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파일:Gwarp.jpg|width=290]] || || 플랫폼 ||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 || 제작자 || Sinkhole Studio(싱크홀 스튜디오) || || 배급사 || Sinkhole Studio || || 장르 || [[어드벤처 게임]] || || 공식 사이트 || [[http://www.sinkholestudio.com/|공식 홈페이지]][br][[https://www.facebook.com/sinkholestudio|페이스북]] || || 스토어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SinkHole.Gwarp|구글 플레이 링크]] || == 개요 == Sinkhole Studio에서 개발한 모바일 [[골프]] 어드벤처 게임. 우주에 격리된 주인공이 골프채를 사용하여 공을 이동하고, [[언리얼 시리즈]]의 트랜스로케이터처럼 골프공이 멈추는 곳으로 순간이동을 하면서 몬스터와 장애물을 피해 우주선으로 돌아가는 게임이다. 중간중간 몬스터와의 보스전도 있으며 당연히 산소라는 턴 또는 시간 제한이 있기 때문에 연구를 잘 해야 한다. 8월에 클로즈 베타를 실시하였으며, [[부산 인디 커넥트 페스티벌]] 2017 출품작이다. 트레일러 영상에 따르면 [[앨런 셰퍼드]]에서 모티브를 따온 듯. [youtube(Aezx00qXubM,width=640,height=360)] == 특징 == 일반적인 골프 스포츠 게임과는 다르게 장애물 돌파와 플랫폼 간 이동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골프식의 파워 차지 메커닉이 익숙하지 않은 유저에게는 어려울 수 있다. 더불어 맵 곳곳에는 유저와 가까워지면 공격하는 [[몬스터]]들이 존재하며 이를 골프와 같은 방식으로 공격하거나 회피하며 대응해야한다. == 상세 == === 스테이지 === 그워프는 총 4개의 섹터로 이루어져있으며 한 섹터에는 8~10개의 스테이지가 존재한다. 섹터 마지막의 보스전을 클리어하면 다음 섹터로 넘어갈 수 있다. || 이름 || 설명 || 보스 || 특징 || || 트로페아 || 섹터1. 열대 지방 컨셉 || 버스터 벙커 || 튜토리얼과 기본적인 퍼즐 맵들이 존재한다. || || 아이모레즈 || 섹터2. 고산지대 컨셉 || 올림푸스 || 이 섹터부터 챌린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 더트랜드 || 섹터3. 황폐화된 행성 컨셉 || 내핵 || 보스전에서 보스를 직접 타격하는 것이 아닌, 보스에게 데미지가 가해지는 구슬을 먹는 식으로 전투가 이루어진다. || || 스타디움 || 섹터4. 그워프 공식 경기장 컨셉 || 챔피언 || 맵들의 구조가 복합적이며, AI 캐릭터와 땅따먹기 식으로 보스전이 이루어진다. || === 클럽 === 그워프를 진행하는데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골프 클럽을 생각하면 된다. 그워프 클럽은 4개의 제조사로 분류되어 있으며 각각 특화된 능력치나 스킬이 다르다. 기본으로 드라이버와 아이언을 하나씩 받을 수 있으며, 튜토리얼이 끝나면 랜덤 제조사의 클럽 하나를 살 수 있는 재화를 지급한다. 자세한 것은 [[그워프/클럽]]문서를 참조. === 부품 === 메인화면의 '연구실'에서 이루어지는 일종의 강화 형태로, 각 [[클럽]]마다 뚫린 소캣의 갯수만큼 부품을 부착할 수 있다. 부품 장착 방식은 [[하스스톤]]의 [[투기장]]을 생각하면 되는데, 빈 소캣을 클릭하면 3개의 부품이 랜덤하게 등장하고, [[광고]] 보기나 500골드를 이용해 이 목록을 새로고침할 수 있다. 부품을 빼는 것은 무료. 10월 26일 전투 시스템 개편으로 부품 시스템에 변화가 있었다. 지금까지는 소켓에 부품을 장착하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서 부품을 파괴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제는 모든 클럽에 8개의 빈 슬롯이 있고, 클럽마다의 가용량만큼 소켓을 활성화시켜 장착된 부품의 성능을 클럽에 반영하는 것. 클럽마다의 활성화 가능 수는 이전의 소캣 수와 같다. 