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www.82cook.com/f00f08412a63367f.jpg|width=350&height=250]]|| ||||||||||<:>'''[[귀룽나무|{{{#black 귀룽나무}}}]]'''|| ||||||european bird cherry||||이명: '''구름나무'''|| ||||||||||<:><#BDFF12>''Prunus padus'' L.|| ||<|8><:><#D7FFCE> 분류 || || [[계]] ||||||'''식물계'''|| || [[문]]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 [[강]] ||||||목련강(Magnoliopsida)|| || [[목]] ||||||장미목(Rosaceae)|| || [[과]] ||||||장미과(Rosaceae)|| || [[속]] ||||||벚나무속(Prunus)|| || [[종]] ||||||'''귀룽나무'''|| [목차] [clearfix] == 개요 ==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 교목이며 높이는 10m~15m 정도로 크게 자라는 큰키나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어디든지 계곡가에 가면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이다. 이름의 유래로는 줄기껍질이[[ 거북이]](귀 : 龜) 등처럼 생겼고 줄기와 나뭇가지가 용을 닮았다고 하여 귀룽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또는 구룡목이라는 한자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여러가지 설이 있다. 수피는 회갈색이며 피목이 많이 발달되어 있다. 잎은 호상하며[* 어긋난다고도 한다.] 타원형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혓바닥같다.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는 것도 하나의 특징이다. 참고로 귀룽나무로 만든[[ 술]]을 취리자라고 한다. == 꽃과 열매 == 귀룽나무 꽃은 향기가 강해서 멀리서도 맡을 수 있다. 꽃은 요란하게 달린다. 4월에 핀다. 꽃잎은 타원형이다. [[꽃말]]은 사색이다. 열매는 원추형 모양이고 [[벚나무]] 열매와 닮았다. 가을에 검정색으로 익는다. == 유사한 나무 == [[개벚지나무]]와 비슷하지만 꽃을 비교해보면 두 나무를 서로 비교 할 수 있다. 꽃차례 하부에 잎이 없는 것은 개벚지나무이며 하부에 잎이 달리는 것은 귀룽나무이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잎을 뜯어 단면의 냄새를 맡아 보는 것으로, 귀룽나무는 고무 같은 불쾌한 냄새가 나므로 쉽게 식별이 가능하다. [[분류:나무]][[분류:장미과]][[분류: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