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라에몽 극장판)] ||<-2>
'''{{{+2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구름왕국}}}''' (1992) [br]{{{-1 ''Doraemon: Nobita and the Kingdom of Clouds''}}}[br]''ドラえもん のび太と雲の王国''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비타와 구름의 왕국.jpg|width=100%]]}}} || ||<-2><^|1>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개봉 당시 포스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dn-ak.f.st-hatena.com/20120410141628.jpg|width=100%]]}}} [br][* 동시개봉작은 [[21에몬]].] ||}}}}}}}}}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min-width: 256px" ||<-5>
'''[[도라에몽/극장판|도라에몽 극장판]] 시리즈''' ||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도라비안 나이트]] || →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구름왕국''' || →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양철인형]] ||}}} || ||<-2> || || '''장르''' ||[[애니메이션]], [[모험]] || || '''제작 총지휘''' ||<|3>[[후지코 F. 후지오]] || || '''원작''' || || '''각본''' || || '''감독''' ||[[시바야마 츠토무]] || || '''연출''' ||츠카다 쇼에이(塚田庄英)[br]히라이 미네타로(平井峰太郎) || || '''감수''' ||쿠스베 다이키치로(楠部大吉郎) || || '''작화감독''' ||토미나가 사다요시(富永貞義)[br][[와타나베 아유무]] || || '''미술설정''' ||카와모토 쇼헤이(川本征平) || || '''미술감독''' ||누마이 노부로(沼井信朗) || || '''촬영감독''' ||타카하시 히데코(高橋秀子) || || '''특수촬영''' ||와타나베 유리오(渡辺由利夫) || || '''효과''' ||카시와바라 미츠루(柏原満) || || '''특수효과''' ||도이 미치아키(土井通明) || || '''편집''' ||이노우에 카즈오(井上和夫)[br]와타세 유코(渡瀬祐子) [br]사다 타다히토(佐多忠仁) || || '''녹음감독''' ||우라카미 야스오(浦上靖夫) || || '''색채 디자인''' ||노나카 사치코(野中幸子) || || '''음악''' ||[[키쿠치 슌스케]] || || '''프로듀서''' ||벳시 소이치(別紙壮一)[br]야마다 토시히데(山田俊秀)[br]코이즈미 요시아키(小泉美明) || || '''제작 협력''' ||[[후지코 프로]][br][[ADK|ASATSU]] || || '''제작''' ||[[쇼가쿠칸]][br][[신에이 동화]][br][[테레비 아사히]] || ||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호]] || ||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992년]] [[3월 7일]]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12월 25일]] {{{-2 (TV 방영)}}}[* 2020년 9월 1일에 먼저 VOD로 출시되었고, 이후 2020년 12월 25일에 대원방송을 통해 방송되었다.] || || '''상영 시간''' ||97분 || || '''흥행 성적''' ||28.6억 엔 || || '''국내 스트리밍''' ||[[TVING]] [[https://www.tving.com/contents/M000370971|▶]]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DC835,#ffffff 상영등급}}}]]'''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000000,#dddddd 전체 관람가}}}]]''' {{{-2 (TVING)}}}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라에몽]]의 13번째 극장판이자 12번째 대장편. 정발명은 진구와 구름왕국. 감독 [[시바야마 츠토무]]. 애니메이션북으로도 발매되어 있다. 하늘에 사는 사람들과 극장판 11편의 동물혹성편에서처럼 환경오염을 소재로 했으며 본편의 환경관련 에피소드에서 등장한 캐릭터들이 재등장한다. 