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파이 패밀리)] ||<-2>
{{{#010101,#010101 '''{{{+1 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코드: 화이트》}}}''' (2023)[br]SPY {{{#424a3a,#424a3a ×}}} FAMILY THE MOVIE 《CODE: Whit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파이패밀리 CODEWHITE 한국 런칭포스터.jpg|width=100%]]}}} || ||<-2> {{{#000000,#00000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첩보물|첩보]], [[코미디]], [[액션]], [[일상물|일상]], [[드라마]] || || '''감독''' ||[[카타기리 타카시]] || || '''각본''' ||[[오코우치 이치로]] || || '''원작''' ||<|3>[[엔도 타츠야]] || || '''감수''' || || '''캐릭터 디자인 원안''' || || '''애니메이션 어드바이저''' ||[[후루하시 카즈히로]] || || '''콘티''' ||[[후루하시 카즈히로]][br][[카타기리 타카시]][br][[사사키 신사쿠]][br][[미우라 타카히로]][br]쿠보 유스케(久保雄介) || || '''연출''' ||후루하시 카즈히로[br]카타기리 타카시[br]호리구치 카즈키(堀口和樹)[br][[타카하시 켄지(애니메이션 연출가)|타카하시 켄지]][br]우치다 신고(内田信吾)[br]쿠보 유스케 || || '''출연''' ||[[에구치 타쿠야]], [[타네자키 아츠미]], [[하야미 사오리]], [[마츠다 켄이치로]] 外 || || '''캐릭터 디자인''' ||[[시마다 카즈아키]] || || '''서브 캐릭터 디자인''' ||<|2>[[이시다 카나]] || || '''의상 디자인''' || || '''총 작화감독''' ||[[아사노 쿄지]] || || '''작화감독''' ||시모조 유미(下條祐未)[br][[무라카미 타츠야]][br][[고토 타카유키]][br]사이토 치히로(齋藤千尋)[br]난토 토시유키(南東寿幸)[br]KURO[br]시라카와 료스케(白川亮介)[* [[교토 애니메이션]] 출신.][br]무라타 노부아키(村田睦明)[br]카도쿠라 유코(門倉世央子)[br]오카 이쿠미(岡 郁美)[br]아베 아유미(阿部愛由美)[* [[본즈(기업)|본즈]] 애니메이터.] || || '''원화''' ||무라카미 타츠야, [[오오쿠라 케이스케]], [[스기타 슈]], [[고토 타카유키]], 우사미 코이치(宇佐美皓一), 아베 아유미, 무라타 노부아키, KURO, 시모조 유미, 난토 토시유키, 카도쿠라 유코, [[아오키 슌스케]], [[스기모토 미셸]], 시바타 슌(柴田 駿), Porkky, 라이즈칭(頼志青), [[천성멍|슈퍼 마메진]], [[키소 유타]], [[나카타니 세이이치]], [[미와 카즈히로]], [[사카이 사토시]], [[사토 토시유키]], [[오키타 히로후미]], [[카리야 히토미]], [[타케우치 시호]] 등 || || '''설정 고증''' ||시라토 세이이치(白土晴一) || || '''프롭 설정''' ||한다 세이지(反田誠二)[br]마츠오 유우(松尾 優) || || '''컨셉 메카 디자인''' ||츠네키 시노부(常木志伸) || || '''메카 디자인''' ||타카바타케 사토시(高畠 聡) || || '''미술 설정''' ||타니우치 유호(谷内優穂)[br]카네히라 카즈시게(金平和茂) || || '''미술 감독''' ||스기모토 토모미(杉本智美)[br]코지마 아유미(小島あゆみ) || || '''색채 설계''' ||타나카 하나미(田中花奈実) || || '''2D 웍스''' ||카와시마 치히로(川島千尋) || || '''3DCG 감독''' ||이마가키 카나(今垣佳奈) || || '''촬영 감독''' ||[[후시하라 아카네]] || || '''편집''' ||사이토 아카리(齋藤朱里) || || '''음향 감독''' ||하타 쇼지(はたしょう二) || || '''음향 효과''' ||이즈모 노리코(出雲範子) || || '''음악 프로듀스''' ||(K)NoW_NAME || || '''주제곡''' ||[[SOULSOUP]] - [[Official髭男dism]][br][[光の跡/生命体#s-2.1|光の跡]] - [[호시노 