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린속]] ||<-2> '''{{{#white {{{+1 그물무늬기린}}}[br]Reticulated Giraff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irafe_réticulée_1.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Giraffa reticulata'' '''[br]De Winton, 1899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s-3.2|{{{#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s-3.3|{{{#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s-3.4|{{{#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s-3.5|{{{#000 '''목'''}}}]] ||[[경우제류|경우제목]](Cetartiodactyla) || || [[생물 분류 단계#s-3.6|{{{#000 '''과'''}}}]] ||기린과(Giraffidae) || || [[생물 분류 단계#s-3.8|{{{#000 '''속'''}}}]] ||[[기린|기린속]](Giraffa) || || [[생물 분류 단계#s-3.9|{{{#000 '''종'''}}}]] ||'''그물무늬기린(''G. reticulata'')''' || ||<-2> '''{{{#000 멸종위기등급}}}''' || ||<-2> [[파일:멸종위기등급_위기.svg|width=240px]]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어]]''' || 그물무늬기린 || || '''[[영어]]''' || Reticulated Giraffe || || '''[[중국어]]''' || 网纹长颈鹿 || || '''[[일본어]]''' || アミメキリン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wo_Giraffes.pn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1수명:약20-30년 2분포:아프리카동남부 3사는곳:초원지대 4생식:1마리출산 5먹는것:초식성 6목명:우제목 7과명:기린과 8천적:사자 ==국내보유현황== 서울대공원에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그물무늬기린만을 사육중이며 2024년기준 현재 한마리밖에없다 == 설명 == 기린의 아종 중 가장 작으며 키는 수컷 3.66∼4.57m, 암컷 4.27m, 몸무게는 수컷 770∼1903kg, 암컷 544∼1133kg이다. 다리는 길고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약간 더 길다. 말 그대로 무늬가 그물무늬고 몸은 흰색의 좁은 테두리로 둘러싸인 다각형이 온몸을 덮고 있다. 이 다각형은 황갈색에서 짙은 갈색을 띠며 마치 그물을 보는 듯하다. 자랄수록 몸빛깔은 더 짙어진다. 수컷 1마리와 2~3마리의 암컷 또는 새끼로 구성된 소집단 생활을 하며, 혀가 길어서(약 45cm) 나뭇가지를 휘어잡아 잎을 따먹는다. 물을 잘 안 마시는 편으로 약 1개월 간 물을 먹지 않아도 견딘다. 후각과 청각이 뛰어나며 위험이 닥치면 시속 48km로 달릴 수 있다. 4개의 위를 가진 반추동물로 음식물을 되새김질한다. 다 자란 기린의 천적은 [[사자]]무리, [[나일악어]] 뿐이다. 그러나 발로차는 힘이 매우 세서 사자 같은 천적이 나타면 발로 방어를 한다. 다만 아기기린의 천적에는 [[치타]], [[아프리카표범|표범]], [[하이에나]], [[아프리카들개]]도 포함된다. 동물원에서 보유하는 [[기린]]은 대부분은 이 종이라고 하는데, 동물원에서 '''그물무늬기린'''이라 칭하는 기린은 사실 마사이기린 및 북부기린과의 [[잡종]]이 많으며, 우리나라의 [[에버랜드]]에선 해마다 교잡기린이 태어난다 해도 될 만큼[* 에버랜드 기린의 무늬를 자세히 보면 마사이기린의 무늬가 섞인 개체가 많다.] 교잡기린 번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점은 미국이나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등 해외의 동물원도 마찬가지인지라 [[순종]] 기린 보유동물원은 필리핀 칼라윗 사파리의 개체가 대표적이다. 2023년 9월, 미국 [[테네시]] 주의 한 동물원에서 그물무늬가 아예 '''[[https://www.npr.org/2023/08/22/1195279578/spotless-giraffe-born-tennessee-zoo|없는]]''' 기린이 태어나 화제가 되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