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라에몽 극장판)] ||<-2>
{{{#000000 '''{{{+2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해저성}}}''' (1983)[br]''Doraemon: Nobita and the Castle of the Undersea Devil''[br]''ドラえもん のび太の海底鬼岩城''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비타의 해저귀암성.jpg|width=100%]]}}} || ||<-2>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min-width: 256px" ||<-3>
'''[[도라에몽/극장판|도라에몽 극장판]] 시리즈''' ||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해저성''' || →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마계체험]] ||}}} || ||<-2> || || '''장르''' ||[[애니메이션]], [[모험]] || || '''감독''' ||[[시바야마 츠토무]] || || '''각본''' ||[[후지코 F. 후지오]] || || '''원작''' ||[[후지코 F. 후지오]] || || '''프로듀서''' ||칸노 데쓰오(楠部三吉郎)[br]벳시 소이치(別紙壮一) || || '''레이아웃''' ||[[시바야마 츠토무]] || || '''촬영감독''' ||[[다이치 아키타로]] || || '''특수효과''' ||도이 미치아키 || || '''편집''' ||오마르 칸세다 || || '''음악''' ||[[키쿠치 슌스케]] || || '''음악 협력''' ||[[일본 컬럼비아|일본 컬럼비아 레코드]] [br][[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쇼가쿠칸 프로덕션]] || || '''음악 감독''' ||우라가미 야스오 || || '''제작 담당''' ||사쿠마 하루오(佐久間晴夫) || || '''제작 협력''' ||[[ADK|아사히 통신사]][br][[테레비 아사히]] || || '''제작''' ||[[쇼가쿠칸]][br][[신에이 동화]] || ||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호]] || ||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983년]] [[3월 12일]]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86년]] [[5월 12일]] || || '''일본 박스오피스''' ||17억 엔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등급}}}]]''' ||미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라에몽]]의 4번째 극장판이자 대장편. 장편 시리즈 정발명은 진구의 해저성. 본 작품부터 [[시바야마 츠토무]]가 도라에몽 구 극장판 시리즈의 감독을 맡게된다. [[레이아웃]] 수준의 콘티를 전부 그려가며 작품 전체를 캐리하였다. 완성도가 높아 도라에몽 팬 사이에서 명작으로 통하지만 흥행에서는 별로 재미를 보지 못 했는데[* 17억엔으로 역대 도라에몽 극장판 일본 흥행순위 최하위] 화면이 어둡고 꽤나 공포스런 분위기가 있어서 어린이가 꺼려 흥행에 실패했다는 해석이 있다. 그러나 다음 작품인 [[진구의 마계체험]]이 히트하면서 시바야마 츠토무의 극장판 시리즈가 이어지게 된다. 해저를 무대로 해저인과 [[아틀란티스]], [[무 대륙]]으로 구성된 이야기가 나온다. 하지만 시선을 돌려보면 현실의 [[냉전]]을 풍자한 내용이다. == 스토리 == 캠핑을 가기로 한 진구와 친구들은 산으로 갈지, 바다로 갈지 의견이 엇갈린다. 이후 이런저런 과정을 거쳐서 바다에 가게 되고, 모두 바다에서 신나게 캠핑을 즐기게 된다. 그러다 황금을 실은 침몰선과 얽히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해저인들의 싸움에 휘말리게 되는데… == 등장인물 == * 엘 / 성우는 키타 미치에[* 이 성우의 대표작으로는 [[플랜더스의 개]]의 네로가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lle.webp|width=100%]]}}} || 무 연방의 해저인. 우연히 지상인인 진구 일행과 만나고, 이후 세계 멸망을 막기 위해 아틀란티스로 향한다. 처음에는 처음보는 사람이여서 그런지 적당히 경계를 하는 면이 많이 보이나 진구일행의 도움을 받아 깨달은 다음 진구일행을 위해서 다소 활약을 한다. (그 장면들이 하나같이 멋있다.) * 수중 자동차 / 성우는 [[미츠야 유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uggy.webp|width=100%]]}}} || 도라에몽의 도구 이름은 바기짱 . 