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권혁조}}}'''[br]'''權赫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권철휘.jpg|width=100%]]}}} || || '''창씨명''' ||곤도 테츠로(權藤哲郞) || || '''예명''' ||권철휘(權哲輝) || || '''자 / 호''' ||호(豪) / 우암(宇庵) || || '''본관''' ||[[안동 권씨]][* 좌윤공파 미윤(美胤)계 36세 '''혁(赫)''' 기(奇) 경(景) 영(英) 항렬.] || ||<|2> '''출생''' ||[[1923년]] [[6월 25일]] || ||[[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상동[br](현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상동리)[* [[안동 권씨]] 집성촌이다.] || ||<|2> '''사망''' ||[[2002년]] [[1월 14일]][* 대전현충원묘적부에는 1월 4일에 별세한 것으로 등재되어 있다.] (향년 78세)||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342호 || || '''상훈''' ||건국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기업인]], [[영화 감독]]. 2007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탤런트]] [[임동진]]은 그의 사위로, 차녀 권미희(權美希)[* [[MBC]] 공채 탤런트 4기 출신이다.]와 혼인하였다. == 생애 == 권혁조는 1923년 6월 25일 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상동(현 예천군 예천읍 상동리)에서 아버지 권오환(權五煥, 1890 ~ 1949. 10. 30)과 어머니 [[고(성씨)|개성 고씨]](開城 高氏, 1891 ~ ?. 5. 18)[* 고맹훈(高孟勳)의 딸이다.] 사이의 5남 1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상경하여 [[배재고등학교|배재중학교]]에 입학하였으며, 재학 중에 항일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는 [[일본]] [[주오대학]]에 재학하던 중 1944년 1월 20일 소위 [[학도 특별지원병 제도]]로 [[일본 제국 육군]]에 징집되어 대구 제24부대[* 보병 80연대. 지금의 [[대구광역시]] [[남구(대구)|남구]] [[이천동(대구 남구)|이천동]] 캠프 헨리 부지에 위치해 있었다.[[https://m.blog.naver.com/bookhunt/110190690140|#]]]에 배속되었다. 그후 그를 비롯한 한국인 학병들은 [[탄약고]]를 폭파하고, 무기를 탈취한 후 일본군을 몰살시킬 계획을 세웠다. 그는 당시 제1대대 제3중대에 편성된 [[문한우]]·김이현(金而鉉) 등의 한국인 학병 6명과 함께 8월 8일 집단 탈출에 성공한 후 [[팔공산]]에 입산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체포되었다. 그해 12월 그는 조선군사령부 [[군법회의]]에서 징역 5년형을 선고받고, [[고쿠라]](小倉)육군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다가 옥중에서 [[8.15 광복]]을 맞아 출옥하였다. 귀국 후에는 권철휘(權哲輝)라는 예명으로 영화계에 투신하여 23편의 작품에 참여했다. 1973년 이후에는 사실상 은퇴하고 자신의 호에서 이름을 딴 주식회사 우암식품을 설립하여 회장에 취임하였다. 2002년 1월 14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에서 별세하였다. 200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이장되었다. == 여담 == * 맏형 [[권일]](權逸, 1911. 8. 22 ~ 2001. 4. 3)[* 초명 권혁주(權赫周). 창씨명 곤도 요시로(權藤嘉郞).]은 [[경복고등학교|경성제2고등보통학교]]와 [[메이지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1937년 11월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하여 1940년 [[만주국]] 연길지방법원 심판관[[http://db.history.go.kr/id/ma_016_0770_0010|#]], 1943년 [[대정익찬회]] 조사부[[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contentsId=GC95200330&localCode=jpn&menuGbn=category&searchCnd=%EA%B0%80&parentName=%ED%95%9C%EA%B8%80%ED%95%AD%EB%AA%A9%EB%AA%85&categoryName=%ED%91%9C%EC%A0%9C%EC%96%B4|#]], 1945년 1월 [[태평양전쟁]] 협력 단체인 지하공장건설일심회 총무부장[[http://db.history.go.kr/id/okch_003_7190|#]][[http://db.history.go.kr/id/hdsr_008_0030_0020_0040|@]]을 지내는 등 일제강점기 [[친일반민족행위자]]로 활동하였다. 해방 후에는 일본에서 변호사 사무소를 개업하고, 1961년부터 1967년까지 [[재일본대한민국민단]] 단장을 역임하기도 했으며, 1967년 귀국하여 [[제8대 국회의원]]([[민주공화당]]), [[제9대 국회의원]]([[유신정우회]])를 지냈다. 권일은 생전에 동생 권혁조의 독립운동 경력을 논하면서, "아버지에게 있어서는, 나처럼 일본에 협력하는 입장에 있던 장남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동생 일로써 세상을 대하는 면목도 섰을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김두식, 『법률가들 - 선출되지 않은 권력의 탄생』, 창비, 2018.11.20.] * 막내 남동생 권혁채(權赫采, 1936. 7. 20 ~ )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아이치현]]본부 고문으로 재직 중에 있으며, 2011년 제5회 세계한인의 날에 대통령표창을 수여받기도 했다.[[http://webzine.korean.net/201110/pages/sub01_01_01.jsp|#]] == 작품 목록 == * 1958년 《오부자》 - 각본, 제작 《마도의 향불》 - 제작 《웃어야할까 울어야할까》 - 제작 《한 많은 청춘》 - 제작 * 1959년 《약한 자여 그대 이름은 남자다》 - 감독 * 1964년 《죽자니 청춘 살자니 고생》 - 각본, 감독, 편집 * 1965년 《명동 44번지》 - 각본 《의형제》 - 각본 《피와 살》 - 각본 * 1966년 《무적자》 - 기획 《역전 중국집》 - 각본 * 1967년 《무번지》 - 각본 《역전부자》 - 각본, 감독 '''《[[월하의 공동묘지]]》'''[* 영화 속 [[박노식(1930)|박노식]]이 분한 '김한수'가 학생항일운동 사건에 연루되어 일본 경찰에 체포되는 설정은 권혁조 자신의 경험을 반영한 것이라고 한다.] - 각본, 감독, 기획, 단역 * 1968년 《남》 - 각본, 감독, 기획 * 1969년 《오부자》 - 각본, 감독 《북경열차》 - 각본, 감독 * 1970년 《쌍태양》 - 각본, 감독 《여인 전장》 - 각본 《홍콩의 단장잡이》 - 각본 * 1971년 《과객》 - 각본, 감독 * 1972년 《힘》 - 각본, 감독 * 1973년 《넋》 - 각본, 감독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한국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안동 권씨 좌윤공파]][[분류:예천군 출신 인물]][[분류:1923년 출생]][[분류:2002년 사망]][[분류:건국포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배재고등학교 출신]][[분류:주오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