겐]]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하야시 카즈에]]^^[[WIT STUDIO]]^^[br][[야마나카 카즈키]]^^[[WIT STUDIO]]^^[br][[이토 타이토]]^^[[CloverWorks]]^^ || || '''제작''' ||오타 케이지(大田圭二) || || '''공동제작''' ||헤이시 요시히사(瓶子吉久)[br]마루모 레이(丸茂礼)[br][[와다 죠지]][br]시미즈 아키라(清水暁)[br]사토 타츠노부(佐藤龍伸)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야마나카 카즈타카(山中一孝)[br]후지오 아키후미(藤尾明史) || || '''치프 프로듀서''' ||타카하시 아츠시(高橋敦司)[br]타케이 카츠히로(武井克弘)[br]하야시 타츠로(林辰朗) || || '''프로듀서''' ||츠무라 미레이(津村美玲)[br]사이토 마사야(齋藤雅哉)[br]사이토 소이치로(斉藤壮一郎)[br]야마우치 미라이(山内未來)[br][[나카타케 테츠야]][br][[후쿠시마 유이치]][br]야마모리 타카코(山守貴子) || || '''원작 편집담당 프로듀서''' ||[[린 시헤이]] || || '''기획협력''' ||[[소년 점프+]] 편집부[br]호소노 슈헤이(細野修平)[br]우치다 소우시(内田聡司) || || '''애니메이션 제작''' ||[[WIT STUDIO]] × [[CloverWorks]] || || '''제작위원회''' ||극장판 '''SPY {{{#434740,#434740 ×}}} FAMILY''' [[제작위원회]][* [[도호]], [[슈에이샤]], [[테레비 도쿄]], [[WIT STUDIO]], [[CloverWorks]], [[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에스엠지홀딩스]][* [[AGF 2023]] 행사에서 [[에스엠지홀딩스]](SMG)가 본 작품의 행사를 담당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후 공개된 국내판 티저 포스터에서 최종 확정되었다. 또한 SMG는 수입작들인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원피스 필름 레드]], [[더 퍼스트 슬램덩크]]의 일반 2D 포맷뿐만 아니라 [[IMAX]] 포맷까지 수입해 국내에서 상영한 전적도 있기에 본 작품 또한 개봉 시기만 잘 탄다면 국내에서의 IMAX 상영도 기대해볼 수 있게 되었다.] || ||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대교그룹|대교무비]] || ||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3년]] [[12월 22일]]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4년]] [[2월]] 예정 || || '''상영 타입''' ||[[2차원|2D]] | [[IMAX]] | [[Dolby Cinema]] || || '''상영 시간''' ||110분 || || '''월드 박스오피스''' ||'''○○''' || || '''북미 박스오피스'''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 || '''국내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https://|▶]][*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 ||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파일:영륜 G 로고.svg|height=20]] || || '''관련 사이트''' ||[[https://spy-family.net/codewhit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pyfamily_anime)] | [[https://instagram.com/spy_family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lin.ee/evp4YiJ|[[파일:라인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世界一壮絶な家族旅行が始まる』''' >'''『세계에서 가장 장렬한 가족 여행이 시작된다』''' >---- >티저 비주얼의 [[캐치프레이즈]] >'''『ワクワクの家族旅行で、世界を救えㅡ!』''' >'''『두근두근 가족 여행에서, 세상을 구하라ㅡ!』''' [[일본]]의 [[소년 점프+]] 연재작, [[엔도 타츠야]]의 만화 [[스파이 패밀리]]를 원작으로 하는 극장판 애니메이션. 