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군위군 마을버스]] [include(틀:군위군 마을버스)] [목차] == 노선정보 == ||<-6> [[파일:군위군 CI_White.svg|width=20]] {{{#ffffff 군위군 마을버스 8번}}} || ||<-2> 기점 ||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동부리(군위공영버스터미널) ||<-2> 종점 ||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낙전리(낙전) || ||<|2> 종점행 || 첫차 || 06:10 ||<|2> 기점행 || 첫차 || 07:25 || || 막차 || 17:25 || 막차 || 18:50 || ||<-2> 배차간격 ||<-4> 1일 7회 || ||<-2> 운수사명 || [[군위교통]] ||<-2> 인가대수 || - || ||<-2> 본선 ||<-4> 군위터미널 - 군위읍행정복지센터 - 동부리 - 군위터미널 - 금구 - 무성 - 오천 - 나호 - 우보정류장 - 우보역 - 이화 - 수서 - 수북 - 의흥면보건지소 - 의흥정류소 -파전 - (신덕)[* 일3회] - 연계 - (지호)[* 일3회] - 매성 - 화수 - 화북 - 삼국유사면행정복지센터 - 학성 - 양지 - 석산 - 학암 - 석산 - 가암 - 낙전 || == 개요 ==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동부리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에서 우보면행정복지센터를 경유한 뒤 [[삼국유사면]] 낙전리까지 운행하는 [[군위군 마을버스]]. == 역사 == * 2022년 1월 노선 조정 및 시간표 개편이 있었다. * 2023년 6월 30일까지 농어촌버스운송사업면허가 경상북도 관할이었다. * 2023년 7월 1일부터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 시행으로 인해 농어촌버스운송사업면허가 대구광역시 관할이 되었다. * 2023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농어촌버스]]로 운행했다. * 2024년 1월 2일부터 [[마을버스]]로 전환되고 노선번호 8번을 부여 받았다. == 특징 == * 군위터미널~화수리 구간은 [[군위 버스 9|9번 버스]]와 100% 일치한다. * 1일 4회는 낙전에서 회차해 바로 군위로 돌아가고, 3번은 낙전에서 15분 휴식한다. * 1일 3회 의흥면 신덕리와 지호리를 경유한다. * [[대구 버스 10]]번과 차량을 공유한다. 운행 패턴은 군위터미널 - 삼국유사 - 부계 - 삼국유사 - 군위터미널. === 일평균 승차량 === === 타 지역 버스와 연계 === * 우보~의흥 구간에서 대구로 가는 [[대구 버스 급행9-1|급행9-1번]]과 연계되며, 또 군위터미널~무성리 구간은 [[대구 버스 급행9|급행9번]]과 연계된다. * 수서리에서 3km 도보시 순호3리 정류장이 나오며, 거기서 탑리로 가는 [[의성군 농어촌버스/가음면, 금성면, 춘산면#순호1번, 순호1-1번|순호1번]]과 연계된다. * 화수리에서 6.3km 도보시 둔지건너 정류장이 나오며, 거기서 신녕-영천으로 가는 [[영천시 시내버스/200번대#281번|281, 294번]]과 연계된다. * 학암리에서 4.5km 정도 도보시 상송도림주유소 정류장이 나오며, 거기서 [[영천시 시내버스/300번대|영천으로 가는 버스]]와 연계된다. * 낙전리에서 6km 정도 도보시 의성군 춘산면 옥정2리 정류장이 나오며, 거기서 [[화목버스터미널|화목]]이나 가음-탑리-의성으로 가는 [[의성군 농어촌버스/가음면, 금성면, 춘산면#134번|134번, 135번]] 등과 연계된다. * 학암리에서 10km 정도 도보시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사촌리 정류장이 나오며, 거기서 화목-안덕으로 가는 버스와 연계된다. == 연계 철도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