더불어 이제부터는 몬스터가 몬스터 부품을 드랍하기 시작하면서, 각 클럽마다 최대 하나의 마스터 부품과 적 부품(에너미 부품)을 활성화할 수 있게 되었다. 자세한 항목은 [[그워프/부품]] 문서 참고. === 몬스터 === 대부분의 몬스터의 이름은 [[태양계]] 행성의 [[위성]] 이름으로 되어있다. || 이름 || 첫 등장 맵 || 공격력 || 체력 || 특징 || || '''[[칼리스토]]''' || 칼리스토 둥지 || || || 그워프에서 가장 처음 볼 수 있는 몬스터. 플레이어에게 돌 모양의 투사체를 날린다. 이름은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인 [[칼리스토]] || || '''[[유로파]]''' || 스카이 라운지 || || || 플레이어의 양쪽 방향으로 얼음 구체를 던진다. 시간차가 있기 때문에 워프 회피로 피할 수 있다. 이름은 칼리스토와 마찬가지로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위성)]]. || || '''[[부메랑]]''' [[가니메데]] || 부메랑 || || || 기존의 [[가니메데]]가 삭제되고 10.26 업데이트에 부메랑 가니메데라는 이름의 몬스터가 새로 추가되었다. 먼저 플레이어의 방향으로 [[부메랑]]을 던진 뒤 반대편 방향으로 되돌아온다. 타이밍에 맞춰 워프 회피하는 것이 까다로운 편. || || '''[[포이베]]''' || 수문장 || || || 10.26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방패와 [[랜스]]를 사용하는 몬스터. 플레이어의 방향으로 랜스를 확장시켜 찌르며, 방패로 자신을 막아 공을 [[OB]] 시키는 패턴을 이용한다. 이름은 토성의 위성 [[포에베]]에서 따왔다. || || '''버스터 벙커''' || 버스터 벙커 || || || 섹터1의 보스급 몬스터. 양팔과 몸통이 서로 다른 체력 게이지를 달고 있다. 오른팔은 공중으로 포탄을 발사해 플레이어에게 날리며, 왼팔은 플레이어를 향해 직격으로 쏜다. 두 팔이 모두 떨어지면 몸통의 안테나를 이용해 전기를 발사한다. || || '''스페일''' || 스페일 둥지 || || || [[달팽이]] 형태의 몬스터. 처음으로 등장하는 이동하는 몬스터이며, 올라서고 있는 지형에 [[독극물]] 구덩이가 많기 때문에 처치하기 까다로울 수 있다. || || '''[[타이탄]]''' || 타이탄 || || || 10.26 업데이트로 추가된 몬스터. 플레이어의 회전 이동을 막는 돌 기둥을 소환하고 돌덩이 투사체를 날린다. 이름은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위성)]]에서 따왔다. || || '''[[히말리아]]''' || [[트랙킹]] || || || 10.26 업데이트로 추가된 몬스터. 산소 호흡기를 달고 있는 나무 형태로 생겼으며, 땅에 맞으면 독가스를 형성하는 투사체를 날린다. 이름은 [[목성]]의 불규칙위성 [[히말리아]]에서 따왔다. || || '''[[헬리]]''' || 바람길 || || || 작은 돌 형태로 생긴 몬스터. 등에 산소 보충 아이템이나 퍼즐을 달고 있으며 사망시 필드에 이를 소환한다. 10.26 업데이트로 일시적으로 플레이어의 공격이 통하지 않는 패턴이 추가됐다. || || '''[[올림푸스]]''' || 올림푸스 || || || 섹터2의 보스 몬스터. 필드 곳곳으로 구르는 돌이나 투사체를 분화구로 내뿜는다. 10.26 업데이트로 필드 전역으로 불을 뿜는 공격이 추가되었다. || || '''우주늘보''' || 잠꾸러기 || || || 필드의 한 곳에서 졸고 있는 [[나무늘보]]를 닮은 몬스터. 데미지를 입으면 주기적으로 회복한다. 주로 코스의 진행방향을 막는 역할을 한다. || || '''로스코스봇''' || 연구소 || || || 10.26 업데이트로 추가된 몬스터. 주기적으로 체력을 회복하며, 체력이 모두 차면 플레이어가 죽을 때 까지 미사일을 발사한다. || || '''낙사봇''' || 로봇 || || || '로봇' 코스의 끝에 위치한 준보스 몬스터. 버스터벙커의 몸통 공격과 같은 에너지 빔을 플레이어에게 쏜다. || || '''이너 코어''' || 내핵 || || || 섹터3의 보스 몬스터. 직접 공격할 수 없으며 필드 곳곳에 위치한 붉은 구체를 획득 시 데미지를 입는다. 