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군부대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된 사건을 정리한 문서. == 상세 == ||<-5> '''{{{+1 {{{#eee 군부대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건일지}}}}}}''' || || '''일자''' || '''부대''' || '''감염인원''' || '''감염경로''' || '''기타''' || || 2020.05.08 || 국군 [[사이버작전사령부]] || 9명 || 영내 간부 || || || 2020.07.22 || 육군 [[제8기동사단]] || 23명 || 영외 강사 || || || 2020.08.18 || 육군 [[제3수송교육연대]] || 6명 || 영내 민간인 || || || 2020.10.04 || 육군 [[제5포병여단]] || 37명 || 확인중 || || || 2020.10.10 || 육군 [[제8기동사단]] || 6명 || 확인중 || || || 2020.11.12 || 국군 [[국군복지단]] || 7명 || 확인중 || || || 2020.11.13 || 공군 [[제20전투비행단]] || 13명 || 영외 강사 || || || 2020.11.19 || 해군 [[진해기지]] || 5명[* 가족까지 합치면 8명] || 확인중 || || || 2020.11.22 || 육군 [[제6보병사단]] || 36명 || 확인중 || || || 2020.11.25 || 육군 [[제5보병사단]] || 95명 || 훈련병 가족 || || || 2020.11.28 || 육군 [[상무대]] || 27명 || 영내 간부 || || || 2021.04.20 || 해군 [[상륙함]] || 32명 || 확인중 || || || 2021.07.00 || 육군 [[육군훈련소]] || 117명 || 확인중 || || || 2021.07.00 || 해군 [[청해부대]] || 247명 || 확인중 || || == 부대 == === 2020년 === ==== 국군 [[사이버작전사령부]] ==== [[2020년]] [[5월 8일]] 사이버작전사령부 소속 A 하사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에 소재한 다수의 [[클럽(장소)|클럽]] 및 [[게이바]]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A 하사는 경기 용인 코로나 확진 환자가 다녀간 서울 이태원 클럽에 방문했다가 감염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366&aid=0000520475|#]]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2&aid=0001437693|#]] [[5월 11일]] 오전 10시 기준 A하사와 접촉한 간부 3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7&aid=0002269077|#]] [[5월 13일]] 오전 10시 기준 A하사와 접촉한 병사 3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아 사이버작전사령부 확진자는 총 9명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1605499|#]]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태원 클럽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 육군 [[제8기동사단]] ==== [[2020년]] [[7월 22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이 [[포천시]]와 [[양주시]] 내 부대에서 발생했다. 2020년 7월 23일 경기도 [[포천시]]의 8사단 해당 부대에서는 전체 부대원 220여 명 중 '''14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군 당국에선 1,000명가량을 격리시켰다. [[https://www.kgnews.co.kr/news/article.html?no=594467|#]] 2020년 8월 4일 일 기준 8사단 관련 코로나19 확진자는 '''22명'''이며, 병사 19명, 진로 상담사 2명, 상담사 가족 1명이다. 병사 15명은 상담사를 통한 감염으로 추정되며, 추가 확진된 옆 부대들 병사 4명은 부대 영내 종교 행사 참여 중 확진자들과 접촉하여 추가 감염되었다. 우려되는 점은 진로 상담사들이 교육 중 [[마스크]] 착용이 미흡했으며, 전역이 임박한 병사들에 한해 1:1 대면 상담도 이루어졌다. 2020년 8월 3일 경기도 [[양주시]] 8사단 부대 소속 병사 한 명이 추가 확진 판정되었다. 확진된 진로 상담사들은 [[포천시]]와 [[양주시]]의 8사단 소속 4개 부대들을 방문하였고, 해당 부대에서 교육을 들은 병사 및 간부들은 2주간 예방적 격리를 시켰다. 병사들의 휴가, 외출, 외박, 면회 등 병사의 출타는 강도 높게 통제시키면서 정작 간부들의 실수로 외부 민간인 상담사를 부대 내에 들여 병사들을 위험에 빠트렸고, 다시 출타 통제를 당한 해당 부대 병사들만 고생시킨다는 비판 여론이 일고 있다. ==== 육군 [[제3수송교육연대]] ==== [[2020년]] [[8월 18일]] 영내에서 근무하는 민간인 A씨가 [[8월 9일]] [[사랑제일교회]] 예배를 다녀온 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1820111|연합뉴스]] 병사 5명도 접촉자 검사에서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19일 충북도에 따르면 가평의 육군 3수송교육연대 소속 장병 140명이 전날부터 괴산 [[육군학생군사학교]]에 95명, 영동 [[육군종합행정학교]]에 45명씩 분산돼 2주 동안 격리생활을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4825520|뉴스1]] 격리 해제 전 받은 검사에서 병사 1명이 양성으로 확인되어 확진자가 총 6명으로 늘어났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4845260|뉴스1]] ==== 육군 [[제5포병여단]] ==== || [youtube(lk0jYTi2pJc)] || 2020년 [[10월 3일]], 포천시 내촌면에 위치한 [[제5포병여단]] 예하부대에서 사병 3명이 최근 후각과 미각에 이상을 느껴 [[국군수도병원]]에서 2차례 진단검사를 받았다. 2020년 [[10월 4일]], 오전에 전날(4일) 검사를 받은 사병 3명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최종 확진 판정을 받았다. 