감독은 [[카타기리 타카시]].[* [[스파이 패밀리(애니메이션 1기)|1기]]의 조감독.] [[일본]] 개봉 시기는 [[2023년]] [[12월 22일]]. == 개봉 전 정보 == 2022년 12월 18일, <점프 페스타 2023>에서 [[스파이 패밀리(애니메이션 2기)|TVA 2기]]와 동시에 제작이 결정되었음을 공식 발표했다. [[https://youtu.be/fgMlWEnRTUo|점프 페스타 스파이 패밀리 스테이지 영상.]][* 영상의 3분 30초부터 시즌 2 방영 확정과 극장판 제작 결정을 발표한다.] 2023년 3월 26일, <[[아니메 재팬]] 2023>에서 <점프 페스타 2023> 이후 TVA 2기와 함께 처음으로 일부 정보가 해금되었으며 총 작화감독 [[아사노 쿄지]]의 초 티저 비주얼과 개봉 시기, 타이틀이 공개되었다. 2023년 6월 20일, 시놉시스와 함께 총작감 [[아사노 쿄지]]의 신규 티저 비주얼이 최초 공개되었으며 6월 26일, [[도호]] 유튜브 채널에 극장판 관련 프리미어 30초 티저가 잇따라 공개됐다. 2023년 10월 30일, 메인 비주얼과 주제가 정보가 해금되었으며 이를 포함한 메인 [[예고편]]이 [[https://youtu.be/3sHxvyk57jY?si=mi2A0CVKb-3cliF7|공개되었다.]] 2023년 11월 3일부터 극장에 등신대가 설치되기 시작했다. 캐릭터와 함께 부착된 QR 코드를 인식하면 각 캐릭터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이는 현장에서 안내해주는 링크에 접속하여야 가능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파이패밀리 코드화이트 스탠디.jpg|width=100%]]}}}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기념 비주얼.jpg|width=100%]]}}} || || '''원작자 [[엔도 타츠야]]의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코드 화이트 초티저 비주얼.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파이패밀리 CODEWHITE 티저비주얼.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파이패밀리 CODEWHITE 메인비주얼.jpg|width=100%]]}}} || || '''[[아사노 쿄지]]의 초 티저 비주얼''' || '''[[아사노 쿄지]]의 티저 비주얼''' || '''[[아사노 쿄지]]의 메인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파이패밀리 CODEWHITE 캐릭터 포스터 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파이패밀리 CODEWHITE 캐릭터 포스터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파이패밀리 CODEWHITE 캐릭터 포스터 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파이패밀리 CODEWHITE 캐릭터 포스터 4.jpg|width=100%]]}}} || ||<-4> '''캐릭터 포스터''' || == 예고편 == === 일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bbCX5kAMss, width=100%)]}}} || || '''제작 결정 스페셜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c88jGe8TA8, width=100%)]}}} || || '''초 티저 