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파블레 왕자비[br]{{{+1 그리스와 덴마크의 올가 공주}}}[br]Πριγκίπισσα Όλγα της Ελλάδας και της Δανίας'''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000030037.jpg|width=100%]]}}} || || '''이름''' ||그리스와 덴마크의 올가[br](Όλγα της Ελλάδας και της Δανίας)|| || '''출생''' ||[[1903년]] [[6월 11일]][br][[그리스 왕국]] 타토이 타토이 궁전|| || '''사망''' ||[[1997년]] [[10월 16일]] (향년 94세)[br][[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 '''배우자'''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유고슬라비아의 섭정 파블레]] ,,(1923년 결혼 / 1976년 사망),,|| || '''자녀''' ||알렉산다르, 니콜라, 옐리사베타|| || '''아버지''' ||그리스와 덴마크의 니콜라오스 왕자|| || '''어머니''' ||[[옐레나 블라디미로브나 여대공|러시아의 옐레나 블라디미로브나 여대공]]|| || '''형제''' ||엘리사베트,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마리나]]|| [목차] [clearfix] == 개요 == [[그리스 왕국]]의 니콜라오스 왕자와 [[러시아 제국]] [[옐레나 블라디미로브나 여대공]]의 장녀.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섭정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의 아내이자, [[영국]]의 왕자비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켄트 공작부인 마리나 공주]]의 언니이기도 하다. == 생애 == === 어린 시절 === 1903년 6월 11일 [[그리스 왕국]] 타토이 궁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니콜라오스 왕자는 [[그리스 왕국]] [[요르요스 1세]]의 3남이었고, 어머니 [[옐레나 블라디미로브나 여대공]]은 [[러시아 제국]] [[알렉산드르 2세]]의 손녀였다. 이름은 친할머니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올가 왕비]]로부터 따와 지어졌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0030039.jpg|width=100%]]}}} || ||<#FFD5CD> '''1910년경 여동생들과 함께'''[* 맨 왼쪽이 올가, 엘리사베트, 마리나이다.] || 1904년에는 여동생 엘리사베트가, 1906년에는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마리나]]가 태어나 언니가 되었다. 올가는 비교적 소박한 어린 시절을 보냈고, 종종 외가인 [[러시아 제국]]에 방문해 또래 육촌들인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올가 여대공]], [[타티야나 니콜라예브나 여대공|타티야나 여대공]],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마리야 여대공]],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아나스타시야 여대공]]과 어울려 놀기도 했다. === 제1차 세계대전 ===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참전 여부를 두고 [[콘스탄티노스 1세]]와 총리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사이에 갈등이 생겼다. 혼란한 상황에서 1915년부터 그리스는 연합국에 의해 부분적으로 점령되었고, 그리스 왕족들은 모두 망명을 떠나야 했다. 올가와 가족들은 [[아테네]]를 떠나 [[생모리츠]]에 정착했다. 1920년에 큰아버지 [[콘스탄티노스 1세]]가 잠시 복위함에 따라 올가는 잠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그러나 그가 1922년에 다시 퇴위하면서, 올가는 [[런던]]과 [[파리(프랑스)|파리]] 등지로 이동하며 망명 생활을 이어갔다. === 파혼과 결혼 === 올가와 여동생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마리나]]는 당대 가장 아름다운 공주 중 한명이었다. 망명을 떠나기 전인 1922년, 올가는 육촌 친척 [[덴마크]]의 [[프레데릭 9세|프레데릭 왕세자]]와 약혼했다.[* [[크리스티안 9세]]를 기준으로 육촌이고, [[프리드리히 프란츠 2세|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 프리드리히 프란츠 2세]]를 기준으로도 육촌이다.] 하지만 군중에 약혼을 발표할 때 프레데릭 왕자는 올가 대신 그녀의 여동생의 손을 잡는 실수를 하고 말았고, 이로 인해 창피함을 느낀 올가는 약혼을 파기했다.