포스터 이미지만 보면 어린이용 같으나 환경보호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해 동물혹성 이상으로 충격적인 연출을 많이 쓴 무거운 내용의 작품이다. 극장에서 보고 우는 아이가 있었을 정도. 그럼에도 환경보호에 대한 메세지가 확고하고 스토리는 뛰어나서 명작으로 꼽힌다. 또한 원작자 [[후지코 F. 후지오]]가 마지막 2화 분량을 앞두고 병원에 실려갔으나 원래 스토리 기획안이 남아있어 애니메이션은 무사 제작되었고 만화는 2년 뒤 뒷 부분을 추가해 출시되었다. 원래는 결말이 달랐으나 작가는 애니메이션의 결말이 마음에 든다며 애니메이션을 기준으로 완결하였고[* 스토리가 크게 다른 건 아니지만 도라에몽의 특공과 이후 회복 전개가 없었다고 한다.] 시바야마 츠토무는 영광이란 말을 남겼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3QCkTxW_ZNY, width=100%)]}}} || || '''{{{#FDC835,#ffffff 예고편}}}''' || == 스토리 == > 진구와 도라에몽은 진구의 "하늘에 사람이 사는가?"라는 궁금증을 계기로 구름의 왕국을 만들기로 한다. 그러나 자금 부족으로 쉽지 않아 많은 시간을 소요할 판. 그러다 어른들의 대화를 들은 진구가 아이디어를 내고, 결국 왕국의 건설에 성공한다. 그러나 하늘에는 구름의 왕국만 있는 것이 아니었는데….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파루파루(パルパル)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도라에몽_파루파루_미착용 1992.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도라에몽_파루파루_착용 1992.png|width=100%]]}}} || || 가면 미착용 || 가면 착용 || 성우는 [[이토 미키]] / [[김윤채]]. 더빙판 이름은 파르파르. 하늘에 사는 천상인. 멸종동물 보호구역의 여성 관리관. 진구 일행이 최초로 조우한 천상인이기도 하다. 처음에는 지상인들을 경계했지만 이후 도라에몽 일행들과 행동하면서 지상인들은 모두 나쁜 사람들만 있는 게 아니라고 생각하게 된다.[* 천상인들이 선민사상에 빠져 지상인들에게 일방적인 공격을 시도한 것으로 오해할 수도 있는데, 사실 천상인과 지상인의 갈등은 지상인이 그 원인을 먼저 제공한 것이 맞다. 환경 오염으로 천상인들의 거주지에까지 악역향을 미치면서 생존에까지 위협을 주었기 때문. 결국 천상인들은 나중에 고향을 등지고 다른 별로 이주해야 했다. 그러나 그렇다고는 해도 [[답정너]]에 가까운 행태를 보이며 고압적인 자세를 유지했던 작중 천상인들의 행태 역시 옹호받기 힘든 것도 사실이다.] * 그리오(グリオ)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도라에몽_그리오 1992.png|width=100%]]}}} || 성우는 [[무라야마 아키라]] / [[장서화]]. 천상인 중 한 명으로 가면을 써서 본 모습은 알 수 없다[* 작품이 끝날 때까지 가면을 절대 벗지 않는다.]. 지상인에 대한 생각은 별로다. * 대통령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도라에몽_구름왕국_대통령 1992.png|width=100%]]}}} || 성우는 [[야라 유사쿠]] / [[최현수]]. 천상인들의 지도자로, 노아 계획을 총지휘하는 입장이다. 식물 별의 대사를 영접하기도 했다. * 타갈 (タガロ)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도라에몽_타갈&가족들 1992.png|width=100%]]}}} || || 왼쪽부터 타갈, 아버지, 할아버지 || 성우는 [[타카노 우라라]] / [[비주언]]. 더빙판 이름은 다가로. 할아버지,[* 성우는 [[마츠오카 후미오]] / [[정의택]].] 아버지[* 성우는 [[이케미즈 미치히로]] / [[임채빈]].] 이렇게 3대가 어획 중에 배가 난파해서 무인도에 표류해 살던 중 노아 계획의 실험에 휘말려 천상인들에 의해 구조된 소년. 그 때문에 천상인을 구세주라고 믿고 지상에서의 삶의 미련을 버린 할아버지와 달리 천상인에게 강한 불신감을 안고 있다. 지상에 남아 있는 어머니를 만나기 위해 친해진 글립토돈과 함께 천상 세계 탈출을 시도한다. 그런데 하필 탈출 지역이 설산이었던지라 동사할 위기에 처했다가 진구 일행에게 구조되어 구름왕국으로 옮겨지는데, 끼워진 반지가 발신기라서 다시 잡히게 된다. 그 후 소인족 호이의 인도를 받던 진구, 고장난 도라에몽과 만나 이들을 거대한 새들의 서식지로 인도해주고 자신은 남게 된다. * 호이 (ホ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도라에몽_호이 1992.png|width=100%]]}}} || 성우는 [[마츠오 요시코]][* [[엄마찾아 삼만리]]의 주인공 마르코 롯시 역할로 유명한 성우이다. 