비주얼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yG_xbqL9Fss, width=100%)]}}} || ||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3sHxvyk57jY, width=100%)]}}} || || '''메인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oAUR2i6RKPg, width=100%)]}}} || || '''특별 예고 로이드 버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4wm0WQ7T8KU, width=100%)]}}} || || '''특별 예고 요르 버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9ktXS6VOLxc, width=100%)]}}} || || '''특별 예고 아냐&본드 버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mhSH836-_g, width=100%)]}}} || || '''특별 예고 적 캐릭터 버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EpUAso8ITVw, width=100%)]}}} || || '''공개 직전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eUS4NBBdIA, width=100%)]}}} || || '''공개 후 최속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lSqZme7O-qE, width=100%)]}}} || || '''대히트 상영 중 TV CM 15초 편''' || === 한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HM413vlGSM, width=100%)]}}} || || '''한국 런칭 예고편''' || == 시놉시스 == >세계 각국이 물밑에서 치열하게 정보전쟁을 펼치는 시대. > >서국 [[스파이 패밀리/설정/주요 국가#s-4|웨스탈리스]]의 정보국 의 민완한 첩보원 에이전트 <황혼> [[로이드 포저]]가 평소와 같이 임무를 맡고 있었지만 진행 중인 오퍼레이션 <올빼미>의 담당을 변경한다는 지령을 받게 된다. 그러나 새로운 담당자로 뽑힌 것은 무능한 남자였다. > >그 무렵 이든 칼리지에서는 우승자에게 〈스텔라〉가 수여된다고 소문난 조리 실습이 실시되어, 조금이라도 오퍼레이션 〈올빼미〉의 진전을 나타내서 〈WISE〉에 임무 담당 권한을 교섭하기 위해, 나아가 세계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로이드는 심사 위원장을 맡게 된 교장이 좋아한다는 "프리지스 지방"의 전통 과자 〈멜레메레〉를 만들 것을 [[아냐 포저|아냐]]에게 제안한다. 본고장의 맛을 확인하기 위해 [[포저 일가]]는 가족 여행으로 프리지스 지방을 향하게 되는데, [[요르 포저|요르]]는 출발 전에 로이드가 의문의 여자와 대화를 나누는 자초지종의 현장을 목격하고 임시적인 부부 관계에 일말의 불안을 느끼며 가족 여행은 시작된다... > >그런 가족 여행 도중 열차 안에서 아냐는 수상한 트렁크 케이스를 발견하게 되고, 그 안에는 어째서인지 [[초콜릿]]이… 이상하게 여기던 찰나, 트렁크 케이스의 주인이 돌아와, 놀란 아냐는 순간 실수로 그 초콜릿을 삼켜 버리고 만다. 그런데 그 초콜릿에는 세계 평화를 뒤흔드는 중대한 비밀이 숨겨져 있었다ㅡ!? > >그리고 조금의 여유도 허락되지 않고, 여행지에서 일어나는 해프닝의 연속!! > >세계의 명운(命運)은 또다시 [[포저 일가|이 임시 가족]]에게 맡겨지고 말았다. >---- >[[https://spy-family.net/codewhit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스파이 패밀리/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파이 패밀리/등장인물)] === 레귤러 등장인물 === [include(틀:포저 가)] * '''[[로이드 포저]]''' 役 {{{-1 - 성우: [[에구치 타쿠야]]}}} * '''[[아냐 포저]]''' 役 {{{-1 - 성우: [[타네자키 아츠미]]}}} * '''[[요르 포저]]''' 役 {{{-1 - 성우: [[하야미 사오리]]}}} * '''[[본드 포저]]''' 役 {{{-1 - 성우: [[마츠다 켄이치로]]}}} ===# 오리지널 등장인물 #=== * '''스나이델''' (スナイデル) {{{-1 - 성우: [[긴가 반조]]}}} 동서 평화의 전복을 목표로 하는 군 정보부 특별 정찰 연대의 대령.