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top1=국민의힘)] ||<-5><#580009> [[대한민국의 비례위성정당|{{{#cfa547 '''대한민국의 비례위성정당'''}}}]] || || [[국민의힘|{{{#e61e2b 국민의힘}}}]][br]{{{-3 (개별 합류)}}} || {{{+1 →}}} ||<#e4002b> '''{{{#!wiki style="margin: 0px -10px; color: #fff;" 국민의미래}}}''' || {{{+1 →}}} || [[국민의힘|{{{#e61e2b 국민의힘}}}]][br]{{{-3 (흡수 합당)}}} || ||<-2> [[파일:국민의미래 로고.svg|width=270&theme=light]][[파일:국민의미래 흰색 로고.svg|width=270&theme=dark]] || ||<-2> {{{#fff '''국민의미래'''}}} || || '''영문 명칭''' ||People Future Party || || '''슬로건''' ||''' {{{#E61E2B 함께 가면}}} {{{#112C56,#fff 미래가 됩니다}}} ''' || || '''고유번호''' ||609-82-86058 || || '''창당일''' ||[[2024년]] [[2월 2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는 [[2월 27일]]에 등록되었다.] || || '''해산일''' ||[[2024년]] [[4월 26일]][* 신고일은 4월 23일이다. [[https://nec.go.kr/site/nec/ex/bbs/View.do?cbIdx=1086&bcIdx=234107|#]]][* 흡수합당이 법적 효력을 갖는 것은 신고시가 아니라 수리시라는 하급심 판례에 따름.([[https://lbox.kr/case/%EC%84%9C%EC%9A%B8%ED%96%89%EC%A0%95%EB%B2%95%EC%9B%90/2014%EA%B5%AC%ED%95%A966410|서울행정법원 2015. 5. 28. 선고 2014구합66410 판결]], [[https://lbox.kr/case/%EC%84%9C%EC%9A%B8%EA%B3%A0%EB%93%B1%EB%B2%95%EC%9B%90/2015%EB%88%8447852|서울고등법원 2015. 11. 20. 선고 2015누47852 판결]])] ,,('''[[국민의힘|{{{#e61e2b 국민의힘}}}]]'''에 흡수 합당),,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4길 12 국민의힘 중앙당사, 너비=100%)]}}}[[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4길 12, [[국민의힘 중앙당사]] 7~8층 ([[여의도동]])[* 존속기간동안 중앙로비에서 올라가는 엘리베이터는 따로 쓰는 것으로 보인다.] || || '''대표''' ||[[조혜정(정치인)|조혜정]] || || '''원내대표''' ||''공석'' || || '''사무총장''' ||정우창 || || '''정책위의장''' ||''공석'' || ||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e4002b;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붉은색 {{{-2 (#E4002B)}}}}}}}}} || || '''후원회''' ||'''[[https://www.peoplefutureparty.kr/%ED%9B%84%EC%9B%90%EC%95%88%EB%82%B4|{{{#e4002b 국민의미래 중앙당후원회}}}]]''' || ||<-2> [[https://www.peoplefutureparty.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s://blog.naver.com/pfparty|[[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 | [[https://youtube.com/channel/UCpjghsdqqD4J8cXAvWuWHP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https://facebook.com/profile.php?id=61556605884242|[[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https://instagram.com/people_future_part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2> {{{-2 2024. 4. 26. 기준}}}||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당]]이자 [[국민의힘]]의 [[대한민국의 비례위성정당|비례위성정당]]. [[국민의힘]]이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의 지시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발족한 정당으로, 지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제21대 총선]]에 이어 제22대 총선도 한국식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로 치를 가능성이 높아지자 이로 인한 의석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비례대표 의석 확보용으로 만든 위성정당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43319?sid=165|#]] == 역사 == * 1월 31일, 국민의힘은 지속적으로 병립형 회귀를 관철하던 상황에서 국회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연동형과 병립형 사이에서 선거제를 결정하지 못하자, [[국민의힘]]은 현행인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맞추어 온라인으로 위성정당 창당 발기인 대회를 열었다. 