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기타칸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군마현 제4구}}}}}}'''[br]{{{-1 {{{#ffffff 群馬県第4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Gunma4.svg|width=100%]][br]}}}|| ||<-2><:>'''선거인 수'''||<-2><:>295,213명 (2022)|| ||<-2><:>'''상위 도도부현'''||<-2><:>[[군마현]]|| ||<-2><:>'''하위 행정구역'''||<-2><:>{{{#!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타카사키시]](중심부, 신마치,[br]요시이마치), [[후지오카시]], [[타노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후쿠다 다쓰오]]|| [목차] [clearfix] == 개요 == [[군마현]]의 남서부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후쿠다 다쓰오]]. == 상세 == 중대선거구 시절에는 [[후쿠다 다케오]] 전 총리의 기반이었다. 이후 아들인 [[후쿠다 야스오]] 전 총리가 1990년에 지역구를 물려받아 중대선거구 시절 2번, 소선거구 시절 5번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후쿠다 다케오의 손자이자 후쿠다 야스오의 아들인 [[후쿠다 다쓰오]] 의원이 2012년에 지역구를 물려받으며 4대 세습이 이뤄졌다. 후쿠다 가문의 영향력이 매우 강하기에 자민당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지역구다. 민주당이 압승한 제45회 중의원 선거에서도 후쿠다 야스오를 꺾지 못했다. 다만 당시 득표율 차이는 6%로,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역대 최소격차였고, 당시 민주당 후보가 석패율제로 구제되어 당선되기도 했다.[* 이때 당선된 의원은 미야케 유키코이며, 2020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군마현 제4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5> [[후쿠다 야스오]] ||<|9>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후쿠다 다쓰오]]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군마현 제4구}}}}}}'''[br]{{{#fff 타카사키시, 후지오카시, 타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쿠다 야스오]]''' || '''73,67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5.99%'''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코마이 미노루 || 45,134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28.17%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나카지마 미사키 || 24,977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15.5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즈카 도시히코 || 16,425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2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5,33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군마현 제4구}}}}}}'''[br]{{{#fff 타카사키시, 후지오카시, 타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쿠다 야스오]]''' || '''94,51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7.68%'''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카지마 미사키 || 49,06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9.94%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노무라 요시코 || 20,28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3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7,744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군마현 제4구}}}}}}'''[br]{{{#fff 타카사키시, 후지오카시, 타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쿠다 야스오]]''' || '''98,90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2.15%'''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도미오카 유키오 || 48,427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0.43%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가사와라 마키 || 11,81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4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0,722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군마현 제4구}}}}}}'''[br]{{{#fff 타카사키시, 후지오카시, 타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쿠다 야스오]]''' || '''118,51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2.81%'''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카지마 미사키 || 56,364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9.8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카이 에츠오 || 13,80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3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3,353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군마현 제4구}}}}}}'''[br]{{{#fff 타카사키시, 후지오카시, 타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쿠다 야스오]]''' || '''103,85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1.91%'''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미야케 유키코 || 91,904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45.94% || 비례당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모리타 타카유키 || 4,315표 || 3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2.1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4,668표 ||<|2> '''투표율'''[br]70.72% || || 선거인 수 || 290,446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군마현 제4구}}}}}}'''[br]{{{#fff 타카사키시, 후지오카시, 타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쿠다 다쓰오]]''' || '''93,22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신당 개혁)] 추천] || '''55.73%''' || '''당선''' || ||<|2>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width=50]]]] || 미야하라다 아야카 || 42,536표 || 2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25.43%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아오키 가즈야 || 17,336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10.36%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하기와라 사다오 || 14,174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4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4,668표 ||<|2> '''투표율'''[br]59.34% || || 선거인 수 || 291,568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군마현 제4구}}}}}}'''[br]{{{#fff 타카사키시 일부, 후지오카시, 타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쿠다 다쓰오]]''' || '''102,15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신당 개혁)] 추천] || '''71.29%''' || '''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하기와라 사다오 || 41,148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8.7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3,435표 ||<|2> '''투표율'''[br]52.25% || || 선거인 수 || 291,698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군마현 제4구}}}}}}'''[br]{{{#fff 타카사키시 일부, 후지오카시, 타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쿠다 다쓰오]]''' || '''93,26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60.78%''' || '''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후와 히로키 || 36,167표 || 2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include(틀:민진당(일본))] 군마현 총지부 추천] || 23.5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하기와라 사다오 || 24,00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5.6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3,435표 ||<|2> '''투표율'''[br]53.26% || || 선거인 수 || 298,186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군마현 제4구}}}}}}'''[br]{{{#fff 타카사키시 일부, 후지오카시, 타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쿠다 다쓰오]]''' || '''105,35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65.02%'''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5]]]] || 가도쿠라 구니요시 || 56,682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군마현 연합 추천] || 34.9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2,041표 ||<|2> '''투표율'''[br]56.39% || || 선거인 수 || 295,511인 || || [youtube(B6qE_6zUBo8)] || || 선거 당시 군마 4구 관련 뉴스 영상 || 현역 자민당에서는 후쿠다 다쓰오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카도쿠라 쿠니요시 군마현의회 의원(4선)을 공천했다. [[일본공산당|공산당]]도 지난 선거에서 출마한 하기와라 사다오 후보를 재공천 했으나, 10월 12일 입후보를 철회했다. 다른 야당 및 무소속 후보도 출마하지 않으면서, 자민당 후쿠다 후보와 입헌민주당 카도쿠라 후보의 1대1 대결이 이뤄진다. 투표 결과, 예상대로 자민당 후쿠다 다쓰오 후보가 압승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자민당에서는 후쿠다 다쓰오 의원의 5선 도전이 예상된다. [[참정당]]에서는 건설시공관리기사, 심리 카운슬러, 인도점성술연구가등 다양한 이력을 가진 모리 유이치 후보가 출마한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군마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