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군위군)]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정치)] [목차] == 선거구 정보 == ||<-3> [[군위군|[[파일:군위군 CI.svg|height=25]]]] '''대구광역시 군위군'''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 || 구분 || 선거구명 || 지역 || || 국회의원 ||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__군위군 전역__ + 의성군, 청송군, 영덕군 전역 || || 시의원 || [[군위군 선거구|군위군]] ||군위군 전역 || == 개요 == '''전국에서 가장 [[보수정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 물론 [[TK]] 자체가 원래 보수의 [[텃밭(정치)|텃밭]] 중 상텃밭인 지역이지만, 그 중에서도 이 [[군위군]]이 전국적으로 다 따져봐도 가장 보수세가 강한 동네다.]으로, [[http://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8&aid=0002409042|23년간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단 1명도 배출되지 못한 동네]]다. 총선에서는 적은 인구 때문에 인근 가까운 지역과 묶이므로 민주당 후보도 종종 나오지만, 정작 순수 군위 출신 후보는 배출된 사례가 전무하다. 2012년부터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보수정당 후보가 '''세 번 연속 전국 지자체 1위'''를 기록하였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87.22%''',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 '''66.43%''',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83.19%'''로 전국 최다 득표율을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특히 가장 최근인 20대 대선에서는 군위읍을 포함해 모든 읍·면에서 투표율이 80%를 넘겨 정권 교체에 대한 열망을 아예 제대로 보여주었다. 이는 반대로 말하면 [[민주당계 정당]] 지지율이 가장 낮으며, 득표율도 10~15% 수준에 그친다는 말이다. 2012년 18대 대선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11.99%''', 2017년 19대 대선 [[문재인]] 후보 '''12.83%''', 2022년 20대 대선 [[이재명]] 후보 '''13.89%'''로, 세 번 연속 민주당계열 대선 후보가 전국에서 가장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특히 20대 대선의 경우 전국에서 '''유일하게 선거비 보전 마지노선인 15% 미만'''을 기록한 곳이었다. 2007년 이후 네 번 연속으로 민주당 대선 후보는 군위에서 선거비 100% 보전 기준인 15%를 넘지 못하고 있다. 역대 대선을 통틀어 [[1987년]] [[13대 대선]]에서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 20.98%, [[1997년]] [[15대 대선]]에서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 15.88%, [[2002년]] [[16대 대선]]에서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 20.56%까지 총 세 번 15%를 넘긴 적이 있다. 15대 대선 때 김대중 후보는 [[경상북도]] 전체에서 13.66%으로 선거비 보전 기준을 못 넘겼지만 군위에서 이때만큼은 경북 평균보다 김대중 득표율이 높게 나왔다. 뿐만 아니라 [[2020년]] [[21대 총선]] 비례대표 선거에서도 '''[[더불어시민당]]의 득표율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10%를 넘지 못한 곳'''이다. 민주당 입장에서 군위에 도전하는 것은, 국민의힘이 전남 시골에 후보를 내는 것과 맞먹는 최고난도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주로 2010년대 이후에 나타나는 경향으로, 본래 이 동네가 보수정당 지지세가 뚜렷하긴 했지만, 그렇다고 가장 강한 지역까지는 아니었다. [[13대 대선]]에서 [[노태우]] 후보가 득표율 1위를 한 지역은 [[경상북도]] [[칠곡군]], [[14대 대선]]에서 [[김영삼]] 후보가 득표율 1위를 한 지역은 [[경상남도]] [[통영시]], [[15대 대선]]과 [[16대 대선]]에서 [[이회창]] 후보가 득표율 1위를 한 지역은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였고, [[17대 대선]]에서 [[이명박]] 후보가 득표율 1위를 한 지역은 경상북도 [[영덕군]](이명박의 고향인 포항 인접한 지역)이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TK]] 지역도 세대구도로 흘러가기 시작하면서 TK에서 가장 노령층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 중 한 곳인 군위군이 가장 보수정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이 되었다. [[8회 지선]]에서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515454?sid=100|사전투표율이 '''"52.08%"'''를 기록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하였다. 