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메이플스토리의 NPC, rd1=군단장(메이플스토리), other2=엘소드의 NPC, rd2=군단장(엘소드), other3=로스트아크의 NPC, rd3=군단장(로스트아크), other4=로마군의 레기온 지휘관, rd4=레가투스(로마))] [include(틀:육군편제단위)] [목차] == 개요 == {{{+1 [[軍]][[團]][[長]], Corps}}} {{{+1 Commander}}}[* [[콥스]] 커맨더가 아닌, '''코어 커맨더'''다. ps는 [[묵음]].] [[군대]]에서 [[육군]]의 전술제대 중 가장 큰 단위인 [[군단]]의 [[지휘관]].[* 군단보다 상위의 편제 단위인 [[야전군]]은 '''[[작전술]] 제대'''에 속한다. '''[[전술]]제대''' 중에서 제일 큰 단위가 군단이다.] == 상세 == 계급은 통상적으로 [[중장]]만 보임된다.[* [[육군동원전력사령부]]의 경우 군단급 제대임에도 감편부대라 한 계급 아래인 [[소장(계급)|소장]]이 보임한다.] [[대한민국 해군|해군]]의 [[함대사령관]] 및 [[대한민국 공군|공군]]의 [[공군기능사령관]]에 대응한다.[* 다만 해군 함대사령관과 공군 기능사령관은 [[소장(계급)|소장]] 보직이다.]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해병대사령관]]의 경우는 계급도 중장으로 군단장과 동일하며 휘하 부대는 보통 3~5개의 예하사단을 두고 있는 군단에 비해 사단 수가 적어 2개 사단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계급으로 보나 휘하 병력의 규모로 보나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해병대사령관]]은 군단장급이 맡는다. 다만 최근에 부대 개편이 이뤄지면서 [[제1군단|1군단]], [[제7기동군단|7군단]](각 사단 4개)을 제외하고는 사단이 2~3개 정도이므로 해병대사령부와 규모로 따져도 큰 차이가 없다 국방개혁으로 군단 및 [[사단(군사)|사단]]이 통폐합된 결과 2022년 현재는 [[제1군단|1]], [[제2군단|2]], [[제3군단|3]], [[제5군단|5]], [[제7기동군단|7]], [[수도군단]] 등 총 6개 군단이 [[대한민국 육군]]에 편제되어 있다. 전술된 군단들은 보편적인 작전을 하는 일반 작전부대. 이외에 특별한 작전만 하는 기능작전부대 중 [[서울특별시]]를 방어하는 [[수도방위사령부]], 게릴라전과 대(對)게릴라전을 수행하는 [[육군특수전사령부]] 또한 군단급 부대이다. [[기행부대]]인 [[육군군수사령부]]와 [[육군교육사령부]]도 군단급 부대다. 동원부대의 최상위부대인 [[육군동원전력사령부]] 역시 군단급 부대이다. 군단장 중 의전서열 최상위가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해병대사령관]]이며 해병대사령관은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로 구성된 병종 중 해병대 최상급자의 자격이 있기 때문에 군단장 최상위이며 최하위가 육군동원전력사령관이다. 육군동원전력사령관은 완편된 부대가 아닌 간소화된 부대의 특징상 군단장 최하위로 그래서 중장이 보직되는 다른 군단장들과는 달리 중장 진급이 좌절된 소장이 보직된다.[* 동원직능의 장교의 경우 진급 상한선이 소장인지라 사실상 중장 이상의 진급은 힘들다.] 군단장 위에는 [[작전사령관]]이 있지만, 그것은 [[대장(계급)|대장]] [[계급]]이니 실질적으로 가장 높은 지휘관이다. 사단장과는 차원이 다른 사람이다. 군단장은 사단장과는 다르게 장군을 부하 지휘관으로 둔다. [[사단장]]은 장군을 부하 지휘관으로 두지 않지만,[* '부'자가 붙은 직책은 대개 한직이다. 단, 준장(진)이나 막 진급한 준장의 경우 전방 상비사단, 예비사단의 [[작전부사단장]]직을 준장 첫 보직으로 받는다. 그에 비하여 군단은 군단사령부에 설령 부군단장이 공석이라고 하더라도 최소한 참모장(준장)이 상시 있다. 그러나 드물게는 군단 참모장이 준장 진급예정자가 오고+부군단장이 없다면 군단본부에 군단장 혼자만 장성인 난감한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군단장은 자신의 부대에 [[사단장]] 3~5명, [[부군단장]] 1명, 군단 [[참모장]] 1명 및 추가로 [[여단장]] 몇 명 등 본인 제외해도 장성만 10명 가깝게 있을 수도 있다. 과거 다른 지휘관은 경우에 따라 급이 낮을 수 있었다. [[중사]] [[소대장]], [[소위]] [[중대장]], [[소령]] [[대대장]], [[준장]] [[사단장]] 등 급이 낮은 계급이 올 수 있지만 군단장만은 무조건 [[중장]]이 부임하는 것으로 고정되어 있었다. 때문에 지금은 해체된 [[제9군단]]이나 [[제11군단]]은 상비군단에 비해 급이 많이 떨어지는 향토동원군단임에도 불구하고 항상 중장이 보직되었다. [[대한민국 제6공화국|제6공화국]] 이래로 소장이 군단장을 한 사례는 [[육군동원전력사령부|동원전력사령부]] 하나뿐이다. 또한 탄약 및 수류탄 등 '''각종 화약 사용의 승인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보직'''이다. 