참고로 이 작품의 주인공 [[노진구]] 역할을 맡은 성우 [[오하라 노리코]]는 이 작품에서 마르코의 이웃인 콘체타 펩피노 역할로 출연했다.] / [[김예림(성우)|김예림]]. 원작 코믹스 35권에 등장한 소인족 소년. 도라에몽과 진구의 도움으로 옮겨 간 아마존 오지도 고속도로와 발전소가 들어서는 등 기어이 개발되어 천상인에 의해 천상 세계의 멸종 동물 보호 지역으로 이주했다. 나중에 노아 계획을 저지하기 위해 도라에몽 일행을 옹호하는 발언을 펼쳤다. 참고로 이름은 동요 "숲의 소인"의 가사에서 따왔다. 처음 나온 애니메이션 에피소드[* 구 도라에몽 스페셜 2기 <소인족 호이>, 일본에서 1984년 8월 10일 방영. ]에서도 이 노래가 나왔다. * 키보(キー坊) / 나무돌이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도라에몽_키보 1992.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도라에몽_키보_성장_전 1992.png|width=100%]]}}} || || 성장 후 || 꼬마 시절[* 애니메이션 장면을 그대로 사용했다.] || 성우는 [[마루야마 에이지]] / [[이주승(성우)|이주승]]. 원작 코믹스 33권에 수록된 에피소드에서 등장한 나무 인간. 나중에 신도라 극장판으로 만들어진 [[진구와 초록거인전]]에서는 주역이자 아직 작았던 꼬마 시절로 등장한다.[* 원래 키보 이야기는 극장판 버전이 없었지만, 신 극장판에서는 그걸 만들어 낸 것. 즉, 구 극장판에 속하는 구름의 왕국과 초록거인전이 같은 세계인 것은 아니다.] 주택지 개발 예정지에 있던 작은 묘목이었지만 진구가 구조해 도라에몽의 도구인 식물 자동화액으로 지성과 활동능력을 얻어 나무 인간이 되었다. 그와 비슷하게 지성을 가진 식물들로 이루어진 식물 별에서 지구인들이 식물을 괴롭힌다고 판단하고 지구를 공격하려 했으나, 나무돌이가 설득하여 중지되고 식물 별로 유학을 갔다. 이 극장판에서는 아이에서 훌륭한 어른으로 성장하여[* 하지만 진구는 전혀 성장하지 않았다. 아무래도 별과 별 사이의 시간 차이, 또는 [[상대성 이론]].], 식물 별의 대사로서 지구에 파견되어 천상인의 노아 계획을 검토하는 역할을 맡고 있었다. 천상 세계를 파괴하려던 밀렵꾼들을 막으려 몸을 던져 의식불명이 된 도라에몽을 치료해 주고, 진구의 수많은 활약들을 예로 들며 지상인을 변호하는 데 앞장선다. 또 이 작품에서는 [[진구와 기적의 섬: 애니멀 어드벤처|진구가 이전에 구해준 멸종 동물들]]도 등장한다. * '''밀렵꾼들(密猟者)'''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도라에몽_밀렵꾼들 1992.png|width=100%]]}}} || 성우는 [[코바야시 키요시]](리더), [[시마카 유]], [[야마자키 타쿠미]] / [[장서화]], [[이주승(성우)|이주승]], [[임채빈]], [[정의택]]. 아프리카 케냐에서 코끼리를 밀렵하다가 천상 세계로 빨려들어온 지상인 4명으로, 이 작품의 메인 [[빌런]]. 모두 선글라스를 하고 있다. 진구 무리가 방심하고 있는 사이에 허를 찔러 왕관을 뺏고 구름 왕국을 점령하지만, 멸종 동물을 손에 넣으려고 원래 구름 가스 대포로 천상 연방의 에너지주를 시범타로 날려버리는 만행을 저지르다가[* 만화판에서는 멸종 동물들을 넘기라는 협박 및 본보기로 에너지주를 날려버렸다. 극장판은 원한 때문.] 도라에몽이 목숨을 걸고 구름 탱크를 기폭시켜 왕국이 붕괴되어 결국 천상인들에게 체포되어 재판에 다시 회부됐다. 마지막 장면에서 비로소 자신들의 행동을 후회하는 표정을 보이기는 했다. 참고로 리더의 목소리를 담당한 코바야시 키요시는 이 작품의 예고편 내레이션도 담당했다. * 천상인의 대표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도라에몽_천상인_대표 1992.png|width=100%]]}}} || 노아 계획 검토 회의에서 천상인 대표를 담당하고 있다. 지상인들의 무자비한 환경 파괴를 고발하고 노아 계획의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한다. == 설정 == * 천상인(天上人) 천상연방의 사람들. 구름 위에서 살고, 지상보다 뛰어난 과학기술을 보유한 것 빼면 지상인과 같다.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노아계획이란 것을 진행시키려 한다. * 천상 연방 12개의 주로 이뤄져 있으며, 지구 하늘의 한 면에 연결되어 진짜 구름 속에 섞여 있다. 그 때문에 지상인이 찾을 수가 없다. 어떻게 만들어졌는진 신화만 있고 불명. * 노아 계획 환경오염 탓에 천상인들이 세운 계획. 노아의 대홍수처럼 엄청난 양의 비를 내리게 해서 대홍수를 일으켜 지상을 쓸어버린다는 계획이다.[* 유래는 당연히 성경 창세기의 노아의 대홍수] 지상의 사람들은 대피시키겠다고 했으나[* 물론 문명은 석기 시대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그렇다 해도 사실 생각해보면 다같이 죽자는 것. 