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냉혹하고 비열한 성격이다. 초콜릿 속에 몰래 숨긴 마이크로 필름이 아냐에게 우연히 넘어가 버린 걸 알자 야냐를 노리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나이델.jpg|width=100%]]}}} || * '''타입 F''' (タイプF) {{{-1 - 성우: [[타케우치 슌스케]]}}} 동서 평화의 전복을 목표로 하는 군 정보부 특별 정찰 연대의 비밀 병기. 압도적인 전투력을 자랑하며 과묵하다. [[슈탈헬름]]과 [[방독면]]으로 [[다스 베이더|얼굴을 완전히 가리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타입F.jpg|width=100%]]}}} || * '''드미트리''' (ドミトリ) {{{-1 - 성우: [[나카무라 토모야]]}}} 동서 평화의 전복을 목표로 하는 군 정보부 특별 정찰 연대의 일원이며 [[포저 일가]]의 앞을 가로 막는 적이다. 소심한 성격으로 작은 미신에 의지를 많이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드미트리.jpg|width=100%]]}}} || * '''루카''' (ルカ) {{{-1 - 성우: [[카쿠 켄토]]}}} 드미트리와 마찬가지로 동서 평화의 전복을 목표로 하는 군 정보부 특별 정찰 연대의 일원이며 [[츳코미]]를 자주 사용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루카 극장판.jpg|width=100%]]}}} || == 설정 == == 줄거리 == == 음악 == === 주제가 === ==== [[SOULSOUP]] ==== ||<-2>
'''{{{#000000,#000000 주제가[br][[SOULSOUP|{{{#000 SOULSOUP}}}]]}}}''' || || || ||<-2> '''{{{#000000,#00000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MOVIE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_k7iwrWVY, width=100%)]}}} || ||<-2> '''{{{#000000,#00000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XicyM57vE4, width=100%)]}}} || ||<-2> '''{{{#000000,#00000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Full ver.}}}''' || || '''노래''' || [[Official髭男dism]] || || '''작사''' ||<|2> [[후지하라 사토시]] || || '''작곡''' || || '''편곡''' ||<|2> [br] || || '''연주'''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 || '''연출''' || || '''작화감독''' || || || '''원화''' ||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MV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러스트''' || || || '''무비''' ||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000000 声すら失うような 絶望味のスープを}}} || || 코에스라 우시나우요-나 제츠보- 아지노 스-푸오 || || 말조차 잇지 못할 정도의 절망적인 맛의 스프를 || || {{{#000000 一生に少なくとも 一杯飲まなくちゃならないみたいだ }}} || || 잇쇼-니 스쿠나쿠토모 잇파이 노마나쿠챠 나라나이미타이다 || || 일생 적어도 한 그릇은 마셔야 하는 것 같아 || || {{{#000000 怠惰や弱音を混ぜた 自家製の大ピンチが }}} || || 타이다야 요와네오 마제타 지카세이노 다이핀치가 || || 나태함과 나약한 소리를 섞은 홈메이드의 대위기가 || || {{{#000000 今僕の目の前で湯気を立ててる }}} || || 이마 보쿠노 메노 마에데 유게오 