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가제트(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몬스터 카드들. == 목록 == === 그린 가제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6883_1.jpg]][* [[파일:스캔0057.jpg]] [br] 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 38권의 115 페이지에 있는 구도]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그린 가제트, 일어판명칭=グリーン・ガジェット, 영어판명칭=Green Gadget,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1400, 수비력=600,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드 가제트" 1장을 패에 넣는다., )] === 레드 가제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6886_1.jpg]][*2 [[파일:스캔0060.jpg]] [br] 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 38권의 120 페이지에 있는 구도.]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레드 가제트, 일어판명칭=レッド・ガジェット, 영어판명칭=Red Gadget,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1300, 수비력=1500,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옐로 가제트" 1장을 패에 넣는다., )] === 옐로 가제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6889_1.jpg]][*2][* 다만 카드 일러스트에선 자세가 살짝 바뀌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옐로 가제트, 일어판명칭=イエロー・ガジェット, 영어판명칭=Yellow Gadget,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1200, 수비력=1200,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그린 가제트" 1장을 패에 넣는다., )] == 설명 == 사용자는 [[무토우 유우기]]. 또 하나의 자신인 [[어둠의 유우기]]와의 최종 듀얼에서 사용했다. 보면 알겠지만 그린 가제트를 소환하면 레드 가제트를, 레드 가제트를 소환하면 옐로 가제트를, 옐로 가제트를 소환하면 그린 가제트를 서치하는 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다. 각 가제트에게서 퍼져나오는 오오라는 자신을 서치할 수 있는 가제트와 같은 색상이며, 눈과 배경의 톱니바퀴는 자신이 서치할 수 있는 가제트와 같은 색상이다. 모티브는 아마 [[신호등]]인 듯. 초보자들도 이해하기 쉬운 직관적이면서 패 말림을 줄여 주는 강력한 효과를 가져 오만 가지 덱에 섞여들어가 활약할 수 있는 수준급 범용성을 자랑하는 덕에 테마군이라는 개념이 희미했던 과거에는 상당히 강력한 카드였고 현재는 올드 유저들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유희왕의 한 시대를 풍미한 카드들이다. [[앤틱 기어]] 덱에선 일부 몬스터들의 능력을 발동시키는 능력을 갖고 있다. [[가제트(유희왕)|기동병사 데드 리볼버]]에 [[기계 복제술]]을 걸고 소환하면 공격력 2000 몬스터 3마리로 전선을 구축할 수 있으며, 끊임없이 소환이 가능한 특성상 앤틱 기어 캐슬의 카운터도 빠르게 쌓을 수 있다. 가제트 시리즈는 이후로도 계속 지원을 받고 있지만, 위의 레드 & 옐로 & 그린 가제트의 특성인 '''소환만 하면 패 아드를 1장 늘려준다'''는 심플하면서도 강력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가제트 몬스터라고 하면 위의 3장의 카드를 얘기하는게 대부분이고, 가제트 덱도 위의 3장의 카드만 차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과거 가장 기본적인 덱 구성은 제거 가제트 덱. [[메타 비트]]덱으로 분류되며, 가제트 카드를 각각 2~3장씩 차용한 후 나머지 30장의 카드를 1대1 교환이 가능한 제거계 카드나 [[수축(유희왕)|수축]]이나 [[작렬 장갑]], [[차원 유폐]] 등의 공격 반응형 함정을 넣어서 상대와 자신의 카드를 끊임없이 1대1 교환을 해주는 것이었다. 여기에 추가로 [[이차원의 여전사]]나 [[동족 감염 바이러스]]등의 범용 제거 카드를 투입하거나, 제거 가제트의 전성기 때에는 [[번개왕]]이나 [[사령기사 데스커리버 나이트]]등의 메타 카드를 넣어서 상대를 견제하는 플레이를 하기도 했다. '''다른 변수가 없다면 너의 카드 1장을 내 패 1장으로 계속 정리할 수 있고, 그러면 언젠간 넌 패가 마르고 나는 패에 가제트가 남는다'''라는 논리로 끊임없이 상대의 카드 전개를 방해하고 교환을 시도하는, 메타비트의 정석을 보여주는 카드. [* 제거 가제트가 티어권인 시절에는 대부분의 덱이 몬스터 비트덱이었기 때문에 몬스터 위주의 제거카드를 사용했지만, 상대가 마법/함정 위주의 메타덱일 경우 마법/함정을 1대1로 교환하는 [[싸이크론]], [[더스트 토네이도]], [[신의 심판]]등의 마함 1대1 교환 카드를 사이드 덱에 꽉꽉 채워넣었다가 상대의 덱을 본 후 카드를 교체해주면 된다. 몬스터를 정리하는것과 마찬가지로 패와 패를 1대1 교환해주면 간단하며, 의외로 마법/함정 카드쪽에는 아드를 늘려주는 카드가 거의 없어서 더 쉽게 패 차이를 불릴 수 있었다.] 그러나 순수한 제거 가제트덱은 시대가 흘러갈수록 점점 약해졌는데, [[시스템 다운(유희왕)|시스템 다운]]이나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과 같은 카운터 카드의 발매로 가제트 자체의 위용도 낮아졌고, 점점 묘지에서 효과를 발동하거나 묘지의 카드를 소재로 효과를 발동하는 카드가 늘어나면서 너와 내가 서로 1대1 교환을 반복하면 넌 패가 마르고 필드가 빈다라는 가제트덱의 대전제가 무너져버렸기 때문이다. 