그런 즉, 사단장도 군단장의 허락을 맡아야 사격훈련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렇게 된 이유는 [[대한민국 해병대]] 때문인데,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해병대사령관]]이 '중장'이기 때문이다. 탄약 사용 승인권한이 중장에서 대장으로 격상된다면, 해병대는 탄약사용을 할 때마다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에게 허락을 맡아야 하는 모양새가 벌어지고 만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사단의 경우는 사단장이 있고, 군단 직할대(다만 군단장이 가까이 있는 군단 본부대는 제외)는 자기 부대의 직속 지휘관이 있기에 [[병사]]들에게는 비교적 존재감이 희미하지만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군단의 모든 것이 바뀌는 존재이다. 밑의 사람들이 알아서 모시기에 군단장이 직접 산을 밀고 강의 흐름을 바꾸게 할 것도 없다. 하급자들 선에서 자연스럽게 정리되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모 군단의 부군단장이 [[GOP]] 초소를 순시중에 일개 초소에서 보고할 때 '군단장님의 지휘방침에 따라'라는 발언을 한다면서 자제하라고 했을 정도. 그래서 병사들에게 다가오는 실질적인 압박만큼은 사단장보다 군단장의 그것이 더 적다. 군단 직할대에도 직접적인 간섭은 없고 분열([[사열]])이나 관리/지휘방침 하달이 오히려 많다. 이 때문에 직할부대의 장병들에게는 '저 높은 구름 위에서 가끔씩 손을 흔들어주는 신선 할아버지' 같은 느낌으로 다가온다고. 군단장은 사단장처럼 직접적으로 휘하 병력을 지휘할 수 있진 않다. 이는 군단이 야전군사령부와 같은 상급부대로부터 수 개의 사단과 각종 전투 및 전투지원부대를 배속받아 운용되므로 하위부대들을 통제하는 사령부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1979년 [[12.12 군사반란]] 당시 신군부측이었던 1군단장 [[황영시]]와 수도군단장 [[차규헌]]은 반란 성공을 위해 부대 출동 명령을 내리는 등의 직접적으로 특별히 한 일은 없었다. 오히려 실질적인 부대 출동은 이들보다 계급이 아래였던 [[제9보병사단|9사단]]장 [[노태우]]와 1·3·5공수여단장인 [[박희도]], [[최세창]], [[장기오]] 등이 주도했다. 단, 군단급 부대라 해도 기능작전부대인 수방사나 특전사는 해당 사령관이 휘하부대에 대한 직접적인 작전지휘권이 있으며, 기행부대인 [[교육사령부|교육사]]와 [[군수사령부|군수사]]는 어차피 군정 위주의 지휘이니 별 임팩트는 없다. 다만,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의 경우는 병력이 너무 뿔뿔이 흩어져 있는 관계로 고도의 지휘능력이 필요하다. [[조선인민군 육군|북한의 육군]]에는 야전군이 없고 군단이 사실상 육군 야전 부대의 최상위에 해당하는 편제이다. 따라서 군단장은 한국군의 야전군사령관과 맞먹는 강력한 권한을 가진다. 휴전선 인근에 전진 배치된 소위 '전연군단'의 군단장은 대장, 후방 군단은 [[상장(계급)|상장]](한국군의 중장)이 맡는다. == [[대한민국 국군]]의 군단장 == [Include(틀:대한민국 국군의 현직 중장)] * [[수도군단장]] * [[제1군단장]] * [[제2군단장]] * [[제3군단장]] * [[제5군단장]] * [[제7군단장]] * ~~[[제6군단장]]~~ * --[[제8군단장]]-- - 강원영동지역을 맡았던 군단. * ~~[[제9군단장]]~~ - 충청도, 전라도를 맡았던 군단. * ~~[[제11군단장]]~~ - 경상도를 맡았던 군단. * 군단장급 사령관 * [[수도방위사령관]] * [[육군특수전사령관]] * [[육군동원전력사령관]] - 군단급이긴 하지만 소장이 부임한다. * [[육군군수사령관]] * ~~[[제1군관구사령관]]~~ - 군단급이긴 하지만 소장이 부임했다. * ~~[[제2군관구사령관]]~~ - 군단급이긴 하지만 소장이 부임했다. * ~~[[제3군관구사령관]]~~ - 군단급이긴 하지만 소장이 부임했다. * ~~[[제5군관구사령관]]~~ - 군단급이긴 하지만 소장이 부임했다. * ~~[[제6군관구사령관]]~~ - 군단급이긴 하지만 소장이 부임했다. == 여담 == * [[중장]]이 [[소장(계급)|소장]] 시절 사단장을 지역방위사단장 또는 동원사단장으로 역임한 경우 군단장직을 좋은 것으로 받아야 [[대장(계급)|대장]]으로 진급할 수 있다는 말이 있다.[* 실제로 [[김관진]] 前 국방장관(예비역 대장)은 전북지역 지역방위사단인 35사단장을 맡았으나 전방 군단인 2군단장을 거쳐 3군사령관으로 갔으며, [[한민구]] 前 국방장관(예비역 대장)은 부산울산지역 지역방위사단인 53사단장을 거쳤으나 군단장 보직을 수도방위사령관으로 받고 육군참모차장을 거쳐 야전군 사령관 경력을 거치지 않고 육군참모총장으로 직행했다.] * 80년까지 존재했던 [[군관구사령부]]도 지휘관은 [[소장(계급)|소장]]이었지만 군단급 부대였다. * 애니메이션 [[신병(장삐쭈)|신병]]의 주인공 [[박민석]]의 아버지인 박춘규가 군단장이다. 신병 드라마에서는 사단장으로 정정. * 고대 로마의 관직이자 군직인 [[레가투스(로마)|레가투스]]가 군단장으로 번역된다. [[분류:지휘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