당직자들을 중심으로 200명 이상의 동의를 받아 창당준비위원회를 구성하며 창당 절차에 착수했다. * 3월 11일, [[김은희(1991)|김은희]] 의원의 당적이 국민의힘 소속이라고 공천 신청이 반려당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495686638822336&mediaCodeNo=257&OutLnkChk=Y|#]] * 3월 13일, 국민의미래가 [[22대 총선]]에서 전국통일기호를 받도록 의원들을 이적시키기 위해,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가 비례의원 8명의 제명을 의결했다. 이틀 뒤인 3월 15일 의원총회에서 최종 제명이 결정되면 이들은 [[국민의힘]]에서 출당된 뒤 곧바로 국민의미래에 입당한다. * 징계 의결된 의원은 [[김근태(1990)|김근태]], [[김예지(정치인)|김예지]], [[김은희(1991)|김은희]], [[노용호]], [[우신구]], [[이종성(1970)|이종성]], [[정경희]], [[지성호]] 의원, 총 8인이다. * 3월 15일, 오전에 열린 국민의힘 화상회의에서 앞서 언급된 의원 8명을 만장일치로 제명시켰다. 이들은 빠른 시일 내에 그대로 국민의미래에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 * 3월 21일, 국민의힘에서 원하는 국민의미래의 기호는 4번인데, 앞번호를 받기 위해서는 직전 총선에서 3% 이상 비례득표를 하거나, 지역구 의원을 5명 이상 포함해야 한다. 그런데 국민의미래에는 비례대표 8명만이 있기 때문에, 이대로 가다가는 직전 총선에서 10% 내외의 득표를 했던 녹색정의당, 지역구 의원 5명이 포함된 새로운미래에 앞 번호를 빼앗기게 된다. 때문에 기호 확정일을 하루 앞두고 급하게 지역구 불출마 의원들을 이동시키고 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선거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4032211113855332|#]] * 3월 22일, 5인의 당적 이동 작업이 완료되었다고 [[장동혁(정치인)|장동혁]] 사무총장이 밝혔다. [[https://www.donga.com/news/NewsStand/article/all/20240322/124110696/1|#]] 이로써 국민의미래는 기호 4번을 받게되었다. 1당인 더불어민주당과 2당인 국민의힘에서 비례 후보 추천을 하지 않기 때문에 4년 전 21대 총선 때와 똑같이 비례정당 투표용지의 '''두 번째 칸'''을[* 21대 총선 때는 당시 원내정당 중 최다 의석을 보유한 정당이 20석의 3당 [[민생당]]이라서 민생당이 첫 번째 칸인 기호 3번, 17석을 보유했던 미래통합당의 비례위성정당 [[미래한국당]]이 두 번째 칸인 기호 4번, 8석을 보유했던 더불어민주당의 비례위성정당 [[더불어시민당]]이 세 번째 칸인 기호 5번을 차지했다.] 차지하게 된다. * 4월 16일, 국민의힘-국민의미래 합당 결의가 있었다. 합당을 위한 실무 작업에도 착수하였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40416_0002701194&cID=10301&pID=10300|#]] * 4월 2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흡수 합당을 신고하였다. * 4월 2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흡수 합당을 공고하였다. 홈페이지도 접속 불가가 뜬다. == 강령 및 정책 == === 발기취지문 === {{{#!wiki style="border-top: 5px solid #e4002b; border-bottom: 2px solid #e4002b;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b5e2 33.5px, transparent 33.5px), linear-gradient(315deg, #e4002b 33.5px, rgba(125,125,125,.1) 33.5px); text-align: center" {{{#e4002b {{{+1 '''[[파일:국민의미래 붉은색 로고.svg|height=20&theme=light]][[파일:국민의미래 흰색 로고.svg|height=20&theme=dark]] {{{#E61E2B,#fff 발기취지문}}}'''}}}}}}}}}{{{#!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rgba(125,125,125,.03); border-bottom: 2px solid #e4002b; text-align: center" {{{#!folding [ 발기취지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5px" 우리는 빛나는 역사와 전통의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지키고, 미래세대가 평화와 풍요 속에서 희망의 꿈을 꾸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지속가능한 번영의 나라로 만들고자 합니다. 한강의 기적으로 불린 산업화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는 변화와 개혁을 주도해 오늘의 우리는 물론 미래세대에게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지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앞장서 나가겠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대한민국은 온 국민을 기망하는 내로남불 거대야당으로 인해 병들어가고 있습니다. 