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그래비티 폴즈)] [목차] = 시즌 1 = [[http://gravityfalls.wikia.com/wiki/List_of_allusions/Season_1|위키아에 나열된 패러디 모음]]. * 1화 Tourist Trapped * 메이블이 뱀파이어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트와일라잇 시리즈|이 작품]]을 빗댄 것일 가능성이 높다. * 메이블이 방에 붙인 포스터의 남자가수는 [[저스틴 비버]]와 매우 유사하게 생겼다. * 2화 The Legend of the Gobblewonker * 에피소드의 주 소재인 고블웡커는 [[네시]]와 유사하다. * 스탠의 차가 처음 등장하는 에피소드로, 앞펜더에 레터링으로 적힌 모델명인 "El Diablo"는 [[캐딜락 엘도라도]]의 패러디이다. 전반적인 생김새가 드 빌, 칼레, 플리트우드를 포함한 1965~1968년식 캐딜락 라인업과 유사한 것은 물론 알렉스 허쉬 본인도 차종을 "1965 El Diablo Convertible"로 명시해 1960년대 중후반 [[캐딜락]] 차종의 패러디로 볼 여지를 남겼다.[* 영화 속 자동차들을 종합하는 웹사이트인 imcdb.org에서는 1967년식 [[캐딜락 드 빌|캐딜락 세단 드 빌]]로 분류되어 있다.[[https://www.imcdb.org/v866685.html|#]]] * 3화 Headhunters * 밀랍 인형들은 전부 원본이 따로 있다. [[래리 킹]], [[쿨리오#s-1]], [[엘리자베스 2세]], [[로빈 후드]], [[에드거 앨런 포]], [[토머스 에디슨]], [[리처드 닉슨]], [[셜록 홈즈]] 등등. * 4화 The Hand That Rocks the Mabel * 5화 The Inconveniencing * 메이블이 먹는 불량식품은 실존하는 [[https://en.wikipedia.org/wiki/Fun_Dip|Fun Dip]]에서 따왔다. * 메이블이 환영을 보는 동안 돌고래에 올라타고 "가자, [[아오시마#s-4]]!"라고 외치는데 이는 제작진 중 한 명인 존 아오시마의 이름에서 따 왔다. * 배경이 되는 편의점 이름인 "더스크2던(Dusk2Dawn)"은 작명 방식이 [[세븐일레븐]]과 유사하다. 두 상호명 모두가 시간(황혼부터 새벽까지, 7시부터 11시까지)을 상호명으로 명시했다. 동시에 상호명과 함께 쾌락을 미끼로 희생양을 만드는[* 작중에서는 자기쾌락에만 관심있어하며 민폐를 끼쳐온 십대들에 의해 죽은 편의점주 부부가 편의점에 침입한 십대들을 가두고 벌하는.] 편의점의 특성상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영화 [[황혼에서 새벽까지]]의 패러디도 겸한다. * 웬디의 친구들 중 하나인 톰슨이 플레이하던 댄스게임 기판의 타이틀은 "Dancy Pants Revolution"으로, [[DanceDanceRevolution|댄스 댄스 레볼루션]]의 패러디이다. 구더빙판에서는 일행이 편의점에서 했던 행동들을 정리하는 디퍼의 대사를 통해 한국에서 댄스게임 기판을 통틀어 부르는 별칭인 "DDR"로 상표명을 간접 언급했다. * 6화 Dipper vs. Manliness * 디퍼가 즐겨듣는 노래 "Disco Girl"은 [[ABBA]]의 "Dancing Queen"의 패러디. * 7화 Double Dipper * 메이블이 부르는 노래는 [[https://www.youtube.com/watch?v=1k8craCGpgs|이 노래]]와 유사하다. 노래방 기기 스크린에 뜬 제목과 그 가사도 실존하는 1980년대 록 발라드 곡인 [[Don't Stop Believin']]의 패러디이다. * 8화 Irrational Treasure * 제목은 'National Treasure'의 패러디이다. * 9화 The Time Traveler's Pig * 제목은 아마 'The Time Traveler's Wife'의 패러디. * 10화 Fight Fighters * 오락실에서 디퍼와 웬디가 하던 게임은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패러디. 그 외에도 게임기들의 제목은 대개 실존하는 오락실 게임을 살짝 비틀어놓은 것들이다.