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과천시 소재 관공서)] ||<-2> {{{+1 '''국사편찬위원회'''}}}[br]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 國史編纂委員會 || ||<-2> [[파일:국사편찬위원회 CI.svg|width=300]] || || '''설립일''' ||[[1946년]] [[3월 23일]]|| || '''전신''' ||국사관|| || [[국사편찬위원회장|{{{#fff '''위원장'''}}}]] ||김인걸|| || '''슬로건''' ||'''함께하는 역사, 미래로 세계로'''|| || '''소재지''' ||[[경기도]] [[과천시]] [[교육원로]] 86|| || '''상급 기관''' ||[[대한민국 교육부|]]|| || '''홈페이지''' ||[[http://www.history.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https://youtube.com/channel/UCFGT4YC0Kzg3yAMAfgJXOx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history.go.kr/05_05_img2.jpg|width=100%]]}}} || ||<#003764> [[경기도]] [[과천시]]에 있는 국사편찬위원회 전경 || [목차] [clearfix] == 개요 == {{{+1 '''[[國]][[史]][[編]][[纂]][[委]][[員]][[會]] /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 ||'''사료의 수집ㆍ편찬 및 한국사의 보급 등에 관한 법률 제4조(국사편찬위원회의 설치)''' [[한국사]] 연구의 심화와 체계적인 발전을 위하여 [[교육부장관]] 소속으로 국사편찬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 국사편찬위원회는 [[한국사]]를 연구하고 그 체계를 정립함에 필요한 각종 사료의 조사·수집·보존·편찬과 이를 바탕으로 한 한국사의 연구·편찬·연수·보급을 원활하게 하여, 한국사 연구의 심화와 체계적인 발전 및 국민의 역사인식 고양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국가기관]]이다. 직제상 [[대한민국 교육부]]의 소속기관으로 되어 있다. == 연혁 == 국사편찬위원회는 [[8.15 광복]] 직후인 [[1946년]] 사료소실의 방지를 위해 [[미군정청]]과의 교섭을 통해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수회가 가지고 있던 자료를 인수받아 [[경복궁]] 뒤뜰 집경당에 국사관을 설치하면서 시작한다.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1949년]] 국사편찬위원회로 개편되었고, 위원장은 문교부 장관이 겸하는 제도로 이어져오다가 [[1965년]] 전임 위원장 제도가 시행되었다.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은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임명한다. [[1987년]] '사료의 수집 및 보존 등에 관한 법률'[* [[2008년]] [[2월 29일]] '사료의 수집ㆍ편찬 및 한국사의 보급 등에 관한 법률'로 제명이 변경되었다.]이 제정되면서 법률기관이 되었다. 이 해에 현재의 과천 청사로 신축 이전했으며, 위원장은 정무직 차관급으로 격상되었고, 편사연구직제도 부활하면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과천 청사에 이전하기 전에는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도서관, [[경복궁]] 집경전, [[서울시]] 건강관리소 건물 등을 전전하였다. 이 때문에 사료 보관 등의 문제가 있어서 일찍부터 독립 청사의 필요성을 언론에서 지적하기도 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3071000329205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3-07-10&officeId=00032&pageNo=5&printNo=8548&publishType=00020|'獨立廳舍(독립청사)없어 移徙(이사)잦은 國史編纂委(국사편찬위) 귀중한 史料(사료) 보관에 큰 困難(곤란)']]([[1973년]] [[7월 10일]] [[경향신문]]) == 목표 == * [[한국사]] 연구의 사료 기반 구축 * 최고의 사료·[[역사]] 정보 서비스 * [[역사교육]] 강화, 역사 대중화 실현 * [[한국]] [[역사학]]의 국제적 경쟁력 강화 == 주요업무 == 국사편찬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사료의 수집 ㆍ 편찬 및 한국사의 보급 등에 관한 법률 제5조). * 국내외 사료의 조사·수집·보존을 위한 장기계획 및 연차계획의 수립·시행 * [[한국사]] 연구·편찬·연수·보급을 위한 장기계획 및 연차계획의 수립·시행 * 한국사 연수 및 사료관리 전문인력의 육성 등 * 한국사정보화를 위한 장기계획 및 연차계획의 수립·시행 * 한국사 및 사료 관련 기관 간의 협력 및 조정 * 국가 중요 사료 소유자 또는 관리자에 대한 열람·복제 요청 및 국가 중요 사료의 보존·관리·편찬 등 * 그 밖의 사료 조사·수집·보존·편찬 및 한국사 연구·편찬·연수·보급 등 === 한국사 진흥 === [[한국사]] 진흥을 위해 [[1994년]]부터 사료연수과정을 실시하고 있고, [[우리역사바로알기대회]]를 진행하고 있으며, '''역사'''[* [[중학교]] [[역사(교과)|역사]],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세계사(고등학교 과목)|세계사]]][* [[한국사]] 뿐 아니라 [[세계사]] 분야까지 역사 교과 전체의 검정까지 맡고 있다. 국사편찬위의 취지에 맞는지, 검증할 실력이나 인력이 되는지는 의문이지만... 뭐 [[어른의 사정]]이려니 넘어가자. 