국민의 기대를 한몸에 받고 180석의 의석을 가지고 시작한 21대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4년간 국민께 도대체 무엇을 안겨드렸습니까, 내로남불, 후안무치, 오만독선의 모습 말고 도대체 무엇을 보여드렸습니까. 국민여러분께 약속드립니다. 국민의미래는 금번 총선 승리에 안주하지 않고,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해 나가겠습니다. 국민의미래는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열망의 상징입니다. 우리는 다양한 경험과 역량을 가진 국민들이 모여 미래를 개척하고 선도하는 정당이 될 것임을 약속합니다. 미래세대가 번영하는 대한민국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국민의미래는 공정한 사회, 경제의 안정을 추구하며, 미래 세대에게 더 나은 환경을 물려주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우리가 가진 모든 역량을 모으겠습니다. 이제, 우리는 국민의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새로운 여정을 시작하고자 합니다. 협력과 이해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향해 힘차게 나아가겠습니다. 우리의 미래는 국민여러분의 손에 달려있습니다. 함께 만들어 나가는 국민의미래, 그 빛나는 미래를 위해 국민 여러분, 국민의미래에 지지와 참여를 호소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강령 === {{{#!wiki style="border-top: 5px solid #e4002b; border-bottom: 2px solid #e4002b;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b5e2 33.5px, transparent 33.5px), linear-gradient(315deg, #e4002b 33.5px, rgba(125,125,125,.1) 33.5px); text-align: center" {{{#e4002b {{{+1 '''[[파일:국민의미래 붉은색 로고.svg|height=20&theme=light]][[파일:국민의미래 흰색 로고.svg|height=20&theme=dark]] {{{#E61E2B,#fff 강령}}}'''}}}}}}}}}{{{#!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rgba(125,125,125,.03); border-bottom: 2px solid #e4002b; text-align: center" {{{#!folding [ 강령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5px" 국민의미래는 빛나는 역사와 전통을 지닌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수호하며, 평화와 풍요 속에서 미래세대가 희망의 꿈을 꾸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지속 가능한 번영의 나라를 만든다. 국민의미래는 자유민주주의 이념과 시장경제 원칙을 바탕으로, 선진 대한민국의 영속을 위해 존재한다. 이를 위해 절차적 민주주의와 실질적 민주주의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는 한편, 차별 없는 공정한 경쟁의 법칙이 대한민국 사회에 살아 숨쉴 수 있도록 진력한다. 또한, 경쟁사회 속에서도 우리 사회의 약자와 소외계층이 정치적·경제적·사회적 격차 없는 자유롭고 평등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보호할 수 있는 제도와 장치를 구상한다. 미래 세대의 먹거리를 위해서는 전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프론티어 산업 등을 적극 발굴하고, 우수 인재를 육성하는 등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한다. 아울러, 정치개혁과 정치혁신을 통해 여의도 정치의 특권을 내려놓고 동료 시민이 희구하는 정치와 정당의 미래를 만들어 나간다. 국민의미래는 공정하고 정의로운 희망의 나라, 사회적 약자와 소외계층이 희망을 품고 구성원 모두가 함께 잘 사는 나라, 국가의 밝은 미래를 동료 시민과 함께 만들어 가는 나라를 실현한다.}}}}}}}}} == 역대 지도부 == [include(틀:국민의미래 대표)]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초대 || [[조혜정(정치인)|조혜정]] || [[2024년]] [[2월 23일]] ~ [[2024년]] [[4월 26일]] || || === 중앙당 지도부 === [include(틀:국민의미래 중앙당)] ==== 창당준비위원회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e4002b" {{{#000000,#FFF '''2024년 1월 31일 - 2024년 2월 23일'''}}}}}} * 창당준비위원장 * [[안정호(정치인)|안정호]] ==== 초대 지도부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e4002b" {{{#000000,#FFF '''2024년 2월 23일 - 2024년 4월 26일'''}}}}}} * 당대표: [[조혜정(정치인)|조혜정]] * 사무총장: 정우창 * 최고위원: 정우창, [[조혜정(정치인)|조혜정]], [[안정호(정치인)|안정호]] * 