대개 보수 성향 유권자는 본 투표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며, 따라서 사전투표율이 뒤에서 1, 2위를 다투는 [[TK]]에서 이와 같은 사전 투표율이 나온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투표를 합산한 전체 투표율에서도 '''80.9%'''를 기록하며 '''81.5%'''를 기록한 [[울릉군]]에 이은 2위를 기록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https://www.google.com/amp/s/www.donga.com/news/amp/all/20220526/113623680/1|위장 전입 논란]]과 [[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2022/06/07/AVORBBWUENF23OEDAGD5FLRO7Y/%3foutputType=amp|거소 투표 및 금품수수와 관련된 논란]]이 일며 높은 투표율과는 별개로 안 좋은 쪽으로 주목을 받기도 했다. 가뜩이나 군수 선거에서 전국 기초단체장 선거 중 가장 적은 표차인 '''109표차'''로 승부로 갈리는 초접전이 벌어지며 더욱더 의심의 눈초리가 쏠린 것은 덤. 한편 [[경상북도지사]]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이철우]] 후보가 이 지역에서도 압승했지만,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후보도 [[의성군|옆 동네]] 도의원 출신인 점이 효과를 봤는지 '''20%'''를 넘는 득표율을 올리며 선전했다. 최다 득표율을 올린 읍면은 [[더불어민주당]] 지지세가 어느 정도 있던 [[군위읍]], [[삼국유사면]]이 아닌 임미애 후보의 기반인 의성 동부 지역과 인접한 [[의흥면]]으로 '''25%''' 가량을 득표하였다.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에 따라 [[22대 총선]]부터는 [[대구광역시]] 內 [[지역구]]에 포함될 예정이다. == 역대 선거 결과 == ||<-4> [[군위군|[[파일:군위군 CI.svg|height=25]]]] {{{#000000,#dddddd '''군위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 ||<-4> [[군위군·선산군|'''군위군'''·선산군]]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3대]] || [include(틀:민주정의당)] ||<|2> [[김윤환(1932)|김윤환]] || {{{-2 3선}}}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14대]] || [include(틀:민주자유당)] || {{{-2 4선}}} || ||<-4> [[군위군·칠곡군|'''군위군'''·칠곡군]]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15대]] || [include(틀:신한국당)] || [[장영철(1936)|장영철]] || {{{-2 3선}}} || ||<-4> [[군위군·의성군|'''군위군'''·의성군]]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16대]]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정창화(정치인)|정창화]] || {{{-2 5선}}} || ||<-4> [[군위군·의성군·청송군|'''군위군'''·의성군·청송군]]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17대]] || [include(틀:한나라당)] || [[김재원(정치인)|김재원]] || {{{-2 초선}}}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18대]] || [include(틀:무소속)] || [[정해걸]] || {{{-2 초선}}}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19대]]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김재원(정치인)|김재원]] || {{{-2 재선}}} || ||<-4>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김종태(1949)|김종태]]-- || --{{{-2 재선}}}--[* 17.2.9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 || || [[2017년 재보궐선거|2017]]|| [include(틀:자유한국당)] || [[김재원(정치인)|김재원]]|| {{{-3 재선}}} || ||<-4>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김희국]]|| {{{-2 재선}}} || ---- {{{#!wiki style="min-width:300px" ||<-5> [[군위군|[[파일:군위군 CI.svg|height=25]]]] '''역대 [[군위군수|{{{#000000,#dddddd 군위군수}}}]] 선거 결과'''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5'''}}}]]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8'''}}}]]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2'''}}}]]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6'''}}}]]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0'''}}}]] || ||<-2> [[무소속|{{{#ffffff {{{-1 무소속}}}}}}]] || [[한나라당|{{{#ffffff {{{-1 한나라당}}}}}}]] || [[무소속|{{{#ffffff {{{-1 무소속}}}}}}]] || [[한나라당|{{{#ffffff {{{-1 한나라당}}}}}}]] || || [[홍순홍]] ||<-3> [[박영언]] || [[장욱]]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4'''}}}]]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8'''}}}]]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22'''}}}]] || || || || [[무소속|{{{#ffffff {{{-1 무소속}}}}}}]] || [[자유한국당|{{{#ffffff {{{-1 