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br](부산미래IFC의원 부설검진센터) || ||<-3> [[파일:Busan2.svg|width=30]] || || [[장산역|{{{#!html
장산 방면}}}]][[문현역|문 현]][br]← 0.8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html
2호선
(217)
}}}]] || [[양산역|{{{#!html
양산 방면}}}]][[전포역|전 포]][br]0.9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Busan Int'l Finance Center·Busan Bank}}} || || [[한자]] ||<-2> 國際金融센터·釜山銀行 || || [[간체자]] ||<-2> 国际金融中心·釜山银行 || || [[가나(문자)|가나]] ||<-2> 国際金融センター·釜山銀行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전포대로]] 지하97 ([[문현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전포역|전포관리역]] 소속 / [[제2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부산교통공사|[[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width=150]]]]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2001년 8월 8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심도: 12.89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섬식 승강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17번.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전포대로]] 지하97 ([[문현동]]) 소재. || [[파일:국제금융.jpg|width=50%]] || || 역에 비치된 휴메트로 [[스탬프 투어|스탬프]]의 배경은 [[문현금융단지]]이다. 문전역 시절에 스탬프를 만들었지만, 지금은 새로운 스탬프(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표기)가 비치되어 있다. || == 역 정보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국금부행역 2호선.jpg|width=100%]]}}}|| || 대합실 || [[2014년]] [[12월 12일]]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됐다. == 역명 == [[2014년]] [[11월 5일]]까지 [[문현동|'''문'''현동]]과 [[전포동|'''전'''포동]]에서 한자씩 딴 문전역(門田驛)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워낙 이름이 길어 아직도 '''문전역'''이란 이름을 많이 사용한다. 이렇게 앞글자를 따서 급조한 역명이라고 지역 주민들에게도 까이기도 했고 역 주변에 조성되고 있는 [[문현금융단지]]로 역명을 바꾸자는 여론이 일고 있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0419436|관련 기사]] 일단 [[부산교통공사]]는 행정적 혼란 및 다른 지역의 잇따른 역명 변경 요구 등의 이유를 들어 반대하고 있었다.[* 당시 [[동백역(부산)|동백역]] 인근 주민들 또한 동백역을 [[마린시티]]역으로 바꿔줄 것을 요구했으나 문전역과 같은 이유로 반대했다.] 그러나 [[2014년]] [[4월]] [[부산교통공사]]는 역명심의위원회를 열어, [[부전역(도시철도)|부전역]]의 부역명 선정과 함께 역명 변경을 심의하기로 결정했다. '''[[문현금융단지]]''', '''[[부산국제금융센터|국제금융센터]]''',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 등의 이름이 새 역명 후보로 나왔다.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40402.99002151609|기사링크]] [[2014년]] [[11월 6일]]에 이름이 '''[[부산국제금융센터|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바뀌게 된다는 [[부산교통공사]]의 발표가 있었다.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view.do?board_no=28005&conf_no=108&menu_no=1001060501&c_page=1&geulmeori=&search_key=jemok&keyword=부산은행|보도자료]] 따라서 [[대구은행역]]에 이어 '''국내 철도역 중 상업 [[은행]]명을 사용하는 2번째 역'''이자, 서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9글자를 넘어서는 10글자의 역명을 가진 '''국내 철도역 중 가장 긴 이름의 역'''이 됐다.[* 2위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3위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김대중컨벤션센터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 [[경기도청북부청사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 [[송도달빛축제공원역]], [[의정부경전철 차량기지임시승강장|차량기지임시승강장]] --덕분에 [[끄투]]에서 자주 쓰인다--][* 참고로 [[병림픽]]의 결과물로 널리 알려진 동일 노선의 [[경성대·부경대역|경성대·부경대(동명대학교)역]]은 동명대학교가 부역명인 관계로 순위권에 들지 않는다. 거기에 비슷한 [[유성온천역|유성온천(충남대.목원대)역]]도 있다. --하지만 임팩트는 이쪽이 세다.