해저에서도 문제없이 달릴수 있고, 바다생물의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 태도 불손[* 자기랑 상관없다는 이유로 탑승자가 죽을수도 있는 상황임에도 대수롭지 않게 넘긴다던가 탑승자가 죽었다고 판단한 뒤 가장 먼저 했던 행동이 인간은 어쩔수없다면서 궁시렁대기만 하거나 죽다 살아난 탑승자가 고물 중고차라고 화를 내자 그 자리에서 들이박으려고 달려드는등 도를 넘어선 불손함을 보여준다. 도라에몽이 폐차 애기를 꺼낼정도였다]에 겁도 많아 진구와 퉁퉁이에게 고물 컴퓨터란 소리를 들으나 자신을 변호해준 이슬이에게 호감을 가지고 이슬이한테만 잘 해준다. 포세이돈에 뛰어들어 [[동귀어진]]해 이슬이와 지구를 구한다. 이때의 장면은 명장면이며 [[오오야마 노부요]] 말로는 이 장면을 녹음할 때 모든 성우들이 울었다고 한다. 코믹스 에서 대사는 [[카타카나]]로 표기한다. 일본어는 컴퓨터나 로봇이 말하는 걸 카타카나로 적는 경우가 많다. [include(틀:도라에몽/극장판/메인 빌런)] * '''포세이돈(ポセイドン)''' / 성우는 [[토미타 코세이]][* 니혼TV판 도라에몽의 초대 도라에몽 성우. 덧붙여 유일한 '''남성''' 도라에몽 성우이기도 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oseidon_robot.webp|width=100%]]}}} || 해저귀암성편의 악당. 해신 포세이돈의 이름을 딴 컴퓨터로, 공격시 자동적으로 반격하는 자동 복수 시스템의 관리자. 어인처럼 생긴 로봇 '''철기대'''들을 통솔하고 있다. 해저 화산의 자연 분화를 자신에 대한 공격으로 착각해 고대 기술로 만든 '''귀각탄'''(핵 미사일) 폭격으로 지구를 멸망시키려 한다. 이슬이가 스스로 미끼를 자청해서 본거지인 귀암성의 위치가 드러났고, 수중 자동차의 자폭돌격으로 파괴된다. 잘 모르는 사람이 보면 어이없는 컴퓨터 같지만 [[파멸의 날 기계|이게 현실에도 있다는 게 문제다.]] == 주제가 == * 오프닝곡: 오오스기 쿠미코 - 도라에몽의 노래(ドラえもんのうた) * 엔딩곡: 이와부치 마코토 - [[https://youtu.be/eGZUKO9Fvcw(바다는 우리들과)]] == 기타 == * 도라에몽 일행이 세계멸망의 위기를 저지한 첫번째 극장판이다. * 구 극장판에서 적응총이 첫 등장한 작품이다. 참고로 해저인들에게도 있는 모양이다. * 오오야마판 도라에몽 극장판을 오랫동안 감독한 시바야마 츠토무 감독의 첫 도라에몽 극장판이기도 하다. * 작중에서 아틀란티스는 원래 해저국이었는데, 귀각탄이라는 해저식 핵폭탄을 연구하다 실패해 멸망한다. [[버뮤다 삼각지대]]는 오염을 막는 장벽인 셈. * 도라에몽 극장판 최초로 [[카츠동]]이 나온 작품으로 이후의 극장판에선 메뉴가 고민되면 카츠동부터 먹는 전통이 생겼다. * 패미컴 게임 '도라에몽 기가좀비의 역습(ドラえもん ギガゾンビの逆襲)'에서 스테이지2로써 이 세계관이 등장한다. 최종보스 기가좀비로 인해 포세이돈이 부활했고, 그것을 주인공과 도라에몽 일행이 쳐부수는 것으로 스테이지2를 클리어할 수 있다. 참고로 분명히 [[동귀어진]]했을 터인 도라에몽의 도구 '수중 자동차'가 게임상에 다시 등장한다. 해당 세계관의 어느 도시에 위치하는 어느 신사에서 '매직로브'를 바치는 것으로 수중 자동차의 리모컨을 얻을 수가 있으며, 그것을 특정 지역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수중 자동차가 도라에몽 일행에게 나타나게 된다. 수중 자동차는 원작에서 그랬던 것처럼 게임상에서 지나갈 수 없는 해저지형을 통과할 수 있게 도와주며, 다시 부활한 포세이돈을 무찌른 다음에는 도라에몽을 따라가지 않고 도구의 의지 스스로 해저에 머물기로 결정했다. 수중 자동차의 말로는 여기가 좋다고.. * 2019년에 애니메이션 40주년 기념으로 일본의 방송국 [[WOWOW]]에서 디지털 리마스터링 버전을 방송하여 무척 좋아진 화질로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 [[진구의 우주소전쟁 2021]]의 [[야마구치 스스무]] 감독은 이 작품도 좋아하고 리메이크 후보에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수중의 묘사를 제대로 연출 하는 건 자신의 연출 능력으론 불가능했기 때문에 우주소전쟁을 택했다고 한다. [[분류:도라에몽/극장판|진구의 해저성]][[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1983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영화 템플릿 미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