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rd1=권오직(1906))]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권오직}}}'''[br]'''權五稷'''}}}}}} || || '''창씨명''' ||마쓰나가 고쇼쿠(松永五稷) || || '''자 / 호''' ||순익(舜翊) / 일범(一範) || || '''본관''' ||[[안동 권씨]][* 복야공파 양득(養得)계 35세 오(五) 항렬.] || ||<|2> '''출생''' ||[[1927년]] [[7월 28일]] || ||[[경상북도]] [[안동시|안동군]] 길안면 송사리 206번지[* 이 지번의 필지에 현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4호로 지정된 『영가지(永嘉誌)』를 보관한 장판각이 위치해 있다. 『영가지(永嘉誌)』는 1608년([[선조(조선)|선조]] 41) 권오직의 12대조 권기(權紀)가 편찬한 경상도 안동대도호부의 읍지이다. 1899년([[고종(조선)|고종]] 36) 권기의 9대 종손 권홍연(權洪淵, 1803 ~ 1854. 12. 21)에 입양된 큰할아버지 권상학(權相鶴, 초명 권태학權泰鶴, 1864 ~ 1926. 11. 28)과 친조부 권상택(權相宅, 초명 권태안權泰安, 1874 ~ 1944. 11. 27) 등이 『영가지(永嘉誌)』를 판각하여 목판본으로 간행하는 데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기에 이곳에 현재까지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http://e-kyujanggak.snu.ac.kr/geo/insp/insp_view03.jsp?setid=27353&pos=681&page=&total_df=682&item=&uci=GR35909_00&c1=03&c2=&c3=&fType=&sType=&sWord=|#]]][*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viewCadastreDetail.do?packid=0000436006&docid=0010924609&mngno=BJCA258737&type=12&want=1&arch_tp_id=12&formType=old&rtURL=%2facreage%2flistOldnameSearch.do%3fpage%3d2%5edepth1%3d%25EA%25B2%25BD%25EC%2583%2581%25EB%25B6%2581%25EB%258F%2584%5edepth2%3d%25EC%2595%2588%25EB%258F%2599%25EA%25B5%25B0%5edepth3%3d%25EA%25B8%25B8%25EC%2595%2588%25EB%25A9%25B4%5edepth4%3d%25EC%2586%25A1%25EC%2582%25AC%25EB%258F%2599%5earch_tp_id%3d12%5eserviceCode%3d1-1-3|1914년 작성된 지적원도]]에 따르면, 1914년 당시 이 지번의 필지는 국유지였다.] || ||<|2> '''사망''' ||[[1981년]] [[11월 20일]] || ||[[경상북도]] [[안동시|안동군]]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419호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6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권오설]]의 둘째 남동생 [[권오직(1906)|권오직]](權五稷, 1906 ~ ?)과는 동명이인이다. == 생애 == 1927년 7월 28일 경상북도 안동군(현 안동시) 길안면 송사리에서 아버지 권영달(權寧達, 1900 ~ 1972. 6. 10)과 어머니 [[의성 김씨]](1899 ~ 1978. 11. 3)[* 김욱병(金旭秉)의 딸이다.] 사이의 2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안동농림학교]]에 10회로 입학하여 재학 중이던 그는 1943년 8회, 9회 선배들과 함께 대구 동촌비행장의 확장공사에 강제로 근로 동원되었다. 이때 8회 선배들을 중심으로 일제의 부당한 식민 통치에 항거하기 위한 비밀결사 대한독립회복연구단(大韓獨立恢復硏究團)이 결성되자 그 또한 그 해 8월경 단원으로 입단하였다. 그는 특공대 역으로서 일제의 후방을 교란시키고 안동 시내의 일본인 기관 및 요인을 습격할 계획을 수립하는데 참여하여 그 기회를 엿보면서 거사를 준비하던 중, 1945년 3월 10일 소위 일본육군기념일에 총궐기하기로 계획을 세우고 거사를 추진해 갔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은 사전에 발각되었고 단원 전원이 체포되었다. 그 또한 3월 7일 체포되었으나, 혹독한 고문으로 5월 11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구류 집행정지가 결정되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97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24085&actionType=det&flag=3&search_region=|출옥하였고]], 2개월 간 치료를 받은 뒤 다시 재수감되었다. 그 뒤 옥중에서 [[8.15 광복]]을 맞았으며, 이튿날인 8월 16일 대구지방법원 검사국 안동지청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기소유예]]로 [[불기소처분]]을 받고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975&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2785&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출옥하였다]]. 이후 1981년 11월 20일 경상북도 안동군에서 별세하였다. 1996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2011년 9월 17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이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안동시 출신 인물]][[분류:안동 권씨 복야공파]][[분류:1927년 출생]][[분류:1981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