--] [[2014년]] [[11월 6일]]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최종 확정했으며, 노선도의 역명과 안내판 등을 빠른 시일 내에 교체할 것을 밝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0476787|#]] 한 달쯤 지난 [[2014년]] [[12월 5일]] 기준 역명판이 갱신됐다. [[파일:attachment/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bifcbbs.jpg]]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역명판. 현재는 새로운 양식으로 바뀌었다.[* 참고로 숫자 '''217'''이 휴메트로 형식인 것을 알 수 있다. 문전역 시절에는 '''217'''이 [[지하철체]]였다.] ||[youtube(518tAnbSBTk)]|| || 해당 안내방송은 왼쪽 출입문 안내가 '내리실 문은 왼쪽입니다.'으로 [[수도권 전철]] 안내방송과 동일하게 바뀌었다. || 한편 [[2009년]]부터 시행한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을 이용하여 운영 수익을 거둘 수 있는데도 본역명에 [[부산은행]]을 포함시킨 것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부산교통공사]]는 [[부산은행]]을 본역명에 넣은 것은 지역 공헌을 감안하여 결정한 것으로 역명을 바꾸는 비용은 [[부산은행]]에서 부담한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부산교통공사]] 노조는 역명 사용료를 받지 않은 채 간판 교체 비용만 받는 것은 특혜라고 주장하고 있으며,[[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260363|링크]] [[2014년]] [[12월 26일]]에는 [[부산광역시]]의 어떤 시민단체가 이러한 이유로 [[부산교통공사]]를 배임 혐위로 검찰에 고발하는 일도 벌어져 논란의 불씨는 꺼지지 않고 있다.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41227000035|#]][* [[대구은행역]]엔 여태껏 아무 일도 없다.] [[한국어]] 역명과 달리 [[영어]], [[일본어]], [[중국어]] 표기 역명에는 국제금융센터 앞에 '부산(Busan, 釜山)'을 추가로 붙인다. 사실 [[부산국제금융센터|어원을 따져보면]] 한국어 역명도 '부산'을 붙이는 쪽이 정확하다고 할 수 있는데 만약 그랬다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이름 역 기록은 더욱 견고해졌을 듯(...) 여담으로, 영문 역명의 글자수는 40자로, 세계에서 가장 긴 역명을 가진 [[흘란바이르푸흘귄기흘고게러훠른드로부흘흘란터실리오고고고흐]](llanfairpwllgwyngyllgogerychwyrndrobwllllantysiliogogogoch)역[* [[웨일스]] 아일오브앵글 소재]과 '''18자 차이이다. [[파일: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jpg]] 차내 LED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역명을 표출한다. 원래 부산 2호선의 다른 역에서는 LED가 한 번에 한글과 영어 역명을 같이 표기하는데 반해,[* [[파일:Seomyeon.jpg]] 예를 들면 이런 식으로.] 이 역은 역명이 너무 길어서 한글과 영어 역명을 번갈아가면서 표시한다.[* [[부산대양산캠퍼스역]] 역시 동일하다. 과거에는 부산대양산CA역으로 표출했고, 영문도 같이 나왔지만 어느날 현재와 같이 개정됐다.] 병기역명도 전국에서 가장 긴 이름을 가졌는데, 그전까지만 해도 [[서구청역]]의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총 14글자)로 한때 가장 길었으나, 이 역이 '''부산미래IFC의원 부설검진센터'''(총 15글자)로 1글자 차이로 서구청역을 밀어내고 1위로 올라섰다. 승강장쪽 4개의 역명판은 휴메트로 UI로 교체했지만 아직까지 선로쪽은 휴메트로 UI 역명판으로 교체하지 않았다. == 역 주변 정보 == 역 위로 [[동서고가로]]가 지나가기 때문에 [[섬식 승강장]]으로 지어졌으며 [[섬식 승강장]] 중에서 운전 취급을 할 수 없는 몇 안 되는 역이다.[* 동서고가로를 건설할 당시에 지하철 구조물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940122000054|건설을 병행했다고 한다.]]] 동서고가로로 인해 승강장 폭이 좁은 편이다. 또한 이 역에서 문현역 방향으로 선로 중앙 기둥의 폭이 좁다가 넓어지는 것이 몇 번 나오는데, 이 역시 동서고가로 기둥 부분의 하중을 버티기 위해 넓게 지은 것이다. 역세권이라고 할 만한 것이 [[이마트 문현점]], 지오플레이스[* [[홈플러스 서면점]], [[CGV 서면]]이 있다. 여담으로 지오플레이스 건물은 CGV와 홈플러스 빼고는 다 망한 상태. 거의 [[폐건물]]에 [[CGV 서면]]과 [[홈플러스 서면점]]만 들어서 있다. [[신촌역(경의선)]]의 [[메가박스 신촌]] 건물처럼 개점휴업이나 다름없다.]를 제외하면 아무것도 없는데다가 [[시내버스]] [[환승]] 여건도 상당히 열악해서 승객수가 적다. 그러나 바로 옆에 [[문현금융단지]]가 조성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가 기대되는 역이다. [[부산은행]] 신 사옥은 1번/3번 출구 근처로 이전하여 [[2014년]] [[11월 4일]]에 준공식을 열었으며 바로 뒤에 [[부산국제금융센터]]가 있다. [[대구은행역]]의 사례처럼 역명을 변경하는 게 확정됐으며, [[부산은행]] 본점과의 지하 연결 통로가 역 출구 쪽으로 있는 [[부산은행]] ATM 옆에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2호선|[[파일:Busan2.