 후 경제부지사로 보직되었으나 불미스러운 일에 엮여 일주일도 안되어 경질되었다.] * [[김태현(1966)|김태현]] (2022~현재) == [[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는 변화하는 금융 및 경제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국민연금기금을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관리및운용하기 위해 1999년 설치된 기금운용전담 조직으로 알려져있다. 기금운영정책은 기금의 운용 및 관리 사업이 목적에 따라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기금운용지침에 기금운용원칙을 명시함으로써 이에 따라 기금운용본부가 수익성, 안정성, 공공성, 유동성, 지속 가능성 그리고 운용독립성이라는 기금운용 원칙에 따라 기금을 성실하게 관리 및 운용함을 표방하고 있다.[* 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 공식홈페이지[[https://fund.nps.or.kr/jsppage/fund/mpc/mpc_02.jsp]]] == 노동조합 현황 == *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국민연금지부: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소속. == 기타 == 2024년 3월 현재, [[우리은행]]이 주거래 금융기관이다. [[https://www.nps.or.kr/jsppage/mobile/ne/HM_4D0002_01.jsp?hrnkMenuId=MW_NE&menuId=MW_NE_002&seq=27263|#]] 지분의 대주주로 앉은 기업이 많은 탓에 의결권 문제가 대두되는 기관으로 이에 대한 분쟁이 많은 기관인데 대표적으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북부 구간 운영사인 [[서울고속도로]]의 대주주로 정치권에서 요금 인하를 요구했지만 여기에서 난색을 보이다가 결국에는 협상이 되어 요금 인하를 성공했으며 [[미시령터널]]의 운영사인 미시령도서관통도로(주)의 대주주로 [[강원특별자치도]]의 재정 악화로 손실지원 방안 변경을 요구했지만 국민연금공단의 반발로 결국 법정 분쟁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구현모]] 전 KT 사장이 재연임을 도전하다가 국민연금공단의 반대로 구현모는 사장직을 [[김영섭]]에게 넘겼다. 이런 비판을 의식한 것인지 대주주의 지휘를 내려놓고 있는 상황이며 [[KT]], [[DGB금융지주]]와 [[KT&G]]의 대주주의 지분을 포기한 상태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공공기관)] [include(틀:5대 보험)] [include(틀:대한민국의 공적연금)] [[분류:국민연금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