오후에는 추가로 9명이 확진됐다. 확진자가 잇달아 나오면서 부대원 230여명 전원에 대한 전수검사를 진행했다. 2020년 [[10월 5일]] 전날 밤사이 부대원 230여명 전원에 대한 전수 결과 추가로 24명이 감염된 것을 확인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009807|SBS 뉴스]] [[https://imnews.imbc.com/replay/2020/nwdesk/article/5931297_32524.html|MBC 뉴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018349|KBS 뉴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10107305|뉴시스]] 해당 소속 부대 병사 1명이 전역 전 휴가를 나왔다가 부대 소식을 듣고 4일 부터 [[자가격리]] 도중 [[성남시]] [[분당구]]보건소의 진단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1922401|연합뉴스]] 10월 5일 군은 해당 부대원 전원을 1인 격리하는 한편 [[포천시|포천]] 지역 내 모든 부대에 대해 [[외출]] 통제령을 내렸다. [[서욱]]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은 긴급주요지휘관 회의를 소집해 집단 감염에 우려를 표하며 방역 태세를 다잡으라고 전국 부대에 지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10108991|뉴시스]] ==== 국군 [[국군복지단]] ==== [[2020년]] [[11월 12일]] 서울 [[용산기지]]에 있는 국군복지단 소속 군 간부 2명과 공무직 근로자 2명이 코로나19에 확진됐다. [[11월 17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2019252|철원 군부대서 2명 코로나 확진…'집단감염' 복지단 확진자 접촉]] ==== 공군 [[제20전투비행단]] ==== [[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0/11/13/HS27ULZI3NAADP37EGSTMTTORQ/%3foutputType=amp|#]] 제20전투비행단에서 근무하는 병사 8명과 30대 군무원 1명 등 9명이 몸살 등 코로나 의심 증세를 보여 검사한 결과 양성이 나왔다고 한다. 11월 9∼10일 부대 안에서 전문 강사 B씨로부터 [[성인지 감수성]] 등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강사인 50대 여성 B씨는 서울 동대문구 219번 확진자로, 전날 코로나 양성판정을 받았다. 이 중 사병 2명은 고향인 광주광역시와 세종시로 휴가를 나갔다가 접촉자로 분류돼 검사를 받은 결과 확진 판정을 받았다. 강사 B씨가 양성 판정을 받자, 방역 당국은 곧바로 당일 집중교육에 참석한 73명과 식당을 함께 이용한 장병 등 263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검사를 했다. 검사 결과 9명이 양성, 233명은 음성 판정을 받았고, 21명은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11월 20일 서산시는 20일 밤 10시 37분 공군부대에서 추가 확진자가 1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총 13명의 확진자가 생긴 것이다. ==== 해군 [[진해 해군기지|진해기지]] ==== 2020년 11월 19일 창원시 진해구에 있는 모 해군부대 간부가 확진자 가족에게 전염된 사건이 발생하였다. 모 간부의 아내가 먼저 확진된 뒤 간부 본인과 초등학생 자녀 두 명이 확진되었다.[[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yeongnam/2020/11/20/CBAKRNQGTZEABOLXJNKFF5X3UI/%3foutputType=amp|#]] 진해의 모 부대라고만 알려져 있어서 진해기지로 추정할 수 있을 뿐 구체적인 부대는 밝혀지지 않았다.[* 육군의 항공부대를 제외한 육군부대는 주둔지의 부대가 하나인 경우가 많지만 해군 공군 기지 내에서는 하나의 기지 내에 여러부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https://www.google.com/amp/s/m.nocutnews.co.kr/news/amp/5451188|#]] 이후 21일 동료간부 2명과 병사 1명도 걸렸다고 한다. 22일 추가확진자 1명이 더 나왔다. [[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0/11/22/FSWGPHO2BFGBHNFCGYUIXWUXKQ/%3foutputType=amp|#]] ==== 육군 [[제6보병사단]] ==== 2020년 11월 22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이 발생했다. [[https://news.v.daum.net/v/20201123120459267?x_trkm=t|#]] [[https://www.google.com/amp/s/m.mk.co.kr/news/politics/view-amp/2020/11/1201342/|#]] 전 부대원 전수 검사를 진행 중인데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36명이다. ==== 육군 [[제5보병사단]] ==== [[2020년]] [[11월 25일]], [[연천군]] 청산면에 위치한 [[제5보병사단/신병교육대|5사단 신병교육대]]에서 발생한 사건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5보병사단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 육군 [[상무대]] ==== [[http://naver.me/FlYqWxne|#]] 전라남도 측에 따르면 11월 28일 상무대에서 총 17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감염자는 모두 상무대 소속 군인들로 27일 확진된 전남 395번 육군 장교의 접촉자이다. 