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울랄라세션의 전 멤버, rd1=군조(가수))] [목차] == 정의 == 軍曹. [[일본]] [[군대]]의 [[계급]]. [[시대]]에 따라 위치가 다르다. == [[일본]]에서의 사용예 == * [[헤이안 시대]](794 ~ 1185/1192)의 [[율령제]] 때는 삼등관에 위치하며, [[장군]]에게 소속되어 정원은 두명이었다. [[관리]]로 치면 종8위상(従八位上) * [[일본 제국]] 시절의 [[일본 육군]] 하사관([[부사관]])의 계급 중 하나. 아래쪽 계급은 [[오장]](伍長), 위쪽 계급은 [[조장]](曹長) * 현재의 [[자위대]]에서는 이등육조, 이등해조, 이등공조(이하 이조(二曹))가 여기에 속한다. * 일본에는 '''귀신군조(鬼軍曹)'''라는 [[관용어]]가 있는데 실제 계급과 상관 없이 엄격하고 가혹한 인물을 뜻하는 말로 [[일본군/병영부조리]] 항목에서 나오듯 일본군은 구타와 욕설이 밥먹듯이 벌어지는 등 가혹 행위로 악명이 높았는데 이때 주로 가혹 행위가 부사관이던 군조 계급이 가해자인 경우가 많아 이런 표현이 생겨났다. == 군조로 [[번역]]되는 [[계급]] == [[대한민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중사]]로 번역한다. 그러나 군조는 sergeant에 대응하는 말로 인식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미군]]의 경우 이하의 계급이 '군조'에 속하게 된다. 실제로 [[일본]] 측에서도 아래 계급은 모두 '군조'로 번역한다. 한마디로 특정 계급 명칭으로도, 그냥 "하사관"을 뜻하는 [[단어]]로도 쓰인다. * Sergeant ([[미 육군]]/해병대 [[병장]]) * Staff Sergeant (미 육군/해병대 [[하사]]) * Sergeant First Class(미 육군 [[중사]]) * Gunnery Sergeant ([[미 해병대]] 중사) 무엇보다 군대의 계급 체계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기에 일대일 대응이 힘든 경우도 있으며, 한 [[국가]] 내에서도 때때로 변하는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군조를 하사로 번역하는 것은 번역가의 재량이며, [[오역]]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다만 중사로 번역하는 것이 일반적일 뿐이다. == 군조인 [[캐릭터]] == * [[개구리 중사 케로로]][* 원제가 '''케로로 군조'''다.] - [[케로로]][* 이쪽 원작 코믹스의 정발명으로 하사라고 한 것은 명백하게 틀린 번역. 코믹스판에서의 [[케로로]] 군조는 명백히 [[기로로]] 오장보다 높은 계급이라고 나오는데도 불구하고 똑같은 하사로 번역했으니 오역이다. 정발판 이후 내용에서 기로로를 상사라고 해버렸다.] * [[기동전사 Z건담]] - [[화 유이리]] * [[메탈슬러그 시리즈]] - [[알렌 오닐]] * [[은하영웅전설]] - [[쿠르트 징후버]] * [[종말의 세라프]] - [[히이라기 시노아]] * [[파이널 판타지 13]] - [[라이트닝]][* 정확히는 군조'''였던''' 캐릭터.] * [[풀 메탈 패닉!]] - [[사가라 소스케]], [[쿠르츠 웨버]] [각주]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