[* 예를 들어 '고스트 메이즈'는 [[팩맨]]을 패러디한 게임이다.] * 럼블이 로비를 쫓아다니는 장면에서는 여러 게임 패러디가 나온다. [[동키콩]],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자동차 부수기 보너스 스테이지 등등. * 그 외에도 깨알같은 게임 패러디가 많다. [[코나미 코드]]라던가, 바닥에 떨어진 음식을 먹기, 위를 볼 수 없고 가만히 서있지 않는 캐릭터 등등. * 11화 Little Dipper * 메이블이 내뱉는 주문 중에 "익스펙토 위자디움!"은 [[해리 포터 시리즈]]의 [[패트로누스]] 주문의 패러디. * 12화 Summerween * 써머윈 트릭스터의 디자인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가오나시]]에서 따온 것. 그래서인지 일본에서는 이 녀석을 써머나시로 번역했다. * 스탠의 뱃속에서 돼지가 튀어나오는 것과 수스가 트릭스터 뱃속을 뚫고 나오는 장면은 영화 [[에일리언]]을 연상시킨다. * 캔디가 찍은 써머윈 트릭스터의 사진은 왠지 2000년대 초의 피쳐폰의 특수효과 기능을 연상시킨다. 게다가 캔디가 한국계라는 걸 생각해보면... * 트릭스터와 싸울 때 사용하는 무기 중에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링크(젤다의 전설 시리즈)|링크]]의 무기가 있다. * 스탠이 샤워를 하려 하는 [[https://youtu.be/-sTTZjMbVHQ?t=1m51s|장면]]은 그 유명한 '[[사이코#s-4.1|사이코]]'의 [[https://www.youtube.com/watch?v=atjhOhH-V3E&feature=youtu.be&t=51s|명장면]]의 패러디이다. 음악도 같다. * 극중의 초코바 "Mr. Adequate-Bar"는 허쉬의 땅콩 초코바인 Mr. 굿바(Mr. Goodbar)의 패러디다. 한국어 재더빙판은 오리온 핫브레이크의 패러디인 "콜드브레이크 초코바"로 현지화. * 크레딧 이후에 나오는 와들스의 사진은 [[밈]]들이다. * 13화 Boss Mabel. * 14화 Bottomless Pit! * 15화 The Deep End * 16화 Carpet Diem * 제목은 Carpe diem이라는 라틴어 관용구의 말장난. * 17화 Boyz Crazy * 극중 아이돌 그룹인 "세브럴 타임즈(Sev'ral Timez)"는 1990년대 서구권 남자 아이돌 그룹의 패러디이며 그룹명은 영미권 아이돌 그룹인 [[원디렉션]]과 [[*NSYNC]]의 패러디다.[* *NSYNC의 표기 중 하나인 'N Sync에서 따옴표를, 원디렉션(One Direction)에서는 어원을 비틀어 Several Times로 이름을 따 왔다. 본편의 후일담에서 메이블의 모델이자 원작자 알렉스 허쉬의 동생인 에어리얼 허쉬도 중학교 때 남자 아이돌 그룹들, 특히 *NSYNC를 좋아했다고 회상했다.] 한국어 재더빙판에서는 2000년대 한국 아이돌 그룹 [[동방신기]]의 패러디인 "서방신기"로 현지화했다. * 18화 Land Before Swine * 제목은 애니메이션 [[공룡시대#s-2|The Land Before Time]]의 패러디로 보인다. * 19화 Dreamscaperers * 꿈속으로 들어가는 주문 중에 "놀란의 [[인셉션]]은 과대평가됨!"이라는 말이 라틴어화되어 들어가 있다.[* "Inceptus Nolanus overratus".] * 수스가 생각해낸 공격 방법은 케어베어에 나오는 것과 굉장히 비슷하다... * 20화 Gideon Rises = 시즌 2 = [[http://gravityfalls.wikia.com/wiki/List_of_allusions/Season_2|위키아에 나열된 패러디 목록]]. * 1화 Scary-oke * 제목은 scary와 [[가라오케]]의 합성. * 작중 스탠이 방망이로 좀비들을 죽이는 게 영화 [[부산행]]과 묘하게 비슷하지만 이 에피소드는 부산행이 개봉되기 전에 나왔다. * 2화 Into the Bunker * 수스가 벙커에서 구한 동물 사탕 "스메즈(Smez)"는 실존하는 사탕 브랜드 [[https://en.wikipedia.org/wiki/Pez|페즈]](Pez)의 패러디이다. 페즈 특유의 캐릭터 사탕 용기가 구현되어 수스가 모자 부분을 열고 사탕을 먹는 장면이 나온다. * 3화 The Golf War * 제목 '골프 전쟁'은 '[[걸프 전쟁]]'의 말장난. * 4화 Sock Opera * 제목은 [[소프 오페라]]의 말장난이다. * 5화 Soos and the Real Girl * 제목은 영화 '내겐 너무 사랑스러운 그녀(Lars and the Real Girl)'을 살짝 바꾼 것이다. * 수스가 플레이하는 게임은 [[얀데레]] [[미연시]]. 메모에 붙어있는 테이블 뒤집기 이모티콘[* (╯°□°)╯︵ ┻━┻]은 덤. * 게임 내의 영어 맞춤법이 엉망이다. 