중앙당 후원회장: 장동석 * 공천관리위원회 * 위원장: 유일준 법무법인 케이디에이치 대표 * 위원: 전종학 경은국제특허법률사무소 대표변리사 * 위원: 전혜진 한양사이버대 호텔외식경영학과장 ==== 선대위 지도부 ==== * 선거대책위원장: [[인요한]] * 공동선대본부장: [[강선영(군인)|강선영]], [[김건(외교관)|김건]], [[김민전]], [[진종오]] * 부위원장: [[한지아(의사)|한지아]], [[김위상]], [[김화진]], [[안상훈]], [[이달희]], [[최수진(교수)|최수진]] * 종합상황실장: [[김병욱(1977)|김병욱]] * 종합상황부실장: [[김민정]] * 공보단장: [[김장겸(기자)|김장겸]] * 대변인: [[강세원]], [[김소희(1973)|김소희]], [[남성욱]], [[박준태]], [[박충권]], [[유용원]], [[이소희]], [[정혜림(1992)|정혜림]], [[최보윤(정치인)|최보윤]] === 시도당 지도부 === *부산시당 위원장: [[김은숙(1945)|김은숙]] *대구시당 위원장: 장상훈 *울산시당 위원장: 이도희 *경북도당 위원장: 장영환 *경남도당 위원장: 정성동 == 소속 인원 == [include(틀:분류 참고, n1=국민의미래 소속)]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국민의미래)] 흡수 합당 직전의 현역 의원들이다. == 다른 정당과의 관계 == === [[국민의힘]] === 국민의미래는 국민의힘의 위성정당이다. 사실상 국민의힘과 하나의 정당으로 볼 수 있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우리 당이라고 보면 된다'라고 인터뷰할 정도이다. === [[더불어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의 비례위성정당이고, 사실상 별다른 교류는 없지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만큼 관계가 험악할 것으로 보인다. === [[조국혁신당]] === 더불어민주당보다 국민의힘에 적대적인 정당이기 때문에, 조국혁신당과 국민의힘만큼 관계가 험악할 것으로 보인다. === [[개혁신당]] === 개혁신당에 당내 의견 차이로 국민의힘을 탈당한 세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관계가 좋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선거 국면에서 별 다른 분쟁도 없었다. === [[자유통일당]] === 의외로 자유통일당과의 분쟁이 발생했다. [[인요한]]이 자유통일당의 '28청춘' 슬로건이 선거법 위반이라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조치 한 것. [[자유통일당]]은 해당 구호는 일부 지지자들이 SNS에서 자체적으로 홍보한 것이며, 자유통일당의 공식 구호는 '7전8기'라며 반박했다. 이를 두고 국민의미래가 비례 의석 깎이는 것이 두려워 자유통일당을 견제한 것으로 해석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408038500001?input=1195m|#]]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229|#]]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22대 국회의원 선거/후보자/국민의미래)] == 비판 및 논란 == === 호남 홀대 논란 === [youtube(gbGCA5JjVZc)] 2024년 3월 18일 발표된 국민의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의 비례대표 후보 35명 중에 [[전북특별자치도|전북]] 출신은 단 한명도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미래는 18일 후보 추천을 마무리하고 비례대표 후보 35명을 발표했다. 이 명단에는 가능성이 높은 20번 이내는 물론 35번에도 전북 출신은 찾아 볼 수 없었다.[[https://v.daum.net/v/20240318174424739|#]] 3월 19일 오전 국민의힘 전북 후보자 일동은 긴급 성명을 발표하고 "4.10 총선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명단 발표와 관련해 기대했던 전북 현장 정치인에 대한 배려는 전혀 없었다"고 비판했다. [[https://v.daum.net/v/20240319155151823|#]] 비례대표 24번에 배치된 [[주기환]] 전 국민의힘 광주시당위원장이 3월 18일 비례대표 순번에 반발하며 사퇴 의사를 밝혔다. 주 전 위원장은 발표 직후 보도자료를 내고 “[[광주광역시|광주]]에 대한 배려는 아예 없었다”며 “비례대표 후보를 사퇴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힘은 비례대표 당선권에 호남 인사를 25% 우선 추천하는 내용을 당규에 담았지만 이번 공천에서 광주는 완전히 배제됐다”며 “당이 당원들과의 약속을 저버렸다”고 비판했다. [[https://v.daum.net/v/20240318173115329|#]] 3월 19일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후보자 명단에 호남 인사가 적은 것과 관련해 "국민과 한 약속은 지키는 게 맞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https://v.daum.net/v/20240319111030241|#]] 국민의힘 당헌과 달리, 국민의미래 당헌에는 호남 우선 추천 관련 내용조차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https://v.daum.net/v/20240319164456917|#]] === [[국민의힘 