자유한국당}}}}}}]] || [[국민의힘|{{{#ffffff {{{-1 국민의힘}}}}}}]] || || || ||<-2> [[김영만(1952)|김영만]] || [[김진열]] || ||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구분'''}}} || {{{#ffffff '''주요 후보 득표율'''}}}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5년]] ||'''1위: [include(틀:무소속)] [[홍순홍]] 35.79%'''[br]2위: [include(틀:무소속)] [[김영만(1952)|김영만]] 29.44%[br]3위: [include(틀:무소속)] 구문장 23.58%[br]4위: [include(틀:무소속)] 박희삼 11.16%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8년]] ||'''1위: [include(틀:무소속)] [[박영언]] 60.69%'''[br]2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홍순홍]] 39.30%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2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박영언]] 100.00%[*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6년]] ||'''1위: [include(틀:무소속)] [[박영언]] 40.46%'''[br]2위: [include(틀:한나라당)] [[장욱]] 38.52%[br]3위: [include(틀:무소속)] 김휘찬 18.81%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 [[장욱]] 45.98%'''[br]2위: [include(틀:무소속)] [[김영만(1952)|김영만]] 44.13%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년]] ||'''1위: [include(틀:무소속)] [[김영만(1952)|김영만]] 52.57%'''[br]2위: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장욱]] 47.42%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1위: [include(틀:자유한국당)] [[김영만(1952)|김영만]] 48.20%'''[br]2위: [include(틀:무소속)] [[장욱]] 37.24%[br]3위: [include(틀:무소속)] 홍진규 14.54%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1위: [include(틀:국민의힘)] [[김진열]] 50.31%'''[br]2위: [include(틀:무소속)] [[김영만(1952)|김영만]] 49.68% ||}}}}}}}}} ||}}} === 지방선거 === ||<-8> {{{#FFFFFF '''8회 지선 군위군 개표 결과'''}}} || ||<-8> {{{#FFFFFF '''경상북도지사 선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임미애|{{{#FFFFFF 임미애}}}]] || [[이철우|{{{#FFFFFF '''이철우'''}}}]]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3,398 [br] (20.52%)''' || {{{#FFFFFF '''13,156 [br] (79.47%)'''}}} || '''- 9,758 [br] (▼58.94)''' || '''17,845 [br] (80.91%)''' || || '''군위읍''' || 23.39% || {{{#E61E2B 76.60%}}} || ▼53.21 || 77.39 || || '''소보면''' || {{{#696969 15.44%}}} || {{{#E61E2B '''84.55%'''}}} || {{{#696969 '''▼69.10'''}}} || {{{#696969 76.71}}} || || '''효령면''' || 15.92% || {{{#E61E2B 84.07%}}} || ▼68.15 || 77.03 || || '''부계면''' || 18.62% || {{{#E61E2B 81.37%}}} || ▼62.74 || 77.59 || || '''우보면''' || 17.75% || {{{#E61E2B 82.24%}}} || ▼64.49 || 80.32 || || '''의흥면''' || '''25.44%''' || {{{#FF6347 74.55%}}} || '''▼49.10''' || '''82.30''' || || '''산성면''' || 21.03% || {{{#E61E2B 78.96%}}} || ▼57.92 || 81.46 || || '''삼국유사면''' || 18.06% || {{{#E61E2B 81.93%}}} || ▼63.86 || 81.44 || || '''후보''' || [[임미애|{{{#004EA2 임미애}}}]] || [[이철우|{{{#E61E2B '''이철우'''}}}]] || 격차 || || || '''거소투표''' || 19.25% || {{{#E61E2B 80.74%}}} || ▼61.49 || || || '''관외사전투표''' || 22.06% || {{{#E61E2B 77.93%}}} || ▼55.86 || || ||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 || [[임미애|{{{#FFFFFF 임미애}}}]] || [[이철우|{{{#FFFFFF '''이철우'''}}}]] || {{{#FFFFFF 격차}}} || {{{#FFFFFF 투표율}}} || ||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E61E2B '''군위·의성·[br]청송·영덕'''[* 지역구 국회의원: [[김희국]]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재선)]}}}]] || 19.94% || {{{#FFFFFF 80.05%}}} || ▼60.11 || 71.23 || || '''후보''' || [[임미애|{{{#FFFFFF 임미애}}}]] || [[이철우|{{{#FFFFFF '''이철우'''}}}]] || 격차 || 투표율 || || '''읍 지역'''[*A 