[* 프레데릭은 13년 후 [[스웨덴의 잉리드]]와 결혼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0030042.jpg|width=100%]]}}} || ||<#FFD5CD> '''올가와 [[프레데릭 9세|프레데릭 왕세자]]의 약혼 사진''' || 이후 올가가 누구와 결혼할지에 대한 많은 소문이 돌았다. 그 중에서는 훗날 [[영국]]의 국왕으로 즉위한 [[에드워드 8세|에드워드 왕자]]도 있었다. 그러던 중 올가는 한 무도회에서 [[유고슬라비아 왕국|유고슬라비아]]의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파블레 왕자]]를 만났다. 올가의 아름다운 미모에 반한 파블레 왕자는 올가의 호감을 사려 했지만, 그녀는 그에게 관심이 별로 없었다. 하지만 이후 몇 차례의 만남을 더 가지면서 두 사람 사이에서 애정이 싹트기 시작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0030035.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0030036.jpg|width=100%]]}}} || ||<-2><#FFD5CD> '''결혼 사진''' || 1923년 7월 26일, 올가는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파블레 왕자]]와의 약혼을 발표했고, 10월에 결혼식을 올렸다.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왕자비가 된 올가는 [[세르보크로아트어]]를 빠르게 습득했다. 올가는 남편의 재산으로 풍족한 삶을 누렸으면서도, 단조로운 삶에 지루함을 느끼기도 했다. 또, 유고슬라비아 국왕 부부인 [[알렉산다르 1세]]와 [[루마니아]]의 마리아와도 사이가 별로 좋지 않았다. 그래도 남편인 파블레 왕자와 사이에서 알렉산다르 왕자, 니콜라 왕자, 옐리사베타 공주를 낳으며 나름 행복한 결혼 생활을 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0030041.jpg|width=100%]]}}} || ||<#FFD5CD> '''자녀들 함께''' || 1934년 10월 9일 [[유고슬라비아 왕국|유고슬라비아]]의 국왕 [[알렉산다르 1세]]가 암살당하고, 그의 어린 아들 [[페타르 2세]]가 즉위했다. 당시 페타르 2세의 나이가 겨우 11세였기 때문에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파블레 왕자]]가 섭정으로 임명되었다. 올가는 섭정의 아내로서 여러 차례 해외에 방문했으며, 특히 [[로마]]와 [[베를린]]에서 [[베니토 무솔리니]]와 [[아돌프 히틀러]]를 만나기도 했다. === 제2차 세계대전 ===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후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파블레 왕자]]는 [[삼국 동맹 조약]]에 서명하고 [[유고슬라비아 왕국|유고슬라비아]]를 [[추축국]]에 가입시켰다. 이 결정에 불만을 품은 [[페타르 2세]]는 군 장교들과 결탁하여 [[쿠데타]]를 일으켰고, 결국 파블레 왕자와 올가, 그리고 세 자녀들은 체포되어 [[영국]]에 넘겨졌다. 올가와 가족들은 [[케냐|영국령 케냐]]에 억류되었으며 남편 파블레 왕자는 [[우울증]]에 걸렸다. 올가는 케냐에서 요리를 배우고 자녀를 교육시키는 데 전념했다. 1942년, 매부 [[켄트 공작 조지|켄트 공작 조지 왕자]]가 비행기 사고로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여동생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마리나 공주]]가 큰 슬픔에 빠졌다. 이에 영국 정부는 마리나를 위로하기 위해 올가가 [[영국]]에 잠시 머물도록 허용했다. 1943년 1월, 올가가 케냐로 돌아왔지만 남편 파블레 왕자의 우울증 증세는 나아지지 않았고, 결국 영국 정부는 올가 가족이 [[남아프리카 연방]]에 정착하도록 허용해 주었다. 그곳에서 올가는 국외로 망명한 여러 그리스 왕족들을 만날 수 있었다. === 말년 === 1948년, 올가와 가족들은 마침내 유럽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허가를 받았지만, 이미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멸망하고 공산주의 정권이 수립된 탓에 고국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 결국 올가는 [[스위스]]를 거쳐 [[파리(프랑스)|파리]]에 정착했다. 1954년에는 차남 니콜라 왕자가 [[마거릿 로즈|마거릿 공주]]를 만나러 가던 중 교통사고를 당해 먼저 세상을 떠났다. 1976년 남편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파블레]]가 사망한 후, 올가는 [[영국]]에서 오랜 기간 머물렀다. 여동생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마리나 공주]]가 사망한 후에는 [[켄싱턴 궁전]]에서 [[앨리스 몬태규 더글라스 스캇|앨리스 왕자비]]와 함께 거주하기도 했다. 