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극기상목}}}(극조어류)[br]棘鰭上目, 棘條魚類 | Acanthopterygi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서양청어.pn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Acanthopterygii'' '''[br]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상목'''}}}]] ||'''극기상목(''Acanthopterygii'')'''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기어류의 한 분류군. == 상세 == 전체 어류의 절반 이상이 극기상목에 속한다.[* 전체 현생 어류의 종 수는 대략 30000종 정도로 추정되고, 이 중 무악류가 110여종, 연골어류가 1100여종, 사지상강을 제외한 육기어류가 8종, 조기어류가 26000여종인데, 이 중 14000종 정도가 극기상목이다.] 이 어류들은 비교적 최근에 출현하였음과 동시에 가장 [[진화]]된 어류다. 극기상목의 어류는 [[지느러미]]에 가시가 있어서 극조어류라고도 부른다. 이들은 빠르게 이동할 수 있으며 앞으로 돌출된 위턱을 가진다. 대부분 즐린을 가지고 있으며, [[비늘]]이 사라지거나 더 단단한 판으로 분화한 종도 있다. 전 세계의 널리 퍼져 있으며, 어류 중에서 분포지가 가장 넓어서, 민물, 기수역, 바다 표층은 물론 [[심해]], 심지어는 물 밖 등 어떤 물속 환경에서도 발견된다. 뛰어난 번식력, 생활 습성, 적응된 체형의 특징 때문에 다양한 생태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몸의 형태학적 구조와 행동습성이 얼음이 어는 바다나 메마른 호수에서도 살 수 있도록 적응되었다. == 적응 능력 == 극기상목에게서는 일반적인 어류의 몸의 크기와 형태를 모두 볼 수 있다. 극기상목의 종류는 10000종이 한참 넘는 만큼 딱 이렇다라고 정의할 수는 없지만 대표적으로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물고기는 위아래가 대칭이지만 [[넙치]]류는 몸이 납작해서 위아래가 다르고, 놀래기류와 파랑비늘돔류는 인두가 진화한 제2의 턱이 발달되어 특이한 방법으로 먹이를 먹는다. '씨프린오돈티목'에는 [[구피]]류, [[소드테일]]류와 같이 관상용으로 키우는 종이 많다. 실버사이드류는 큰 떼를 이루고 살며, [[날치]]류는 물 밖으로 날 수 있도록 특이하게 분화했다. [[망둑어]]류는 대부분 작으며, 양쪽 배지느러미가 붙어서 컵 모양의 원반처럼 생겼다. 물과 땅 위에 사는 말뚝망둥어도 이에 속한다. 쥐치복어류나 그 유연종들은 비늘이 몸을 보호하는 단단한 [[갑옷]]처럼 분화했다. 클라운피쉬를 포함한 자리돔류는 다른 물고기들의 수컷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자신의 세력권을 지키는 습성이 있다. == 종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극기상목 생물 목록)] [[분류:극기상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