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군위군)]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대구광역시/교통)] [목차] == 개요 == [[대구광역시]] [[군위군]]의 교통 관련 내용들을 정리한 문서. == 버스 == 타 지역에서 대중교통으로 [[군위읍]] 방향으로 갈 때는 대다수가 읍내의 남쪽 끝에 있는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을 이용하게 되었다. [[농어촌버스]]는 [[군위교통]]에서 운행하고 있다. 군위군이 [[2023년]] [[7월 1일]] 대구로 편입된 뒤에는 2023년 10월~12월 경 [[군위군 마을버스]]로 전환된다. [[광역시]] 산하 [[군(행정구역)|군]]은 농어촌버스를 운행할 수 없기 때문이며, 광역시의 군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는 농어촌버스가 아닌, 시내버스나 마을버스 중 하나로 분류된다. [[시내버스]]로는 [[대구 버스 급행9|급행9번]], [[대구 버스 급행9-1|급행9-1번]]이 2023년 7월 1일 신설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815182?sid=102| ]] === 교통카드 === [[봉화군]]([[영주 버스 33|33번]] 제외), [[영양군]], [[진도군]], [[청송군]](2023년 1월 1일 전국 최초 전면 무료화), [[옹진군(인천광역시)|옹진군]]([[인천 버스 790|790번]] 및 영흥도 노선 제외)과 더불어 [[교통카드]] 제도를 실시하지 않았지만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이 2023년 7월 1일 시행되면서 교통카드 사용 지역으로 전환되었다. [[원패스]]를 운영하는 [[DGB유페이]] 지역에 포함되었으며, [[삼원FA]] 6세대 단말기가 달렸다. == 도로 == 고속도로는 [[중앙고속도로]]([[군위IC]])와 [[상주영천고속도로]]([[서군위IC]], [[동군위IC]])가 지나며 [[군위JC]]에서 교차하기 때문에 고속도로 이용이 편리하다. 다만 중앙고속도로를 타고 접근할 경우 [[군위읍]]을 가려면 [[의성IC]]로 나가는 게 더 빠르다. 단, 대구, 밀양, 부산, 경주 등 군위 남쪽에서 올 때는 [[군위IC]]로 나가는 편이 낫다. 국도는 의성과 대구를 연결하는 [[5번 국도]], 의성 금성과 영천 신녕을 연결하는 [[28번 국도]], 군위와 구미를 연결하는 [[67번 국도]]가 있으며 당연히 [[5번 국도]]가 가장 중요하며 세부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 [[5번 국도]]: [[칠곡군]] [[가산면(칠곡)|가산면]]에서 넘어와 [[효령면]]과 [[군위읍]]을 지나 [[의성군]]으로 넘어간다. 대구-의성-안동-영주축을 잇는 국도이기 때문에 중요도가 높았으나 중앙고속도로 개통과 동시에 통행량이 크게 줄었다. 전구간 왕복 4차로. * [[28번 국도]]: [[의성군]]에서 넘어와 [[우보면]], [[의흥면]], [[삼국유사면]]을 거쳐 [[영천시]]로 넘어간다. 인구가 적은 동부 면들을 거치기 때문에 도로는 한산한 편이고 확장은 안 되어 있다. 최근 [[영천시]]로 넘어가는 고개가 왕복 4차로로 개량되었다. [[중앙선]] 철도가 이 연선으로 지난다. 유일하게 군위군내 국도 중에서 [[군위읍]]내를 지나지 않는다. * [[67번 국도]]: [[구미시]]에서 넘어와 [[군위읍]] 남쪽에서 [[5번 국도]]를 만나면서 끝난다. 구미로 가는 최단 구간이지만, 도로가 험해서인지 구미와 군위를 잇는 시외버스[* [[시외버스 인천-안동|인천-안동완행]], [[구미종합터미널|구미]]-[[안동터미널|안동]] 완행.]는 이 국도를 이용하지 않고 효령을 거쳐 [[인동가산로]] 쪽으로 들어간다. [[지방도]]는 군 동부와 서부를 [[919번 지방도]]를 이으며 삼국유사면과 영천 사이는 [[908번 지방도]]가 잇는다. [[국가지원지방도]]인 [[79번 지방도]]기 남북을 관통한다. == 철도 == 철도가 약세인 지역이다. [[중앙선]]이 지나가지만 대부분의 역이 여객취급을 하지않고, [[화본역]]에만 [[무궁화호]]가 하루에 6회 정차한다. [[화본역]]의 일평균 이용객은 2021년 기준 21명. 가장 인구가 많은 [[군위읍]]에는 철도역이 없다. [[군위읍]]과 가장 가까운 철도역은 [[의성군]] 금성면에 있는 [[탑리역]]이다. 군위에서 탑리까지 가는 대중교통은 [[효령정류소]]나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에서 [[탑리버스정류장|탑리정류장]]까지 1일 3회 운행하는 [[시외버스 대구북부-춘산|대구북부-춘산]] 노선이 있다. 그 외 시간에 군위읍내에서 탑리로 가려면 [[군위 버스 군위-탑리, 백학|군위-탑리·백학]], [[군위 버스 군위-달산|군위-달산]] 농어촌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중앙선]] 개량이 완료되면 [[의흥면]] 연계리에 [[군위역]]이 생길 예정이다. == 택시 == ||<-2>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ffffff '''대구광역시 택시''' }}} || ||<|5> '''일반택시''' || || 기본요금 4,000원(2km) || || 추가(병산제) 100원(31초/130m) || || 야간할증 20% || || 시외할증 30% || ||<|5> '''모범택시''' || || 기본요금 5,500원(3km) || || 추가(병산제) 200원(26초/113m) || || 야간할증 20% || || 시외할증 30% || ||<-2> 대구-군위 간 여정에서 팔공산터널, 79번 지방도 이용 시에만 시계외할증 미적용[* 중앙고속도로, 5번국도 이용 시 시계외할증 적용] || ||<-2> 유로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 [[대구광역시]]에 편입되기 전에는 기본 요금 3300원에 134m와 33초당 100원씩 오르고 각각 20% 심야 및 시계외 할증과 63%의 복합할증이 적용되었으나 편입후에는 [[대구광역시/교통#택시|대구광역시 택시]]와 운임 및 요금을 공유하고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군위군, version=1064, paragraph=4)] [[분류:군위군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