엉터리 번역을 나타낸 것일 듯. * 기파니와의 대화 선택지에 오징어 얘기가 자꾸 나오며, 기파니의 아버지가 문어 인간이라는 것은 영어권에서 흔히 나오는 일본의 [[촉수물]] 드립이다. * 수스가 기파니의 이름이 '지파니'인지 '기파니'인지 헷갈린다고 하는데, 실제로 GIF를 발음하는 방법은 영어권에선 우리나라의 [[부먹]]/[[찍먹]] 논쟁 못지 않은 떡밥이다. * 작중의 가게 "Hoo-Ha Owl's Pizzamatronic Jamboree"는 [[FNaF]]를 떠올리게 하지만, 실제로는 이 에피소드가 FNaF가 나오기 전에 제작되었다. 따라서 FNaF와 해당 에피소드가 모두 [[https://www.youtube.com/watch?v=9yNitSBXzsA|이 다큐멘터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보는 것이 정확하다. 여기에 매장 이름은 [[처키치즈]]와 쇼비즈 피자 플레이스(ShowBiz Pizza Place)의 패러디. * 6화 Little gift shop of Horrors * 제목은 '흡혈 식물 대소동(The Little Shop of Horrors)'의 패러디. * 상점에 있는 물건 중에 [[팔란티르]]가 있다 카더라. 원래 이런 깨알같은 패러디가 한둘이 아니긴 하지만... * 7화 Society of the Blind Eye * [[릭앤모티]]와 관련해 작은 [[이스터 에그]]가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821TmxO95iE|참고영상]]. * 8화 Blendin's Game * 9화 The Love God * 작중 등장하는 밴드들의 이름은 실존하는 인디 밴드의 이름들을 살짝 바꾸어 만들었다. 예를 들어 "뱀파이어 휴일들"이라는 밴드를 "드라큘라 평일들"로 바꾸는 식이다. * 웬디 일행이 열광하는 인디밴드 페스티벌인 "우드스틱 페스티벌"은 1969년의 팝송 밴드 페스티벌인 우드스탁 페스티벌(The Woodstock Music and Art Fair)의 패러디이다. * 10화 Northwest Mansion Mystery * '한때 역사에 관한 내용이었던 채널'[* 한국어 재더빙판의 번역은 "역사를 다룬 적도 있었던 채널".]에서 방영하는 'Ghost Harassers'[* 번역하면 대략 '유령 폭행자들'로, 한국어 재더빙판은 "귀신 사냥꾼"으로 번역했다.]라는 프로그램은 바로 '[[히스토리]]' 채널과 [[고스트 버스터즈]]의 패러디이다. * 디퍼가 유령을 퇴치하기 위해 외우는 주문 중 "I ain't afaid of no ghostus"는 [[고스트 버스터즈]]의 주제곡의 후렴구 [[https://youtu.be/5XXgE9Preu8?t=51s|"I ain't afraid of no ghost"]]의 패러디이다. * 11화 Not What He Seems * 12화 A Tale Of Two Stans * 13화 Dungeons, Dungeons, & More Dungeons * 작중 게임인 D&D&D는 물론 [[D&D]]의 패러디. * D&D&D에서 등장하는 엘프는 [[레골라스]]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을 가능성이 높다. * 수스가 작중 하는 활동은 [[https://en.wikipedia.org/wiki/Live_action_role-playing_game|LARP]](실사판 액션 롤플레잉)의 패러디이다. * 롤플레잉 도중 파이어볼을 던지는 모습은 [[https://www.youtube.com/watch?v=j_ekugPKqFw|이 밈]]의 패러디다. * 스탠이 손으로 [[https://www.youtube.com/watch?v=5HAL5zyG3wM|때려잡는]] 요정은 [[젤다의 전설]]에서 짜증나는 캐릭터로 악명높은 [[나비(젤다의 전설 시리즈)|나비]]. * 작중 TV쇼인 덕텍티브는 제작진이 스스로 셀프 패러디를 강하게 하고 있다. * 14화 The Stanchurian Candidate * 스탠이 시장 후보로서 실언급 인터뷰를 한 뒤 입은 손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웬디가 보여준 스탠 짤은 미국의 인터넷 밈인 "[[반지의 제왕/명대사|One Does Not Simply]]"의 패러디이다. * 15화 The Last Mabelcorn [[분류:그래비티 폴즈]][[분류:패러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