제22대 총선 공천 갈등#s-3.5|비례대표 공천 갈등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민의힘 제22대 총선 공천 갈등, 앵커=비례대표 사천 논란)] 비례대표 공천에 당원이나 국민이 일절 참여하지 못하고, 지도부에서 독단적으로 공천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지도부간의 갈등이 있었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32016130005266|#]] [[https://v.daum.net/v/20240320195826813|#]] [[http://v.daum.net/v/20240320193133110|#]] [[https://v.daum.net/v/20240320175321190|#]] [[https://v.daum.net/v/20240320005807111|#]] [[https://v.daum.net/v/20240319115322471|#]] 우선 2024년 3월 18일 발표된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명단을 둘러싸고 [[친윤]]과 [[한동훈]] 측이 서로 사천 논란을 제기하면서 내부 갈등이 격화됐다. [[https://v.daum.net/v/20240320175321190|#]] [[https://v.daum.net/v/20240320175321190|#]] 친윤계들도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익명을 요구한 의원은 "한 위원장이 혼자 다 한 것 같은데 '사(私)'가 끼었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고, 다른 의원도 "이해할 수 없는 인사들을 밀어 넣은 게 사천이 아니면 뭐냐"고 비판했다. [[https://v.daum.net/v/20240320175321190|#]] 3월 18일 발표된 비례대표 명단에서는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영입한 인사들은 다수가 당선권인 20번 이내에 배치됐으며, 반면 친윤은 후순위에 배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https://v.daum.net/v/20240318193051581|#]] [[https://v.daum.net/v/20240318215009118|#]] [[https://v.daum.net/v/20240320215502184|#]] 2024년 3월 20일에도 이철규 의원은 “진행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았다”라면서 문제를 제기했다. 이 의원은 “국민의미래는 국민의힘의 자매정당이다. 국민의힘과 국민의미래는 한 몸”이라며 “국민의미래 당직자 임명부터 공천 과정이 한동훈 비대위원장 책임하에 진행돼온 점도 부인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https://v.daum.net/v/20240320165102293|#]] === "이재명, 독립운동가 같은 근거 없는 당당함" 논평 논란 === 국민의미래가 2024년 4월 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해 “마치 독립운동가 같은 근거 없는 당당함은 국민감정만 자극할 뿐”이라고 했다가 표현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받자 논평 문구를 삭제했다. 김시관 국민의미래 선거대책위원회 공보단 대변인은 이날 국민의미래 출입 기자단 단체 대화방에 “대장동 개발 비리 관련 재판에 출석한 이 대표의 법원 앞 성명서는 적반하장의 전형”이라며 이같은 최초 논평을 게시했다. 한 출입 기자가 ‘자칫 독립운동가를 비하하는 발언으로 비쳐질 수 있다’고 지적하자 김시관 대변인은 ‘독립운동가’ 문구가 포함된 문장만 지우고 논평을 재공유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325458?lfrom=twitter|#]] === "정치인들 국민 수준 너무 높게 봐" 발언 === 2024년 5월 7일, [[국민의힘]] [[윤상현(정치인)|윤상현]] 의원이 주최한 정치권 세미나에서 국민의미래 비례후보 20번이었던 남성욱 고려대 통일융합연구원장이 "총선 당시 '국민의미래'라는 비례정당 이름이 어려웠다"며 "정치인들이 우리 국민 수준을 너무 높게 생각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는 보도가 나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347034|#]] == 선거 결과 == == 기타 == * '국민만 보고 찍으세요'라며 국민의힘과의 연대를 강조하였다. * '국민의길', '시민의힘'도 후보 당명 중 하나였다. [[https://v.daum.net/v/20240127192504458|#]] * 하지만 당명이 헷갈려서 [[한나라당(2014년)|한나라당]]을 찍었다는 유권자도 많았다는 후문이다. 이에 국민의미래 비례대표로 나섰던 남성욱 후보는 낙선자 총회에서 당명이 '국민의 수준을 너무 높이 평가했다'고 국민 탓을 했다.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95061|#]]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역대 여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비례위성정당(문재인 정부-현재))] [include(틀:국민의힘 관련 문서)] [include(틀:한국 보수정당의 계파 역사)] [각주][[분류:국민의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