나이가 들면서 올가의 건강은 점차 쇠약해졌지만, 1978년 조카 [[켄트의 마이클 공자]]의 결혼식과 1981년 [[찰스 3세|찰스 왕세자]]와 [[다이애나 스펜서]]의 결혼식에 참석하는 등 여러 왕실 행사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러나 말년에 [[치매#s-5.1|알츠하이머 병]]에 걸려 투병하다 1997년 10월 16일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에서 94세의 나이로 눈을 감았다. 유해는 [[스위스]] [[로잔]]의 부아드보 수도원에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남편]], 아들 니콜라 왕자와 함께 안장되었다가 2012년에 [[세르비아]]로 이장되었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그리스]]와 [[덴마크]]의 올가 공주[br]{{{-2 (Princess Olga of Greece and Denmark)}}} ||<|6> [[그리스]]와 [[덴마크]]의 니콜라오스 왕자[br]{{{-2 (Prince Nicholas of Greece and Denmark)}}} ||<|3> [[요르요스 1세]][br]{{{-2 (George I)}}} || || [[크리스티안 9세]][br]{{{-2 (Christian IX)}}} || || [[헤센카셀의 루이제|헤센카셀의 루이제 공녀]][br]{{{-2 (Princess Louise of Hesse-Kassel)}}} || ||<|3>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러시아의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br]{{{-2 (Grand Duchess Olga Constantinovna of Russia)}}} || ||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러시아의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br]{{{-2 (Grand Duke Konstantin Nikolayevich of Russia)}}} || || [[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 공녀]][br]{{{-2 (Princess Alexandra of Saxe-Altenburg)}}} || ||<|7> [[옐레나 블라디미로브나 여대공|러시아의 옐레나 블라디미로브나 여대공]][br]{{{-2 (Grand Duchess Elena Vladimirovna of Russia)}}} || ||<|3> [[러시아 제국|러시아]]의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br]{{{-2 (Grand Duke Vladimir Alexandrovich of Russia)}}} || || [[알렉산드르 2세]][br]{{{-2 (Alexander II)}}} || || [[헤센의 마리|헤센의 마리 공녀]][br]{{{-2 (Princess Marie of Hesse and by Rhine)}}} || ||<|3>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마리 여공작[br]{{{-2 (Duchess Marie of Mecklenburg-Schwerin)}}} || || [[프리드리히 프란츠 2세|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 프리드리히 프란츠 2세]][br]{{{-2 (Frederick Francis II, Grand Duke of Mecklenburg-Schwerin)}}} || || 로이스쾨스트리츠의 아우구스테 공녀[br]{{{-2 (Princess Augusta Reuss of Köstritz)}}}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2> '''1남''' ||<|2> 알렉산다르 왕자[br]{{{-2 (Prince Alexander)}}} ||<|2> [[1924년]] [[8월 13일]] ||<|2> [[2016년]] [[5월 12일]] || --[[사보이아]]의 마리아 피아 공주--[br]슬하 3남 1녀 || ||<#F0F8FF> [[리히텐슈타인]]의 바르바라 공녀[br]슬하 1남 || || '''2남''' || 니콜라 왕자[br]{{{-2 (Prince Nikola)}}} || [[1928년]] [[6월 29일]] || [[1954년]] [[4월 12일]] || || ||<|3> '''1녀''' ||<|3> 옐리사베타 공주[br]{{{-2 (Princess Elizabeth)}}} ||<|3> [[1936년]] [[4월 7일]] ||<|3> || --하워드 옥센버그--[br]슬하 2녀 || ||<#FFF0F5> --닐 벨푸어--[br]슬하 1남 || ||<#FFF0F5> 마누엘 울로아 엘리아스 || [[분류:1903년 출생]][[분류:1997년 사망]][[분류:그리스의 공주]][[분류:덴마크의 공주]][[분류:왕자비]][[분류:글뤽스부르크 가문(그리스)]][[분류:카라조르제비치 가문]][[분류:아티키주 출신 인물]][[분류:오플렌추 교회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