기본 공격은 투사체와 면적 독구름 공격이며, 체력이 반 정도 닳고 나면 플레이어 주변에 공 진행을 방해하는 벽을 세운다. || || '''[[챔피언]]''' || || || || 섹터4의 마지막 몬스터. 직접 때릴 수 없으며 플레이어와 함께 주기적으로 필드 데미지를 입는다. 이 때 스테이지 곳곳의 발판에 공을 올려 점유하면 상대에게 주는 데미지를 높일 수 있다. || === 그워프 리그 === >온 우주의 그워프 선수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매일 무작위로 결정되는 3개의 맵을 플레이하고 서로의 실력을 겨뤄보세요! 일종의 스코어 비교 멀티플레이. 섹터1에서 섹터4까지의 스테이지 중 3개가 12시간 마다 정해지며, 이를 연속으로 플레이해 남은 산소점수를 합산해 비교 경쟁한다. 티어는 아마추어-세미프로-프로-챔피언-마스터로 총 5개 티어이며, 티어 내에서 순서대로 입장한 6명의 유저와 경쟁하게 된다. 산소 스코어가 같을 경우 소요 시간이 더 적은 유저가 높은 등수를 차지한다. === 챌린지 === 챌린지는 섹터1 보스를 클리어한 후 섹터2에 돌입했을 때부터 사용가능한 시스템이다. 우측 하단에 NPC 캐릭터 머리가 버튼으로 등장하는데, 이를 누르면 한 번이라도 클리어한 스테이지를 다른 조건과 퍼즐로 플레이할 수 있다. || NPC 이름 || 챌린지 종류 || || 프로고 || 그워프 촬영을 즐기는 유튜버같은 존재. 맵에 추가 퍼즐이 생기거나 존재하던 플랫폼이 사라진 형태로 등장한다. || || 바르막 || 그워프 코스 관리인. 원래 존재하지 않던 몬스터가 맵에 등장하거나, 몬스터를 반드시 잡아야하는 조건으로 스테이지가 등장한다. || || 파티아 || 그워프 협회 주무관. 홀인원이 가능한 맵에서 홀인원 미션을 주거나, 계속해서 산소가 사라지는 가방을 멘 채로 플레이 하게된다. || === 도전과제 === 도전과제는 각각 그워프, 전투, 퀘스트, 기타, 히든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도전과제 트로피를 획득할 때마다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경험치 게이지가 오른다. === 캐릭터 === || 이름 || 가격 || 설명 || || 더모7 || 무료 || 기본으로 주어지는 캐릭터. 실험실에서 탈출한 생명체다. || || 핫존 || 한화 5500원 || 핫도그 모양의 캐릭터. 푸트럭 출신의 청년이라고 한다. 가방 효과는 공격력+5, 스킬산소+1 || || 제인 || 한화 5500원 || 여성 지구인 캐릭터. 가방 효과는 스킬공격력+5, 사거리-5 || || 마이키스 || 한화 5500원 || 주방장 출신의 생선 캐릭터. 가방 효과는 사거리+7, 스킬공격력-5 || || 세흐 || 한화 5500원 || 흑인 남성 캐릭터. 가방 효과는 스킬산소-2, 공격력-5 || || 타베이 || 한화 5500원 || 그워프 협회의 여성 캐릭터. 가방 효과는 방어력+2, 스킬산소+1 || === 과금요소 === || 이름 || 가격 || 효과 || || 골드 구입 || 한화 1100~55000 || 게임 내 골드 재화를 금액 별로 구입할 수 있다. || || 맴버쉽 || 한화 5500~11000 || 게임 내 골드 및 클럽 제조사 재화를 30일 동안 매일 수령한다. || || 캐릭터 오리지널 || 한화 22000 || 모든 캐릭터를 구매한다. 할인율은 20% || || 클럽 제조사 오리지널 || 한화 5500 || 각각 루트랜드, 아스트로 투어리스트, 핀폰, 홀로스사의 클럽을 모두 구매하는 묶음 상품. || || 추가 구역 || 미정 || 현재 오리지널 섹터1~4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신규 구역을 판매하는 상품 || === 팬더 === 일정 시간마다 메인화면 좌측 하단에 등장하는 팬더 형상의 캐릭터. 플레이어의 팬이라고 하며 각종 팁을 말해주고 [[골드]] 선물을 주거나 부품 장착 기회를 준다. 팬더가 제안하는 부품은 클럽의 제조사와 관계없이 바로 장착할 수 있다. 제한시간 10분이 지나면 해당 기회가 사라진다. [[분류:골프 게임]][[분류:어드벤처 게임]][[분류:2017년 Android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