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정치인, rd1=권기일(정치인))]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ffffff {{{+1 권기일}}}[br]權奇鎰}}}'''}}} || || '''초명''' ||권인술(權麟述) || || '''자 / 호''' ||공서(公瑞) / 추산(秋山) || || '''본관''' ||[[안동 권씨]][* 부정공파 태시(泰時)계 36세 '''기(奇)''' '''혁(赫)''' 경(景) 영(英) 항렬. 족보명은 권혁린(權赫麟).] || ||<|2> '''출생''' ||[[1886년]] [[10월 5일]] || ||[[경상도]] [[안동시|안동대도호부]] 남후면 검암동[br](현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검암리) || ||<|2> '''사망''' ||[[1920년]] [[7월 3일]][* 안동 권씨 대동세보에는 기일이 7월 2일로 기재되어 있으며, [[http://db.history.go.kr/id/ij_092_0010_00060|조선민족운동연감]]에는 10월 5일 별세했다고 기재되어 있다.] || ||[[중화민국]] [[랴오닝성|봉천성]] 통화현 합니하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권기일은 1886년 10월 5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남후면 검암동(현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검암리)에서 천석꾼인 아버지 권수도(權洙道, 1870 ~ 1902. 2. 5)와 어머니 [[의성 김씨]](? ~ ?. 5. 26)[* 김시락(金時洛)의 딸이다.] 사이의 4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1912년 3월경 종중재산을 처분, 조부 권헌봉(權憲鳳, 1853 ~ 1914. 11. 17)[* 초명 권태석(權台錫). 1883년([[고종(대한제국)|고종]] 20)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20_02A_17A_00270_2004_100_XML|충익위]](忠翊衛), 1885년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22_03A_02A_00040_2003_111_XML|정서 충의위]](正書 忠義衛)를 거쳐 1886년 [[https://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Z0_A23_07A_20A_00260|사근도 찰방]](沙斤道察訪, 종6품)에 제수되었다.]과 조모 [[달성 서씨]](? ~ ?. 12. 19)[* 서노순(徐輅淳)의 딸이다.]를 고향에 남겨둔 채 가족을 이끌고 [[중국]]으로 망명하였으며, [[랴오닝성|봉천성]] 통화현(通化縣) 합니하(哈泥河)[* 현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퉁화시]] 퉁화현(通化縣) 광화진(光華鎭) 광화촌(光華村) 제7촌민소조(第七村民小組).]에 정착하였다. 그곳에서 그는 천가장(千家長)으로 활약하는 한편, [[이시영(정치인)|이시영]]·[[김좌진]] 등과 접촉하여 독립군 양성을 목적으로 중학교를 설립, 학도감(學徒監)·경리·재무 등을 겸임하였다. 1917년 정치외교위원으로 활약 중 체포되었으나 탈출하여 [[이상룡]]·[[여준(독립운동가)|여준]] 등이 설립한 교육회에 참여하여 위원 및 경리·재무 등을 맡았으며, 그 밖에 한족회 통화현 합니하 구정(區正) 등으로 활약하다가 1920년 7월 3일 한족회 흥경(興京)[* 현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푸순시]] 신빈만주족자치현(新賓滿族自治縣).]지방 총관(總管) [[함병현]]과 함께 [[신흥무관학교]] 부근 수수밭에서 [[일본 제국 경찰]]에 사살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권기일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이어 1977년 건국포장,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2001년 6월 25일 고향인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검암리 마을 입구 어귀에 '권기일 선생 기념비'가 세워졌다.[[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2413501&menuNo=200150|#]]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안동 권씨 부정공파]][[분류:안동시 출신 인물]][[분류:1886년 출생]][[분류:1920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