타테테루 || || 지금 내 눈앞에서 김을 모락모락 피어 올리고 있어 || || {{{#000000 危険な色が渦巻く }}} || || 키켄나 이로가 우즈마쿠 || || 위험한 색깔이 소용돌이쳐 || || {{{#000000 息を吸った時に感じた 外野の香ばしさと }}} || || 이키오 슷타 토키니 칸지타 가이야노 코오바시사토 || || 숨을 들이켜는 순간 느낀 외야의 구수함과 || || {{{#000000 銀色の匙に映り込んだ 歪にこちらを睨む顔 }}} || || 긴이로노 사지니 우츠리콘다 이비츠니 코치라오 니라무 카오 || || 은색의 숟가락에 비친 일그러져 나를 노려보는 얼굴 || || {{{#000000 「あんたじゃ役不足だ」と主張しているみたいだ }}} || || 안타쟈 야쿠부소쿠다토 슈쵸-시테이루미타이다 || || 「너로는 역부족이야」라며 주장하고 있는 것 같아 || || {{{#000000 余計な五感は塞いだ }}} || || 요케이나 고칸와 후사이다 || || 쓸데없는 오감은 틀어막았어 || || {{{#000000 無謀な理想が五臓六腑に突き刺さる }}} || || 무보-나 리소-가 고조-롯푸니 츠키사사루 || || 무모한 이상이 오장육부에 내리 꽂히고 있어 || || {{{#000000 ビターなこの現代と引き立て合ってクセになる }}} || || 비타-나 코노 겐다이토 히키타테앗테 쿠세니 나루 || || 쓰디 쓴 이 현대와 어우러져 중독돼 || || {{{#000000 「変わった嗜好だ」って言われなくたって知ってる }}} || || 카왓타 시코-닷테 이와레나쿠탓테 싯테루 || || 「별난 기호네」 라고 말하지 않아도 알고 있어 || || {{{#000000 でもご馳走様と共に僕は }}} || || 데모 고치소-사마토 토모니 보쿠와 || || 하지만 '잘 먹었습니다' 와 함께 나는 || || {{{#000000 僕で在り直したいんだ }}} || || 보쿠데 아리 나오시타인다 || || 나로서 다시 태어나고 싶어 || || {{{#000000 震える指 汗ばむ襟 痛みと疲れと失敗を }}} || || 후루에루 유비 아세바무 에리 이타미토 츠카레토 싯파이오 || || 떨리는 손가락, 땀투성이인 목덜미, 아픔과 피로와 실패를 || || {{{#000000 憂いてても 拒んでても もうマシになることはないだろう }}} || || 우레이테테모 코반데테모 모- 마시니 나루 코토와 나이다로- || || 걱정한다해도, 거절한다해도, 이제 나아질 일은 없겠지 || || {{{#000000 流し込む度 増してく渇き }}} || || 나가시코무타비 마시테쿠 카와키 || || 마실 때마다 더해지는 갈증 || || {{{#000000 泡立つ不気味な祝杯を }}} || || 아와다츠 부키미나 슈쿠하이오 || || 거품이 이는 불쾌한 축배를 || || {{{#000000 一滴残さず飲み干すまで }}} || || 잇테키 노코사즈 노미호스마데 || || 한 방울도 남김없이 다 마셔버릴 때까지 || || {{{#CE217A '''YEAH!!'''}}} || || - || || - || || {{{#000000 独りきりで生きてた時より大盛りになったな}}} || || 히토리키리데 이키테타 토키요리 오-모리니 낫타나 || || 혼자서 살아왔던 때보다 먹는 양이 더 많아졌네 || || {{{#000000 ギブアップなんて 言える空気でもないよな}}} || || 기부압푸난테 이에루 쿠-키데모 나이요나 || || 포기한다고 말할 분위기도 아니지 || || {{{#000000 でも独りきりで生きて良いよと言われたとしたってもう}}} || || 데모 히토리키리데 이키테 이이요토 이와레타토 시탓테 모- || || 하지만 혼자서 살아도 괜찮다고 이야기한다 해도 이젠 || || {{{#000000 選ぶわけないほど }}} || || 에라부 와케나이호도 || || 그런 선택을 할 리 없을 정도로 || || {{{#000000 あなたとの日々を欠かしたくないの}}} || || 아나타토노 히비오 카카시타쿠 나이노 || || 당신과의 나날을 놓치고 싶지 않아 || || {{{#000000 ご馳走様と共に僕は}}} || || 고치소-사마토 토모니 보쿠와 || || '잘 먹었습니다' 와 함께 나는 || || {{{#000000 もう一度宿したいんだ}}} || || 모- 이치도 야도시타인다 || || 다시 한번 간직하고 싶어 || || {{{#000000 ため息に吹かれ冷めた心}}} || || 타메이키니 후카레 사메타 코코로 || || 한숨 쉬자 식어버린 마음 || || {{{#000000 沸かすような熱を}}} || || 와카스요-나 네츠오 || || 끓는 듯한 열을 || || {{{#000000 震える指 汗ばむ襟 痛みと疲れと失敗を }}} || || 후루에루 유비 아세바무 에리 이타미토 츠카레토 싯파이오 || || 떨리는 손가락, 땀투성이인 목덜미, 아픔과 피로와 실패를 || || {{{#000000 憂いてきて 拒んできて もう諦めるのにも飽きたろう }}} || || 우레이테키테 코반데키테 모- 아키라메루노니모 아키타로- || || 걱정되어도, 막으려해도, 이젠 포기하는 것도 지겨워졌잖아 || || {{{#000000 流し込む度 増してく渇き }}} || || 나가시코무타비 마시테쿠 카와키 || || 마실 때마다 더해지는 갈증 || || {{{#000000 泡立つ不気味な祝杯を }}} || || 아와다츠 부키미나 슈쿠하이오 || || 거품이 이는 불쾌한 축배를 || || {{{#000000 咽せながら頂く}}} || || 무세나가라 이타다쿠 || || 목이 막히면서도 먹는 것 || || {{{#000000 それでこそ人生だろう }}} || || 소레데코소 진세이다로- || || 그것이야말로 인생이겠지 || || {{{#000000 続く暮らし ふとした時 煮詰まる悩みや悲しみを }}} || || 츠즈쿠 쿠라시 후토시타 토키 니츠마루 나야미야 카나시미오 || || 계속되는 생활, 갑작스런 때에 조여오는 고민과 슬픔을 || || {{{#000000 そこら中ぶちまけてしまいたくなるような時にこそ }}} || || 소코라츄- 부치마케테시마이타쿠 나루요-나 토키니코소 || || 여기저기 털어내버리고 싶어지는 때야말로 || || {{{#000000 止めるな匙 続け渇き 全ての未来に乾杯を }}} || || 토메루나 사지 츠즈케 카와키 스베테노 미라이니 칸파이오 || || 숟가락을 멈추지 마, 갈증아 계속되어라, 모든 미래에게 건배를 || || {{{#000000 Give Me 運命のカケラ この世の奥に隠れた }}} || || 기브미 운메이노 카케라 코노요노 오쿠니 카쿠레타 || || 운명의 조각을 내게 줘, 이 세상의 깊숙이 숨어있는 || || {{{#000000 そいつを掬い出すまで そして }}} || || 소이츠오 스쿠이다스마데 소시테 || || 그것을 구해낼 때까지 그리고 || || {{{#000000 一滴残さず飲み干す }}} || || 잇테키 노코사즈 노미호스 || || 한 방울도 남김없이 다 마셔버릴 때- || || {{{#000000 まで }}} || || 마데 || || -까지 || || {{{#CE217A '''YEAH!!'''}}} || }}}}}}}}} || ==== [[光の跡/生命体|光の跡]] ==== ||<-2>
'''{{{#000000,#000000 엔딩 주제가[br][[光の跡/生命体|{{{#000 光の跡[br]Wh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3qa3bzNyY0, width=100%)]}}} || ||<-2> '''{{{#000000,#00000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콜라보 무비 ver.[* '바라는 것은 [[로이드 포저|황혼]]의 속으로'라는 가사가 1절로 옮겨져있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Ec_n81iyc, width=100%)]}}} || ||<-2> '''{{{#000000,#00000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0izDjaaBa-A, width=100%)]}}} || ||<-2> '''{{{#000000,#00000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Full ver.