지상에는 핵 발전소나 핵무기 등 까딱 잘못하면 지구를 말아먹을 위험요소들이 있다. 그런데 대홍수를 일으켰다고 쳐보자. 그 시설이 타격을 받을 것은 물론이요, 관리하는 사람들과 위기 발생시에 대처할 사람들도 없다.[* 예로 [[러시아]]의 경우엔 국가 위급 상황일 때 일단 핵 미사일을 쏘는 자동 시스템이 있다.] 천상인들의 발언을 통해 작중에 핵무기가 언급된 걸 보면 모르는 것은 아니나 성급한 판단이었다고 보인다. 거기에다 지상인들을 죽이지는 않는 대신 문명을 모조리 날려버린다면 그 후 지상에는 당연히 [[포스트 아포칼립스]]가 펼쳐진다. 그로 인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죽을 지 생각하면 그야말로 대학살 계획을 짠 것이나 다를 바 없다. == 주제가 == ||<-2>
'''{{{#FDC835,#ffffff OP[br]ドラえもんのうた[br]도라에몽의 노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X2ABf-id5c, width=100%, start=18s)]}}} || ||<-2> '''{{{#FDC835,#ffffff Movie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xgYFKERwl0, width=100%)]}}} || ||<-2> '''{{{#FDC835,#ffffff Full ver.}}}''' || || '''노래'''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야마노 사토코]][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오오야마 노부요]]^^([[도라에몽]])^^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현하]][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서영(성우)|김서영]]^^([[도라에몽]])^^ || || '''작사''' || 쿠스베 타쿠미(楠部工)[br]바바 스스무(ばばすすむ) {{{-2 (보조)}}} || || '''작곡''' ||<|2> [[키쿠치 슌스케]] || || '''편곡''' || ||<-2>
'''{{{#FDC835,#ffffff ED[br]雲がゆくのは…[br]구름이 가는 것은…}}}'''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kOgatCIQ3s, width=100%)]}}} || ||<-2> '''{{{#FDC835,#ffffff Movie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9kgjVjn8yEo, width=100%)]}}} || ||<-2> '''{{{#FDC835,#ffffff Full ver.}}}''' || || '''노래''' ||<|2> [[타케다 테츠야]] || || '''작사''' || || '''작곡''' || 후카노 요시카즈(深野義和) || || '''편곡''' || 야마나카 키쇼(山中紀昌) || == 기타 == * 진구가 구름왕국을 만들었을 때, 진구는 왕국 주식회사를 만들자고 제안하는데, 여기서 진구는 [[주식회사]]처럼 주식을 구입한 수 만큼 투표권을 가지는 체계를 의도한 것으로 묘사된다. 말하자면 주식회사의 [[주주총회]]에 가까운 체계라 할 수 있는데, 의외로 이것은 픽션에 묘사된 [[기업국가]]들 중에서 '''가장 구체적으로 제안된 체계''' 중 하나이다. * 2019년에 애니메이션 40주년 기념으로 일본의 방송국 [[WOWOW]]에서 디지털 리마스터링 버전을 방송하여 무척 좋아진 화질로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 국내에서는 2020년 5월에 챔프 애니원에서 방송될 가능성이 있었으나 대신 [[진구의 도라비안 나이트]]가 방영되었다. 예정대로 2020년 방영되었다면 [[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현실과 내용이 겹쳐]] 큰 화제가 되었을 수 있다. * 이 작품의 전작 격인 단편 에피소드는 훗날 [[진구와 초록거인전]]과 [[진구와 기적의 섬: 애니멀 어드벤처|진구의 기적의 섬]]이라는 극장판으로 리메이크 되었다. '''하지만 본작인 구름의 왕국과는 정반대로 이 두 작품은 최악의 망작으로 평가받으며,''' 기적의 섬은 설정이 많이 바뀌어 안 봐도 좋으나 초록거인전은 기적의 섬보다는 나으니 봐두면 좋다. * 팬들 사이에선 리메이크가 됐으면 하는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분류:도라에몽/극장판|진구와 구름왕국]][[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1992년 애니메이션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