최초 확진자인 상무대 포병학교 교육생 395번 확진자가 나오자 관련 접촉자를 전수조사한 결과, 296명 검사자 중 16명이 추가 확진 판정을 받은 것이다. [[http://naver.me/xtbdnTmP|#]] 11월 29일 확진자가 1명 더 발생하여 총 18명이 되었다. [[http://naver.me/FEt9cJzG|#]] 12월 5일 기준 총 확진자는 27명이다. === 2021년 === ==== 해군 [[상륙함]] ==== [[2021년]] [[4월 20일]] [[진해 해군기지]]에서 84명이 태우고 출항한 해군 상륙함의 한 간부가 자녀 어린이집 교사 확진으로 방역 당국의 통보를 받고 전날 [[평택항]]으로 입항해 인근 병원에서 진단검사를 받아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후 함정 근무 장병에 대해 전수검사를 해 31명이 추가로 확진됐고 48명은 음성 판정을 받았다. 나머지 4명은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2349163|연합뉴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8&aid=0002541689|한겨례]] ==== 육군 [[육군훈련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 2021년 7월, [[육군훈련소]]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육군훈련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 해군 [[청해부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 2021년 7월, [[청해부대]]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청해부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 2022년 === ==== 육군 [[육군훈련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 2022년 7월, [[육군훈련소]]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육군훈련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 해외사례 == === 미 해군 [[니미츠급 항공모함|루스벨트함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 [[2020년]] [[3월 27일]] [[미국]]의 항공모함 [[시어도어 루스벨트]]함에서 집단 감염 사건이 발생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루스벨트함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 프랑스 해군 [[샤를드골함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 [[2020년]] [[4월 15일]] [[프랑스]]의 항공모함 [[샤를 드골]]함에서 집단 감염 사건이 발생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샤를드골함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 여담 == * [[2020년]] 각 군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자 증가로 감염 의심자 격리시설을 [[육군학생군사학교]]로 지정했다. * ‘개정 이전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에 따라 병사들은 휴가와 외출이 대부분 제한되었다. 2020년 11월 21일 기준 군은 수도권과 강원도 지역 부대에 대해 군내 거리두기 1.5단계를 적용하면서 간부에 한해서만 거리두기 2단계를 적용하고 있다. 해당 지역 군 간부들은 '일과 후 숙소 대기'를 원칙으로 하며, 회식이나 사적 모임을 자제해야 한다. * 2021년 1월 9일 기준 아직도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 중이라 외박 및 휴가 제한이 있었으나 현재는 단계가 하향되어 제한적으로 시행 중이다. * 2020년 12월에는 군 하급간부들의 간부숙소를 확진자 격리시설로 쓰기 위해 비우라고 통보했다.[[https://www.google.com/amp/s/m.yna.co.kr/amp/view/AKR20201207125400065|#]] * 2021년 4월에는 휴가 후 격리중인 군인의 부실식사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한국군 자가격리 장병 부실 식사 제공 논란]] 문서 참조.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국군/사건 사고]] * [[2020년 군부대 무단침입 사건]] * [[이태원 클럽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 [[한국군 자가격리 장병 부실 식사 제공 논란]]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사이버작전사령부, version=147, paragraph=6.1, title2=제8기동사단, version2=754, paragraph2=7.1, title3=제3수송교육연대, version3=174, paragraph3=6.1, title4=제5포병여단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version4=13, title5=국군복지단, version5=211, paragraph5=7.1, title6=제20전투비행단, version6=441, paragraph6=4.3.1, title7=진해 해군기지, version7=43, paragraph7=6.1.1, title8=제6보병사단, version8=890, paragraph8=7.4, title9=상무대, version9=198, paragraph9=8.1)] [[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군대 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