군위읍] || 23.39% || {{{#E61E2B 76.60%}}} || ▼53.21 || 77.39 || || '''면 지역'''[*B 소보면, 효령면, 부계면, 우보면, 의흥면, 산성면, 삼국유사면] || 18.62% || {{{#E61E2B 81.37%}}} || ▼62.74 || 79.06 || ||<-8> {{{#FFFFFF '''군위군수 선거'''}}} || || '''정당''' || [include(틀:국민의힘)] || [[무소속|{{{#FFFFFF '''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진열|{{{#FFFFFF '''김진열'''}}}]] || [[김영만(1952)|{{{#FFFFFF 김영만}}}]]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8,728 [br] (50.31%)'''}}} || '''8,619 [br] (49.68%)''' || '''+ 109 [br] (△0.62)''' || '''17,851 [br] (80.94%)''' || || '''군위읍''' || 46.75% || {{{#808080 53.24%}}} || ▼6.49 || 77.43 || || '''소보면''' || {{{#E61E2B 55.25%}}} || 44.74% || △10.51 || {{{#696969 76.82}}} || || '''효령면''' || {{{#E61E2B 51.97%}}} || 48.02% || △3.94 || 77.09 || || '''부계면''' || {{{#696969 46.53%}}} || {{{#808080 '''53.46%'''}}} || {{{#696969 '''▼6.93'''}}} || 77.59 || || '''우보면''' || {{{#E61E2B 57.16%}}} || 42.83% || △14.33 || 80.26 || || '''의흥면''' || {{{#E61E2B 52.84%}}} || 47.15% || △5.68 || '''82.30''' || || '''산성면''' || {{{#E61E2B '''61.25%'''}}} || {{{#696969 38.74%}}} || '''△22.51''' || 81.36 || || '''삼국유사면''' || {{{#E61E2B 54.28%}}} || 45.71% || △8.56 || 81.44 || || '''후보''' || [[김진열|{{{#E61E2B 김진열}}}]] || [[김영만(1952)|{{{#808080 '''김영만'''}}}]] || 격차 || || || '''거소투표''' || 43.52% || {{{#808080 56.47%}}} || ▼12.95 || || || '''관외사전투표''' || 45.75% || {{{#808080 54.24%}}} || ▼8.49 || || ||<-8> {{{#FFFFFF '''20대 대선 군위군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2,511 [br] (13.89%)''' || {{{#FFFFFF '''15,032 [br] (83.19%)'''}}} || '''- 12,521 [br] (▼69.30)''' || '''18,239 [br] (83.72%)''' || || '''군위읍''' || 14.37% || {{{#E61E2B 82.20%}}} || ▼67.83 || {{{#696969 80.30}}} || || '''소보면''' || 11.67% || {{{#E61E2B 85.37%}}} || ▼73.70 || 80.42 || || '''효령면''' || 12.39% || {{{#E61E2B 85.37%}}} || ▼72.98 || 82.14 || || '''부계면''' || 13.00% || {{{#E61E2B 84.36%}}} || ▼71.36 || 83.49 || || '''우보면''' || {{{#696969 10.98%}}} || {{{#E61E2B '''86.72%'''}}} || {{{#696969 '''▼75.74'''}}} || 82.87 || || '''의흥면''' || 11.70% || {{{#E61E2B 85.85%}}} || ▼74.15 || 82.77 || || '''산성면''' || 11.38% || {{{#E61E2B 84.70%}}} || ▼73.32 || '''84.23''' || || '''삼국유사면''' || '''15.17%''' || {{{#FF6347 81.71%}}} || '''▼66.54''' || 80.39 || || '''후보''' || [[이재명|{{{#004EA2 이재명}}}]] || [[윤석열|{{{#E61E2B '''윤석열'''}}}]]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10.93% || {{{#E61E2B 89.06%}}} || ▼78.13 || || || '''관외사전투표''' || 18.06% || {{{#E61E2B 79.01%}}} || ▼60.95 || || || '''재외투표''' || 45.56% || {{{#E61E2B 50.63%}}} || ▼5.06 ||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격차 || 투표율 || ||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E61E2B '''군위·의성·[br]청송·영덕'''[* 지역구 국회의원: [[김희국]]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재선)]}}}]] || 15.89% || {{{#FFFFFF 81.18%}}} || ▼65.29 || 80.53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격차 || 투표율 || || '''읍 지역'''[*A 군위읍] || 14.37% || {{{#E61E2B 82.20%}}} || ▼67.83 || 80.30 || || '''면 지역'''[*B 소보면, 효령면, 부계면, 우보면, 의흥면, 산성면, 삼국유사면] || 12.21% || {{{#E61E2B 85.13%}}} || ▼72.92 || 82.29 || === 총선 === ==== 군위군·선산군 ==== ==== 군위군·칠곡군 ==== ==== 군위군·의성군 ==== ==== 군위군·의성군·청송군 ==== ====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 ==== ====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 ||<-8> {{{#FFFFFF '''21대 총선 군위군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FFFFFF 강부송}}} || [[김희국|{{{#FFFFFF '''김희국'''}}}]]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2,623 [br] (16.18%)''' || {{{#FFFFFF '''13,213 [br] (81.52%)'''}}} || '''- 10,590 [br] (▼65.34)''' || '''16,518 [br] (74.58%)'''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군위읍''' || '''18.31%''' || {{{#FF7E9D 79.32%}}} || '''▼61.01''' || {{{#696969 69.29}}} || || '''소보면''' || 12.63% || {{{#EF426F 85.60%}}} || ▼72.97 || 73.07 || || '''효령면''' || 14.29% || {{{#EF426F 83.98%}}} || ▼69.69 || 73.73 || || '''부계면''' || 14.14% || {{{#EF426F 83.68%}}} || ▼69.54 || 74.58 || || '''우보면''' || 11.94% || {{{#EF426F 85.14%}}} || ▼73.21 || '''76.69''' || || '''의흥면''' || {{{#696969 10.06%}}} || {{{#EF426F '''87.98%'''}}} || {{{#696969 ▼77.92}}} || 70.79 || || '''산성면''' || 14.41% || {{{#EF426F 82.65%}}} || ▼68.24 || 74.02 || || '''삼국유사면''' || 15.80% || {{{#EF426F 81.03%}}} || ▼65.22 || 74.36 || || '''후보''' || {{{#004EA2 강부송}}} || [[김희국|{{{#EF426F '''김희국'''}}}]]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11.11% || {{{#EF426F 87.03%}}} || ▼75.93 || || || '''관외사전투표''' || 26.67% || {{{#EF426F 70.81%}}} || ▼44.14 || || || '''재외투표''' || {{{#004EA2 50.00%}}} || {{{#EF426F 50.00%}}} || =동률 || || }}}}}} || ||<-8> {{{#FFFFFF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include(틀:미래한국당)] || [include(틀:더불어시민당)]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include(틀:국민의당)] || [include(틀: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10,475 [br] (67.38%)'''}}} || '''1,444 [br] (9.28%)''' || '''610 [br] (3.92%)''' || '''606 [br] (3.89%)''' || '''288 [br] (1.85%)''' || '''+ 9,031 [br] (△58.10)''' || '''16,550 [br] (74.33%)'''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군위읍''' || {{{#FF7E9D 66.24%}}} || 9.82% || 4.19% || 4.46% || 2.48% || {{{#696969 △56.43}}} || {{{#696969 69.29}}} || || '''소보면''' || {{{#EF426F 68.03%}}} || 7.93% || 3.74% || 2.17% || 1.12% || △60.10 || 73.12 || || '''효령면''' || {{{#EF426F 70.54%}}} || 7.62% || 3.74% || 3.07% || 2.04% || △62.92 || 73.73 || || '''부계면''' || {{{#EF426F 69.61%}}} || 8.92% || 3.68% || 3.36% || 1.09% || △60.69 || 74.64 || || '''우보면''' || {{{#EF426F 70.35%}}} || 7.52% || 2.98% || 3.52% || 1.09% || △62.82 || '''76.69''' || || '''의흥면''' || {{{#EF426F '''71.07%'''}}} || 7.16% || 2.54% || 2.75% || 1.23% || '''△63.91''' || 70.79 || || '''산성면''' || {{{#EF426F 66.35%}}} || 7.67% || 3.49% || 4.03% || 1.48% || △58.68 || 74.02 || || '''고로면''' || {{{#EF426F 69.90%}}} || 9.82% || 2.98% || 2.48% || 1.86% || △60.07 || 74.36 || || '''정당''' || [include(틀:미래한국당)] || [include(틀:더불어시민당)]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include(틀:국민의당)] || [include(틀:열린민주당)]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EF426F 72.47%}}} || 6.42% || 2.75% || 7.33% || 0 || △65.14 || || || '''관외사전투표''' || {{{#EF426F 58.65%}}} || 14.42% || 6.27% || 6.54% || 2.44% || △44.23 || || || '''재외투표''' || {{{#EF426F 46.51%}}} || 27.90% || 2.32% || 11.62% || 0 || △18.60 || ||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군위군, version=898)] [[분류:군위군]][[분류:대구광역시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