어쨌건 굳이 따지면 위원회 위원 중에 [[동양사]], [[서양사]] 전공자가 한두명 끼어 있긴 하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고등학교 한국사의 검정을 담당하고 있지 않는다.] [[교과서]]의 [[검정]]과 한국사 관련 연구를 지원 하고 있다. === 사료 수집·관리 === 국내외 사료를 수집,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http://archive.history.go.kr|전자사료관]]과 [[http://library.history.go.kr|전자도서관]]을 통해 사료를 공개하고 있으며, 사료의 영구보존에도 노력하고 있다. === 한국사 연구·편찬 === 국사편찬위원회라는 이름이 무색하지 않게 실제로도 공식 [[역사서]]인 [[한국사(도서)|《한국사》]]([[신편 한국사]])를 편찬하고 있다. 내용은 다음 링크들에서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http://library.history.go.kr/search/Collection.ax?id=31|#]]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nh|#]] [[http://contents.history.go.kr/front/nh/main.do|#]] 한국사와 관련된 각종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각종 학술도서도 발간하고 있다. === 한국사 정보화 === * [[http://db.history.go.kr|한국사데이터베이스]] : 한국사 관련 주요 자료 전산화 서비스[* 단 한국사 책은 참고할 때 조심하자. '''[[1984년]]판'''이 올라가있다. 그냥 '한국사'를 보지말고 무조건 [[1997년]]판인 '신편한국사'를 클릭하도록 하자.] * [[http://sillok.history.go.kr|[[조선왕조실록]]]], [[http://sjw.history.go.kr|[[승정원일기]]]] : [[조선왕조]] 편찬 편년자료 전산화 * [[http://contents.history.go.kr|우리역사넷]] : 역사교양컨텐츠 제공 한국사 웹서비스 * [[http://www.koreanhistory.or.kr|한국사역사정보시스템]] : 한국사 관련 사이트 통합검색 *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hb|한국사연구휘보]] : 한국사 연구 활동 및 학계 동향 조사·정리 * [[http://thesaurus.history.go.kr|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한국사 용어에 대한 [[시소러스]]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주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우리역사바로알기대회]] 주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리역사바로알기대회)] [[청소년]]들의 역사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을 높이기 위해 매년 [[우리역사바로알기대회]]라는 이름으로 대회를 열고 있다. == 역대 위원장 == * 국사관장 * [[신석호]] (1946. 03.23 ~ 1949.03) * 문교부 장관 겸임 (1949. 03 ~ 1965. 01) * 전임 위원장 * 김성균 (1965. 02.20~1969.10.01 / 1970.06.11~1972.09.25) * 최영희 (1972.09.26~1982.07.07) * 이현종 (1982.07.08~1984.01.10) * 박영석[* 딸 '''박주'''는 [[대구가톨릭대]] 역사교육과 교수, 아들 형제인 '''박환'''은 [[수원대]] 사학과 교수, '''박단'''은 [[서강대]] 사학과 교수, '''박강'''은 [[부산외국어대]] 역사관광학과 교수이고, 조카가 [[한성대]]에서 역사를 가르치고 있으며 그 아들도 [[역사학]]을 전공했다. 4대가 역사를 전공한 한국에서 손꼽는 '''역사학 가문'''이다.] (1984.02.15~1994.07.13) * 이원순 (1994.09.26~1999.08.01) * [[이성무]] (1999.08.02~2003.06.03) * 이만열 (2003.06.04~2006.08.08) * 유영렬 (2006.08.09~ 2008.03.07) * 정옥자[* 전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최초 여성 위원장이다](2008.03.08~ 2010.09.26) * [[이태진]] (2010.09.27~ 2013.09.26) * [[유영익]] (2013.09.27~ 2015.03.27) * [[김정배]] (2015.03.30~ 2017.05.22) * [[조광(교수)|조광]] (2017.06.11~ 2021.04.08) * 김인걸 (2021.04.09~) == 기타 == * 본관이 [[청와대]] 본관과 흡사하게 생겨서 몇몇 [[드라마]]나 [[영화]]에서 촬영지로 이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MBC]]의 정치 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서는 청와대 본관 건물로 국사편찬위원회 건물이 등장한다.] [[도시전설]] 중에 유사시 이곳을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집무실로 사용하기 위해서 청와대 본관과 비슷하게 건축했다는 것이 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며, 인근의 [[수도방위사령부]] 경내에 있는 B1문서고에 대한 내용이 와전된 것이다. B1문서고는 전시 대통령 집무실이 마련되어 있는 곳이다. * 본관 앞의 정원에 있는 [[연못]]은 [[문자명왕]] 시대의 [[삼국시대|삼국]] 판도 모양으로, [[한민족]] 역사상 최대 판도를 형상화한 것이다. [[분류:대한민국 교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