상대는 묘지의 카드를 제외해서 효과를 발동시켜 자신의 카드를 제거하는데 자신은 패를 사용해서 상대의 카드를 제거해야 하고 마법/함정은 묘지로 들어가면 재활용도 어려우니 결국 묘지 자원의 차이로 스펙 싸움에서 패배하게 되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크로 코스모스]]와 [[왕궁의 탄압]]을 사용한 차원 제거 가제트가 입상을 하기도 하는 등 잊을 만 하면 존재감을 한번씩 발휘하고는 했다. 한때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이 무제였던 시절 공격력 1800에 이 카드의 완벽한 상위호환을 했던 바람에 사장됐던 적이 있다. 자세한 건 [[사이칼리에어고즈]] 참조. 에어맨이 제한을 먹은 후 다시 쓰이기 시작했지만, [[마돌체|마돌체 마죠레느]]와 [[히로익|H-C 강습의 할베르트]]가 이 카드들의 대응책으로 나오고 또 이용률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이후 [[엑시즈 소환]]이 등장하면서 모든 가제트가 4레벨이라는 점을 이용해 4축 엑시즈를 전격적으로 사용하면서 다시한번 티어덱으로 뛰어올랐다! [[양철금붕어]]와 [[이중소환]], [[기아기아]] 등으로 [[기아기간토 X]]를 이용해 매 턴 랭크 4 액시즈를 소환해 압박하고, 여기에 [[그림자 도마뱀]]과 [[킹그렘린]]까지 투입해 끝이 없는 랭크 4의 향연을 보여주면서 마돌체의 상위호환이라 불릴 정도로 강한 모습을 보였다. 이후 [[사운드 워리어]]와 연계해 [[펜듈럼 소환]]하는 사운드 가제트, [[매크로 코스모스]]와 최근 나온 범용 함정들을 추가해 굴리는 제거 가제트 등이 쓰였다. 골드, 실버 출시 후 둘을 넣은 [[http://blog.naver.com/xezenan/220691704057|사운드 가제트]]가 입상하기도 했으며, 100여 명이 참가한 2016년 부산 홀대회에서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oardgame&no=1012328|제거 가제트]]가 32강까지 갔다. [[링크 소환]]이 등장한 뒤 [[파이어월 드래곤]], [[캐논 솔저]], [[다이가스타 에메랄]]과 연계하는 원턴킬 콤보가 새로 생겼다. 자세한 것은 파이어월 드래곤 문서 참조. 비교적 초기에 나온 카드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도 이런 저런 사용법들이 모색되고 있다는 점에서 참 대단한 카드다. 소환 및 서치가 쉽고, 레벨도 낮아 의식 소환, 싱크로 소환, 엑시즈 소환에 다 대응이 가능한 범용성 甲인 카드들. 게다가 [[비크로이드|페어싸이크로이드]]의 발매로 이젠 컨트롤만 잘하면 융합 소환에도 대응 가능하고, 레벨이 4라서 펜듈럼 소환도 용이해 진짜 모든 소환에 대응이 가능해졌다. [[링크 소환]] 이후의 활약으로도 기대하는 유저들도 있는 만큼 좀 더 지켜봐야 할 듯.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기계의 반란(유희왕)|기계의 반란]]- || SD10-KR006 ~ SD10-KR008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프리미엄 팩]] Vol. 1 || PP01-KR003 ~ PP01-KR005 || [[울트라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머시너즈의 지령]]- || SD18-KR015 ~ SD18-KR017 || [[노멀]] || 한국 || || || [[듀얼리스트 세트]] Ver. 머신기아 트루퍼즈 || DS14-KRM06 ~ DS14-KRM08 || [[울트라 레어]] || 한국 || || || [[듀얼리스트 팩]] - 파라오의 기억 편- || DP17-KR021 ~ DP17-KR023 || [[노멀]] || 한국 || || || [[리미티드 에디션|LIMITED EDITION]] 6 || LE6-JP001 ~ LE6-JP003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기계의 반란(유희왕)|기계의 반란]]- || SD10-JP006 ~ SD10-JP008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머시너즈의 지령|머시너즈 코만도]]- || SD18-JP015 ~ SD18-JP017 ||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세트]] Ver. 머신기아 트루퍼즈 || DS14-JPM06 ~ DS14-JPM08 || [[울트라 레어]] || 일본 || || || 決闘王の記憶 -闘いの儀編- || 15AY-JPC16 ~ 15AY-JPC18 ||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팩]] -파라오의 기억 편- || DP17-JP021 ~ DP17-JP023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기계의 반란(유희왕)|Machine Re-Volt]] || SD10-EN006 ~ SD10-EN008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Yugi || DPYG-EN012 ~ DPYG-EN014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머시너즈의 지령|Machina Mayhem]] || SDMM-EN015 ~ SDMM-EN017 || [[노멀]] || 미국 || ||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Rivals of the Pharaoh || DPRP-EN021 ~ DPRP-EN023 || [[노멀]] || 미국 || || || [[피스츠 오브 더 가제트]]||FIGA-EN006~FIGA-EN008 || [[슈퍼 레어]] || 미국 || || == 관련 문서 == * [[기동요새 스트롱 홀드]] * [[앤틱 기어 가젤 드래곤]] * [[앤틱 기어 가젤 키메라]] [각주] [[분류:유희왕/OCG/기계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