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기원전 3세기 집정관]][[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3세기)] ||||<#800080> {{{#ffffff {{{+3 '''그나이우스 세르빌리우스 카이피오''' }}}[br]{{{-1 [[라틴어]]: Gnaeus Servilius Caepio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파트리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정]] || ||<#800080> {{{#ffffff '''가족''' }}} ||그나이우스 세르빌리우스 카이피오(조부)[br]그나이우스 세르빌리우스 카이피오(아버지)[br][[그나이우스 세르빌리우스 카이피오(기원전 203년 집정관)|그나이우스 세르빌리우스 카이피오]](손자) || ||<#800080> {{{#ffffff '''참전''' }}} ||[[제1차 포에니 전쟁]]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253년 || ||<#800080> {{{#ffffff '''전임''' }}} || [[스키피오 아시나]][br][[아울루스 아틸리우스 카이아티누스]] || ||<#800080> {{{#ffffff '''동기''' }}} || [[가이우스 셈프로니우스 블라이수스]] || ||<#800080> {{{#ffffff '''후임''' }}} ||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기원전 252년 집정관)|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br][[푸블리우스 세르빌리우스 게미누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고대 로마의 저명한 [[파트리키]] 가문인 세르빌리우스 씨족의 일원이다.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따르면, 조부와 아버지 모두 그처럼 그나이우스라는 프라이노멘을 사용했다고 한다. 기원전 253년 [[가이우스 셈프로니우스 블라이수스]]와 함께 집정관이 되기 이전의 행적은 알려진 바 없다. 그는 동료 집정관과 함께 260척의 함대를 이끌고 아프리카 해안을 공격했다. [[폴리비오스]]에 따르면, 그들은 상륙을 매우 빈번하게 했지만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한다. 반면 [[파울루스 오로시우스]]에 따르면, 그들은 아프리카 해안 마을들을 황폐화시키고 많은 도시를 점령하고 약탈하여 배에 엄청난 전리품을 실었다고 한다. 그들은 해상 습격을 이어가다가 알려지지 않은 사유로 공세를 중단하고 이탈리아로 귀환했다. 그러다가 폭풍을 만나자 모든 화물을 배밖으로 던지고 가까스로 파노르무스에 상륙했다. 이후 다시 이탈리아로 이동했으나, 티레니아 해에서 새로운 폭풍을 만나 150척의 로마 선박이 침몰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폴리비오스는 이 함대가 침몰한 장소에 대해 별다른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오로시우스는 루키니아 지방의 서쪽 해안에 있는 파이누르 곶 앞바다라고 설명했다. 그 후 로마는 새로운 함대를 제작할 자원이 없었기에 일시적으로 해전을 포기했다. 이후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 기원전 203년 집정관 [[그나이우스 세르빌리우스 카이피오(기원전 203년 집정관)|그나이우스 세르빌리우스 카이피오]]는 그의 손자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