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4,387명 || || || 2003년 || 4,991명 || || || 2004년 || 5,208명 || || || 2005년 || 5,095명 || || || 2006년 || 4,962명 || || || 2007년 || 4,746명 || || || 2008년 || 4,868명 || || || 2009년 || 4,915명 || ||}}}}}}}}} || || 2010년 || 5,041명 || || || 2011년 || 5,251명 || || || 2012년 || 5,319명 || || || 2013년 || 5,347명 || || || 2014년 || 5,784명 || || || 2015년 || 8,431명 || || || 2016년 || 8,743명 || || || 2017년 || 8,960명 || || || 2018년 || 9,220명 || || || 2019년 || '''9,903명''' || || || 2020년 || 8,160명 || || || 2021년 || 8,248명 || || || 2022년 || 8,740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 [[문현금융단지|혁신도시]]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도심과 가까운 역임에도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의 대명사로 이름을 날렸다. 2000년대까지는 무려 하루 평균 5,000명도 안 될 만큼 저조한 수요를 보였는데, 수치만 보면 부산 도심이 아닌 외곽 시골지역의 역이라 해도 믿을 수준이었다. 그러나 혁신도시 구역이 삽을 뜨기 시작하면서 점점 활기를 찾기 시작했는데, 2014년 8월 22일 [[한국거래소]],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있는 [[부산국제금융센터]] 건물이 개장한 이래로 이용객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공교롭게도 역명이 바뀐 시기가 2014년 12월인지라, 이름이 바뀌면서 동시에 이용 승객이 늘었다. 그 뒤로 [[한국은행]], [[기술보증기금]], 부산금융박물관로드가 속속 입주하면서 역세권이 활기를 뜨기 시작했지만, 역 위를 지나가는 [[동서고가로]]가 조망권을 심각하게 해쳐 역세권 환경이 크게 개선되지 못해 이용객이 극적으로 늘어나지는 않았다. 개장 전 5,000여 명 수준에서 개장 후 8,000여 명으로 약 3,000명 증가에 그쳤다. 혁신도시 개발이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황이라 향후 이용객이 더 증가할 여지가 충분히 있지만, 역세권 전체가 업무지구로 탈바꿈하지 않는 이상은 전 역인 [[전포역]]의 수요를 넘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대중교통 이용객 숫자가 대부분 2~30%가량 급감했지만, 이 역은 관광이나 상업수요보다 출퇴근 수요 비중이 매우 높은 점, 바로위의 도로 교통사정으로 인해 큰 하락폭을 보이지 않았다. ==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attachment/BIFCBB2.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17.gif|width=100%]]}}}|| || '''{{{#FFF 역 안내도}}}''' || ||<-4> [[문현역|문현]] ↑ || || ㅣ || {{{#ffffff 하}}} || {{{#ffffff 상}}} || ㅣ || ||<-4> ↓ [[전포역|전포]] || || {{{#ffffff 상}}} ||<|2>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광안역|광안]]·[[수영역|수영]]·[[센텀시티역|센텀시티]]·[[해운대역|해운대]]·[[장산역|장산]] 방면|| || {{{#ffffff 하}}} ||[[서면역|서면]]·[[사상역(도시철도)|사상]]·[[덕천역|덕천]]·[[화명역(도시철도)|화명]]·[[호포역|호포]]·[[양산역|양산]] 방면||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자갈치역|자갈치]] || ◁ || [[서면역|서 면]] || ▷ || [[온천장역|온천장]]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 || [[벡스코역|벡스코]] || ◁ || {{{#c0c0c0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 || ▷ || [[사상역(도시철도)|사 상]]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 || [[수영역|수 영]] || ◁ || [[연산역(부산)|연 산]] || ▷ || [[미남역|미 남]]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 || [[미남역|미 남]] || ◁ || [[동래역(도시철도)|동 래]] || ▷ || [[충렬사역|충렬사]]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 일회용 승차권 사용 불가 ([[간접환승]] 구간)]}}}]] || [[부전역(동해선)|부 전]] || ◁ || [[벡스코역|벡스코]] || ▷ || [[오시리아역|오시리아]] || == 연계 교통 ==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정류장 번호: 07-067) * [[부산 버스 24]] - 서면행 * [[부산 버스 138-1]] - 신평공단(구평)행 * [[부산 버스 583]] - 용당동행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정류장 번호: 07-168) * [[부산 버스 24]] - 오륙도스카이워크행 * [[부산 버스 138-1]] - 용당동행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 [[부산 버스 남구5]] * [[부산 버스 남구10]] * [[부산 버스 부산진12]]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 목록)] [[분류:2001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 도시철도 2호선]][[분류:남구(부산)]][[분류:전포대로]][[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부산국제금융센터]][[분류:BNK부산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