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재인 정부)] [include(틀:교육 관련 문서)] ||||
'''{{{+1 그린스마트스쿨}}}[br]GreenSmartSchool''' || |||| [[파일:bi1.png|width=100%]] || || '''사업추진''' ||[[2020년]] || || '''상위정책''' ||[[한국판 뉴딜]] - 그린뉴딜 || || '''현황''' ||'''진행중''' || || '''관할''' ||한국교육시설안전원[* 교육부 산하 유관기관] || || '''추진''' ||[[대한민국 교육부]] 등 17개 시도교육청|| || '''채널''' ||[[https://www.greensmart-school.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https://blog.naver.com/greensmart_school|[[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https://www.youtube.com/channel/UCdnT8AkpxWnJYy2mPOoAbN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https://www.facebook.com/greensmartschoo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https://www.instagram.com/greensmart_schoo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목차] [clearfix]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6px" [youtube(9vKShkKHEvk, width=100%)]}}} || || {{{#ffffff '''▲ 그린스마트스쿨 사업소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8J5C_yECfU, width=100%)]}}} || || {{{#ffffff '''▲ 그린스마트스쿨 EBS다큐'''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TW4W0cD_aw, width=100%)]}}} || || {{{#ffffff '''▲ 그린스마트스쿨 교육부 홍보영상''' }}} || == 개요 == [[2020년]] [[7월]]에 발표된 [[한국판 뉴딜]] 학교 교육환경 개선 사업이다.[* 쉽게 말하면 학교 시설 등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약 19조 가량이 [[2025년]] 까지 투입되며 단일 교육사업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되는 사업이나, 여러 시점이 적용되고 있다.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라고도 한다. == 사업 소개 == *팬데믹 시대, 한국 교육의 길을 묻다. *4차 산업혁명은 이미 진행중 *미래를 담을 새로운 공간 필요 *기후와 환경생태 교육은 필수 *이제 지역사회와 연계해야 == 추진 배경 == *그린스마트학교 추진배경에 맞게 실질적인 학교, 수업의 변화 유도 *그린스마트스쿨 전환이 시작되는 2024년에 맞춰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40년 이상의 노후학교 개선에 적용 후 단계적으로 전 학교를 그린스마트스쿨로 전환 *공급자 위주의 시설에서 사용자 중심의 시설로 === 5개년 계획 === ||
{{{#white '''구분'''}}} || {{{#white '''2021'''}}} || {{{#white '''2022'''}}} || {{{#white '''2023'''}}} || {{{#white '''2024'''}}} || {{{#white '''2025'''}}} || || {{{#white '''그린스마트스쿨'''}}} || 대상학교 선정, 사용자 참여 설계 ||<-2> 공사, 사용자 시공 점검 || 1차 그린스마트스쿨[br]전환 || 2차 그린스마트스쿨[br]전환 || || {{{#white '''2022 교육과정'''}}} || 개정사항 발표 ||<-2> 2022개정 교육과정 고시[br](총론.각론) || 초1, 2 적용 || 초3, 4, 중1, 고1 적용 || || {{{#white '''고교학점제'''}}} || 마이스터고 적용(1, 2학년) ||<-3> 특성화고 도입, 일반계고 일부 도입 || 전체 고교 본격 시행 || || {{{#white '''주요 인프라'''}}} ||<-2> 모든 일반/교과.특별교실에[br]무선망 구축(~22.) || K에듀 통합 플랫폼[br]구착(~23.) || == 교급별 계획 == === 유치원, 초등학교 === 학생 발달 단계에 맞는 학습공간 및 놀이.휴식공간 과거의 정형화된 교실에서 탈피하여 각각의 개성있는 교실을 만드는데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복도 등의 공간을 활용하여 휴식공간 등을 설치하여 키즈카페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한다. === 중학교 === 자유학기(년)제 연계 공간 이 사업에서 가장 애매한 교급으로 아직 큰 변화의 모습을 보기 힘들 듯. === 고등학교 === [[고교학점제]] 연계 공간 홈베이스등 학생 휴계 공간을 확충하고 교과 별 최적화 된 교실을 설계하는데 목표하고 있다. == 핵심요소 == === 그린스마트스쿨 === *탄소중립학교 고효율 설비, 자재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과 태양광 발전 기술을 활용, 건물 외부 영향을 최소화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냉난방 등에 원격통합제어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자동관리화. *생태, 휴식, 건강 학교 텃밭, 실내정원, 연못 등 다양한 생태환경 조성, 주민커뮤니케이션 거점 공간,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공간 *환경생태 교육의 장 에너지 절감 및 생산시설, 생태환경 등을 교육 교재로 활용 에너지 절감 및 생산시설, 생태환경 등을 교육 교재로 활용 기후변화 대응 및 환경 문제 등 주제로 학생 자율 동아리 운영 || 학교가 기후변화 대응에 선도적, 모범적 역할 수행 / 다양한 생태환경을 조성하여 체험중심의 환경교육 실현 || === 스마트교실 === *첨단 기자재 구비 