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권병호}}}[br]Byung Ho Kwon'''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멀티악기권병호.jpg|width=100%]]}}} || || {{{#ffffff '''생년'''}}} ||[[1979년]] ||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fff '''학력'''}}} ||[[동아방송예술대학교]] {{{-2 ([[실용음악과]] / [[전문학사]])}}} || || {{{#ffffff '''링크'''}}} ||[[https://multipiri.creatorlink.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멀티 악기 연주자.[* 단일 악기가 아닌 다양한 악기를 다루는 연주자를 일컫는 신조어.] == 상세 == 음악은 7살 무렵 피아노 학원을 다니던 친구들이 부러워 부모님에게 졸라서 시작했다고 한다. 고등학교 시절 당시 [[서울시립교향악단]] 수석이던 성필관에게 [[오보에]]를 사사하고, 대학에서 재즈 피아노를 전공한 후 [[틴 휘슬]], [[재즈]] [[플루트]], [[아코디언]] 등을 연주하며 활동했다. 2023년 현재까지 300여개가 넘는 음악예능프로에서 활약했다. [[SG Wannabe]]의 《'''[[라라라(SG워너비)|라라라]]'''》, [[나얼]]의 《'''[[바람기억]]'''》, KBS [[개그 콘서트]] <'''[[감수성(개그콘서트)|감수성]]'''> 코너에 나왔던 하모니카 연주 등으로 유명하다. 벨소리, BGM, 광고, 드라마 등에서 하모니카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국립국악원, 서울시국악단 등과 작업하며 국악의 대중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HOHNER, BOSS, ROLAND, SHURE 등 유명 악기 제작사의 엔도서로 활동하고 있다. == 수상 == * 2018 제 1회 [[대한민국 대중 음악 시상식|KPMA]] 대중연주실연상 == 디스코그래피 == * '''정규''' * [Footsteps] - 2014.12.08 * [청춘티켓 여섯장] - 2016.08.17[* 음원사이트에는 EP로 등록되어있다.] * [음악여행자] - 2023.01.27 * '''싱글''' * [청춘티켓 여섯장 - 첫번째 티켓 '춘천가는 기차'] - 2016.05.23 * [청춘티켓 여섯장 - 두번째티켓 '사랑이라는 이유로'] - 2016.06.23 * [청춘티켓 여섯장 - 청춘티켓 여섯장 - 세번째티켓 '미련'] - 2016.07.22 * [집으로 가는 길] - 2021.04.19 * [시골길 드라이브] - 2023.01.17 * [이태리 열차] - 2023.01.25 * [Captain Rock] - 2023.02.10 * '''참여''' * 민켄 - 싱글 [잊지 말아요 Via 권병호] 2017.12.19 * HELLO OST - [PART 0. Spring] 2018.03.29 * 김현철 - 싱글 [크리스마스에는 축복을] 2018.12.07 * '''크리스마스 캐롤''' * Blue Christmas - 2014.11.26 * Blessing Christmas - 2018.12.14 == 여담 == * 처음으로 전공 이외에 산 악기는 골동품 가게에 있던 피리라고 한다. 전공이 오보에, 피아노였지만 현재는 연주하지 않는다. * 심도있게 다루는 악기는 2~30여종이 된다고 한다. 또한 직업 특성상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은 특이한 악기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 전자 백파이프, [[내몽골]] [[마두금]], 쌍피리, [[워터폰]], [[훈(악기)|훈]], [[디저리두]] 등 다양하다. 그러나 이 중에는 수집용으로만 갖고 있는 것들이 많다고 한다. * 가장 함께 작업해보고 싶은 연주자는 핸드팬 연주자 [[진성은]]이라고 한다. [[분류:대한민국의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연주자]][[분류:1979년 출생]][[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