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도권 전철 차량사업소)] ||<-3> {{{+2 '''군자차량사업소'''}}}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군자차량사업소, 너비=100%, 높이=100%)]}}}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Gunja Train Depot || || 한자 ||<-2> 君子車輛事業所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78길 58 (용답동 223-2) || ||<-3> '''시설 관리''' || ||<-3>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20]]]] || ||<-3> '''개업일''' || ||<-3> 1977년 8월 29일 || ||<-3> '''노선거리표''' || || [[성수역|성 수]][br]← -.- ㎞ || '''{{{#00a84d 군자차량기지[br]인입선}}}''' || [[신답역|신 답]][br]-.- ㎞ → || || [[파일:external/webjin.seoulmetro.co.kr/_MG_3881.jpg|width=100%]]|| || '''{{{#ffffff 기지 내에 주박 중인 1호선 차량 }}}''' || || [[파일:external/pds.joins.com/2015100718040460950_2.jpg|width=100%]]|| || '''{{{#ffffff 기지 내에 주박 중인 2호선 차량}}}'''[* 사진에 보이는 2호선 저항제어 및 2호선 초퍼제어 열차는 모두 폐차되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QeibQ6mautE)]|| ||<:>'''KBS 다큐멘터리 3일 | 열차 다시 살다, 서울 지하철 군자차량기지'''|| '''군자차량사업소'''(君子車輛事業所)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용답역]]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교통공사]]의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과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 업무를 담당하는 서울교통공사의 차량기지이다. 이름과는 달리 [[군자동(광진구)|군자동]]이 아닌 [[성동구]] [[용답동]]과 [[송정동(서울)|송정동]] 사이에 있어 실 주소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천호대로78길]] 58 (용답동 223-2)이다. 인근에 [[서울교통공사]]의 본사가 위치해 있다. == 역사 == [[서울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고 3년 후인 1977년에 완공되었다. 종전에 [[구로차량사업소]], [[신설동역]] 2호선 승강장에 검수를 했던 1호선 전동차들이 군자차량사업소로 이전하였다. 그리고 1980년 2호선이 개통되면서 당시 유일하게 두 노선을 담당하게 되었다. 다만 처음부터 넓은 공간으로 완공한 게 아니였다. 1977년 초기에는 1호선 차량을 수용할 규모로만(총 60000평 중 10000평) 1단계 완공했고 1980년에 2호선 차량 수용을 위한 2단계 확장공사로 비로소 지금과 같은 규모가 되었다. 2단계 확장공사 당시 무허가 판자촌을 철거하고 부지를 수용한 것이며, 이는 당시 1980년대의 사회발전이 우선시되던 시대상이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https://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gbn=MH&mediaid=2098&mediadtl=8970|e영상역사관 > 영상관 > 분야별기록영상]]] == 배속 차량 == *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101편성~116편성 (16대) *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256편성~293편성 (38대) == 기타 == [[파일:군자기.png|width=500]] * 기지인입선이 [[신답역]]에서 [[용답역]] 방향(복선), [[성수역]]에서 [[용답역]] 방향(단선)에 양쪽으로 나 있어서 이 차량기지로 회송입출고한다. 이 때문에 기지 입고를 이유로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에서 [[동묘앞역|동묘앞행]]/[[서울역|서울역행]],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본선 중에서 [[성수역|성수행]] 열차가 존재한다. 그러나 동묘앞행 열차가 [[신답역]]까지 영업운전하지 않는 이유는 성수지선의 수요가 매우 저조한 것에 더해 1호선 차량은 10량 1편성인데 신답역까지 거쳐가는 [[용두역]], [[신답역]]의 승강장이 4량 기준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 [[신설동역]] 지하 3층 유령 승강장과 연결되어 있어, 동묘앞행 1호선 열차가 기지에 입고할 때 그 승강장을 지나간다. * 장안동 방향의 [[전농천]]쪽으로 (골프장 근처)으로 [[삼각선]]이 있는데, 이 삼각선은 델타선으로 부르며, 다른 차량기지의 루프선의 역할을 한다. 과거 골프클럽이 생기기 전의 부지에서는 열차 폐차 작업을 했었는데, 현재는 골프장의 간섭 때문에 해당 부지에서 크레인을 들지 못하여 바로 옆의 용접궤도선에서 반출작업을 한다. * [[2015년]] [[10월 11일]], [[KBS]] [[다큐멘터리 3일]]에서 군자차랑사업소를 다루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eibQ6mautE|「“열차 다시 살다 서울 지하철 군자 차량기지”」]], 출처: 유튜브] ||[[파일:서울교통공사 통합 관제센터 외부 조감도.jpg|width=100%]]||[[파일:서울교통공사 통합 관제센터 내부 조감도.jpg|width=100%]]|| || 외부 조감도 || 내부 조감도 || * 지하 2층, 지상 7층 규모로 지어질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통합관제센터가 군자차량사업소 부지 안에 건설중이며 2024년 완공예정이다. 또한 이 관제센터에서 1~9호선을 통합 관제할 예정이다.[* [[http://www.conslov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700|「서울지하철 통합 관제센터 설계공모 착수」]], 한국건설신문, 2018-03-20] * 교통 평론가 [[한우진]]은 자신의 블로그에서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교류화할 경우 서울교통공사 1호선 전동차 검수를 한국철도공사의 [[이문차량사업소]]나 [[구로차량사업소]]에 위탁함으로써 절연구간을 구태여 둘 필요가 없고, 군자기지에 2호선 전동차가 추가로 들여올 여력이 생길 것으로 주장했다.[* [[https://blog.naver.com/ianhan/221389143046|출처: 네이버 블로그]]] * 군자차량사업소에서는 주로 1,2호선 열차를 취급하지만 때때로 신형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열차가 목격되기도 했다. [[파일:gunja train depot line5.jpg|width=70%]] * (구)서울지하철공사 모터카는 최소 2010년부터 폐차선 끝에 구내 유치 중이었고, 2021년 고철 매각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차량사업소]][[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분류: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