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마크로스 시리즈/등장 기체]]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extmovie.maxmovie.com/33fb9bbfe78da9b5b69f7ba3e640e4b4.gif]] [[마크로스 시리즈]]에 등장하는 [[젠트라디]]의 배틀 포드(Battle Pod, 전투 포드). 전고 16.55미터, 중량 41톤이라고 한다.[* 질량 41200킬로그램으로 기재되어 있다. 마크로스 시리즈에서는 모든 메카닉이 기본적으로 우주용이기 때문에, 행성 표면 같은 중력권에서 측정한 무게가 아니라 질량을 표시한다.] [[리컬트]]와 마찬가지로 1인승 배틀 포드이지만, 좀 더 거대하고 전투적으로 생겼다. 빔 발사기와 일체형인 [[무기팔]]이지만 팔도 생겼고. 다리는 리컬트가 그러하였듯 [[역관절]] 형태이지만, 리컬트의 빈약한 다리와는 달리 상당히 튼튼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 리컬트보다 대형이라 장거리 빔 캐논 및 임팩트 캐논을 장비해 화력이 리컬트보다 강력했다. 원래는 리컬트처럼 대량으로 양산되어 사용되던 주력 기체였지만, 설정상 [[감찰군]]에게 생산 기지가 파괴되어 보충이 안되어서 [[초시공요새 마크로스]]의 시점에서는 지휘관기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작중에서는 주로 [[캄진 크라브셰라]]가 타고나와 나름 강력한 모습을 보여줬다. [[리컬트]]와 마찬가지로 후속작들에서는 코빼기도 못비치는 신세. 그러다가 [[마크로스 델타]] PV에서 리컬트와 함깨 3D로 다시 등장한다! 다만 본편 등장인지 회상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설정상 전고 16미터 정도라고 하지만 배트로이드 발키리(전고 12.68미터)와 덩치가 비슷한 젠트라디인이 기체 내부의 콕핏 안에 편안히 앉아서 조종한다. [[로보캅 시리즈]]의 등장 로봇인 [[ED-209]]의 디자인 모티브가 된 메카이기도 하다. == 바리에이션 == 게임이나 소설 등에선 가끔 나온다. 본가격인 애니에서 등장한 것이 없다. === 네오 그라지 === [[파일:attachment/그라지/13.gif]] [[파일:attachment/그라지/81.gif]] [[마크로스 플러스]]의 PS용 게임판에서 적으로 첫 등장. 플레이어 캐릭터가 이사무일 때 최종 스테이지에서 요격기로 등장하며, 유인기인지 고스트들처럼 샤론에게 조종당하는 것인지는 언급되지 않는다. 그라지 형태가 거워크 모드고, 파이터 모드로 변형이 가능하다. 배트로이드 모드도 넣고 싶었다는데 플스의 폴리곤 성능의 제약으로 못 나왔다고. 파이터 모드의 디자인 모티브는 초음속 정찰기 [[SR-71]]로, 파이터 모드일 때의 형상은 (역시 마찬가지로 디자인 모티브가 SR-71인) [[VF-4]] 라이트닝 III 및 [[VF-14]] 뱀파이어의 그것을 계승한 3동체 형상이다. 파이터 모드에서의 주익 부분과 거기에 붙은 주익 일체형 엔진 나셀(말 그대로 주익과 일체화된 엔진 나셀로서 SR-71의 특징을 계승한 부분이다.)이 변형하여 팔과 다리를 형성하는 디자인으로, 엔진은 가워크 모드로 변형하게 되면 주익 일체형 엔진 나셀에서 동체로 옮겨진다. [[파일:M19eM4n.jpg]] [[마크로스 더 라이드]]에서는 VBP-1(거인용)/VA-110(마이크론용)라는 형식번호가 부여되었다. 더 라이드에서의 설정으로는 [[신통합군]]에서 채용한 가변공격기(Variable Attacker, VA) 겸 가변 배틀 포드(Variable Battle Pod, VBP)이며, 아래의 배리어블 그라지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론용 콕핏 버전도 있고 배트로이드 모드로도 변형이 가능. 연대상 배리어블 그라지를 발전시킨게 네오 그라지가 되는거라 당연한 거겠지만... 그리고 이번에도 적 기체다. === 배리어블 그라지 === 게임 마크로스 M3에서 모아라미아 지폰이 탑승한 기체. 모아라미아가 아군이 된 후 댄싱 스컬 소속으로 활약한다. 배트로이드 모드로 변형이 가능해졌다! [[젠트라디]] [[게릴라]] 세력에서 [[신통합군]]의 기술을 응용해 그라지를 토대로 3단 변형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콕핏이 좁아서 체격이 작은 멜트란디나 제대로 탈 수 있으므로 꼬맹이 모아라미아가 타고 나온 것. 격추된 모아라미아기를 신통합군에서 회수해 마이크론용 버전 배리어블 그라지도 개발했지만, 젠트라디의 신체기능을 전제로 한 기본설계 때문에 제 성능을 다 뽑아내진 못한다고. 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이 배리어블 그라지의 설계를 [[신통합군]]에서 개량하여 제식채용한 것이 네오 그라지이다. 배리어블 그라지와 네오 그라지의 차이는 [[스텔스]] 성능으로, 네오 그라지 쪽에는 [[VF-17]] 나이트메어에 적용된 것과 같은 패시브 스텔스 기술이 부분적으로 적용되었으며 [[마크로스 더 라이드]]의 시점에서는 액티브 스텔스 시스템도 추가되었다고 한다. 배리어블 그라지가 곡선적인 디자인인 것과는 달리 네오 그라지가 직선적인 디자인을 갖고 있는 것은 패시브 스텔스 기술의 적용여부의 차이 때문이다. || || 거인용([[젠트라디]]) || 마이크론용([[신통합군]]) || ||배트로이드||[[파일:attachment/그라지/f0.gif]]||[[파일:external/pds22.egloos.com/d0066194_4e897a9ad7129.gif]] || ||거워크||[[파일:external/pds24.egloos.com/d0066194_4e897a9899f8e.gif]]||[[파일:external/pds24.egloos.com/d0066194_4e897aa0b7018.gif]] || ||파이터||[[파일:external/pds19.egloos.com/d0066194_4e897a953a1f8.gif]]||[[파일:external/pds20.egloos.com/d0066194_4e897a9de8dcc.gif]] || [[http://www.macross2.net/m3/macrossga/macrossga-index.html|여기]]로 들어가면 큰 짤과 스펙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