전체 교실을 무선 인터넷 환경으로 바꾸고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탑재된 태블릿이나 노트북의 활용을 지원하며 학교 여건, 교과 특성, 학생 수준에 맞는 학습 기자재도 구비. *스마트한 운영 지능형 교육행정정보시스템으로 수강신청, 교육과정 운영 지원 등 학교 테크센터 운영, 민간업체 위탁 등을 통한 기기 관리 지능형 CCTV, 센서, 비콘 등 첨단 기술 활용으로 위험 관리 *빅데이터, AI 단일학급, 오프라인의 한계를 넘은 창의융합형 수업 시공간의 경계 없는 교수학습 활용자원의 무한확장 빅데이터, AI 등 에듀테크를 활용한 진단 및 특성 분석 신속한 소통 및 정보 탐색으로 문제해결력·창의력의 제고 || 교수학습 혁신을 위한 디지털 기반 스마트 학습환경 구현 / 디지털 기반 맞춤형 개별학습 제공으로 학습의 질 제고, 교육력 향상 || === 공간혁신 === === 학교 복합화 === === 안전 === == 문제점 == === 모듈러 교실 === [youtube(EqYJUSNIm5g)] 학교 전체를 갈아엎는 사업이다 보니 추진 기간 등 완공 까지 방학 안에 해결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공사 기간에 모듈러 교실이 일부 학교에 도입되어 운영 중이지만 컨테이너 교실 논란, 안전 논란으로 인하여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사실상 고학년들은 불편을 감수하고 오는 보상이 없으며 이 혜택을 보는 학생들은 자기들의 후배가 될것이기 때문이다. === 예산 문제 === 교육정책 중 단일로 18조 5000억이나 들어가는 대단위 사업이다보니 여러곳에서 말이 나오고 있다. == 지금 정말 필요한 사업인가? == === 찬성 === === 반대 === == 선정학교 == === 서울 === 현재 선정학교만 있으며 72개교가 사업계획 중이다.[* 사업 완료 학교가 아직 없다.] *[[강서고등학교]] *[[고려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고려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고명중학교]] *[[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 *[[광운중학교]] *[[금호여자중학교(서울)]] *[[대광중학교(서울)]] *[[대동세무고등학교]] *[[동성고등학교]] *[[동성중학교(서울)]] *[[동일중학교]] *[[배문중학교]] *[[보성여자중학교(서울)]] *[[삼선중학교]] *서울갈현초등학교 *서울구산초등학교 *서울남부초등학교 *[[서울노량진초등학교]] *서울당곡초등학교 *[[서울대림초등학교]] *[[서울도봉초등학교]] *서울도신초등학교 *[[서울동구로초등학교]] *서울동명초등학교 *[[서울동신초등학교]] *서울둔촌초등학교 *서울면중초등학교 *서울명신초등학교 *[[서울문백초등학교]] *서울보광초등학교 *[[서울북가좌초등학교]] *[[서울불광초등학교]] *서울상일초등학교 *[[서울수유초등학교]] *서울신창초등학교 *서울안평초등학교 *서울역촌초등학교 *[[서울영신초등학교]] *[[서울영중초등학교]] *[[서울오류초등학교]] *[[서울오산중학교]] *[[서울용강초등학교]] *서울용두초등학교 *서울용마초등학교 *[[서울위례초등학교]] *[[서울유현초등학교]] *서울인헌초등학교 *서울창동초등학교 *서울홍릉초등학교 *[[서울화계초등학교]] *[[서울화곡초등학교]] *[[숭문중학교]] *[[신화중학교]] *[[아현산업정보학교]] *[[영파여자중학교]] *[[용문고등학교(서울)]]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장평중학교]] *[[전농중학교]] *[[정의여자고등학교]] *[[중앙여자고등학교]] *[[청량고등학교]] *[[청량중학교]] *[[청운중학교]] *[[한양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 경기 === 현재 진행중 학교는 1개교로 75개교가 현재 선정되어 추진중이다. === 인천 === 현재 선정학교만 있으며 17개교가 사업추진중이다. === 강원 === 현재 선정학교만 있으며 24개교가 사업추진중이다. === 충북 === 현재 선정학교만 있으며 35개교가 사업추진중이다. === 충남 === 현재 선정학교만 있으며 45개교가 사업추진중이다. === 세종 === 선정된 학교가 없다. === 대전 === 현재 선정학교만 있으며 12개교가 사업추진중이다. === 경북 === 현재 선정학교만 있으며 56개교가 사업추진중이다. === 경남 === 현재 선정학교만 있으며 52개교가 사업추진중이다. === 부산 === 현재 선정학교만 있으며 59개교가 사업추진중이다. === 대구 === 현재 선정학교만 있으며 26개교가 사업추진중이다. === 울산 === 현재 진행중 학교는 1개교로 8개교가 현재 선정되어 추진중이다. === 전북 === 현재 선정학교만 있으며 59개교가 사업추진중이다. === 전남 === 현재 선정학교만 있으며 85개교가 사업추진중이다.[* [[광역자치단체]] 중에 제일 수가 많다.] === 광주 === 현재 선정학교만 있으며 6개교가 사업추진중이다. === 제주 === 현재 진행중 학교는 1개교로 3개교가 현재 선정되어 추진중이다. == 여담 == || '''[[그린스마트스쿨|{{{#white {{{+2 그린스마트스쿨}}}}}}]]''' '''{{{#white {{{+2 선정학교}}}[br]GREENSMARTSCHOOL SELECTED}}}''' || || [[파일:bi1.png|width=250]] || || '''[[그린스마트스쿨|{{{#white {{{+2 그린스마트스쿨}}}}}}]]''' '''{{{#white {{{+2 진행학교}}}[br]GREENSMARTSCHOOL PROGRESSED}}}''' || || [[파일:bi1.png|width=250]] || || '''[[그린스마트스쿨|{{{#white {{{+2 그린스마트스쿨}}}}}}]]''' '''{{{#white {{{+2 완료학교}}}[br]GREENSMARTSCHOOL COMPLETION}}}''' || || [[파일:bi1.png|width=250]] || || '''[[그린스마트스쿨|{{{#white {{{+2 그린스마트스쿨}}}}}}]]''' '''{{{#white {{{+2 공간혁신 우수사례학교}}}[br]GREENSMARTSCHOOL EXCEPTIONAL}}}''' || || [[파일:bi1.png|width=250]] || [[분류:문재인 정부/2020년]][[분류:대한민국의 교육]][[분류:교육 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