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권탁수}}}'''[br]'''權鐸洙'''}}}}}} || || '''자 / 호''' ||순여(循汝) / 석정(石亭) || || '''본관''' ||[[안동 권씨]][* 급사중공파 성시(聖時)계 32세 수(洙) 항렬.] || ||<|2> '''출생''' ||[[1835년]] || ||[[경상도]] [[청송군|청송도호부]] 현내면 장전동[br](현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장전리)[* [[안동 권씨]] 집성촌이다.] || ||<|2> '''사망''' ||[[1909년]] [[6월 25일]] || ||[[경상북도]] [[청송군]] || || '''묘소'''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명당리 선영 || || '''상훈''' ||건국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7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35년 경상도 청송도호부 현내면 장전동(현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장전리)에서 아버지 권상진(權尙瑨, 1809 ~ 1888. 1. 11)과 어머니 [[임(성씨)|풍천 임씨]](豊川 任氏, 1805 ~ 1853. 10. 4)[* 임부곤(任富坤)의 딸이다.] 사이의 [[무녀독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1896년 1월 [[안동시|안동부]] 청송군에서 의병을 일으킨 [[심성지]] 의진에 입대하여 백의종사(白衣從事)에 선임되었다. 그해 4월 심성지 의진이 [[김하락]] 의진, 김상종(金象鍾) 의진과 연계 하에 의병 활동을 할 때 참전하였다가, 현내면 감은동(현 안덕면 감은리) 뒷산 기슭에서 [[일본군]]과 마주쳐 교전 끝에 병사 7~8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리는 데에 일조했다. 그 뒤 부동면 상평동(현 주왕산면 상평리) 마평(馬坪)과 [[경주시|경주군]] 등지에서 교전하였지만 [[중과부적]]으로 패전하였고, 얼마 뒤에 좌익장 [[권성하]] 등과 함께 영덕의진을 지원하기도 했으나 곧 해산되었다. 의진이 해산된 뒤에는 청송군에서 은거하다가 1900년 6월 25일 별세했다. 199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 의병장]][[분류:안동 권씨 급사중공파]][[분류:청송군 출신 인물]][[분류:1835년 출생]][[분류:1909년 사망]][[분류:건국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