}}}''' || || '''노래''' ||<|3> [[호시노 겐]] || || '''작사''' || || '''작곡''' || || '''편곡''' || 호시노 겐, mabanua || || '''연주'''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 || '''연출''' || || '''작화감독''' || || || '''원화''' ||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MV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러스트''' || || || '''무비''' ||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人はやがて 消え去るの''' || || 히토와야가테 키에사루노 || || 사람은 이윽고 사라져버리는 거야 || || '''すべてを残さずに 綺麗にいなくなり''' || || 스베테오노코사즈니 키레에니이나쿠나리 || || 그 무엇도 남기지 않고 깨끗이 사라져 버리지 || || '''愛も傷も 海の砂に混ざり''' || || 아이모 키즈모 우미노 스나니 마자리 || || 사랑도 상처도 바다의 모래에 섞여서 || || '''きらきら波間に反射する''' || || 키라키라 나미마니 한샤스루 || || 반짝 거리며 파도 틈새에 반사돼 || || '''今のうちに 旅をしよう 僕らは''' || || 이마노우치니 타비오시요오 보쿠라와 || || 지금 당장 우리는 여행을 떠나자 || || '''悲しみにひらひらと手を振る''' || || 카나시미니 히라히라토 테오후루 || || 슬픔에는 살랑살랑 손을 흔들어주고 || || '''窓を開けて 風に笑み''' || || 마도오아케테 카제니에미 || || 창문을 열고 바람에게 미소를 지어 || || '''意味なく生きては''' || || 이미나쿠 이키테와 || || 의미 없이 살아서는 || || '''陽射しを浴びている''' || || 히자시오 아비테이루 || || 햇볕을 쬐고 있어 || || '''過去 背なに雨''' || || 카코 세나니 아메 || || 과거, 등을 적시는 빗물 || || '''目の前には まだ知らぬ景色''' || || 메노마에니와 마다시라누게시키 || || 눈 앞에 보이는 건 아직 모르는 풍경 || || '''惹かれ合うのは なぜ''' || || 히카레아우노와 나제 || || 서로 끌리는 것은 어째서일까 || || '''ただ 「見て、 綺麗」 だと手を引いた''' || || 타다「미테、키레에」다토테오히이타 || || 그저「저기 봐, 아름다워」라며 손을 끌어당겼어 || || '''海にゆれる 光の跡''' || || 우미니유레루 히카리노아토 || || 바다에 일렁이는 빛의 흔적 || || '''消えてゆくのに なぜ''' || || 키에테유쿠노니 나제 || || 사라져 가는데 어째서 || || '''ただ 忘れたくない思い出を''' || || 타다와스레타쿠나이 오모이데오 || || 단지 잊고 싶지 않은 추억을 || || '''増やすのだろう''' || || 후야스노다로오 || || 늘려가는 것이겠지 || || '''ほら 終わりは 未来だ''' || || 호라 오와리와 미라이다 || || 자, 종착지는 미래다 || || '''繋ぐその手 やがて解けゆく''' || || 츠나구소노테 야가테토케유쿠 || || 서로를 이어주던 그 손길은 이윽고 녹아가고 || || '''足跡はいつしか 止まるはず''' || || 아시아토와 이츠시카 토마루하즈 || || 발자국은 어느새 멈춰버리겠지 || || '''それはまるで 訳もなく輝く''' || || 소레와마루데 와케모나쿠 카가야쿠 || || 그것은 마치 이유도 없이 빛나는 || || '''貴方の笑顔の意味と知る''' || || 아나타노에가오노 이미토시루 || || 당신의 웃는 얼굴의 의미임을 알게 돼 || || '''肩 寄せたまま 願うことは''' || || 카타 요세타마마 네가우코토와 || || 어깨에 기댄 채 바라는 것은 || || '''黄昏の中に''' || || 타소가레노 나카니 || || [[로이드 포저|황혼]]의 속으로 || || '''抱きしめるのは なぜ''' || || 다키시메루노와 나제 || || 끌어안는 것은 어째서일까 || || '''ただ 保存できない心ごと''' || || 타다 호존데키나이 코코로고토 || || 그저 보존해둘 수는 없는 이 마음 그대로 || || '''包み込むように''' || || 츠즈미코무요우니 || || 감싸듯이 || || '''ほら 景色が 増えた''' || || 호라 게시키가 후에타 || || 봐, 풍경이 늘었어 || || '''見つめ合う 無為が踊る''' || || 미츠메아우 무이가오도루 || || 서로를 바라보며 자연스레 춤을 춰 || || '''手を繋ぐ''' || || 테오츠나구 || || 손을 맞잡은 채 || || '''ただ 朽ちるしかないこの時を''' || || 타다 쿠치루시카나이 코노토키오 || || 그저 썩어버릴 수밖에 없는 이 순간을 || || '''僕ら燃える 命の跡''' || || 보쿠라모에루 이노치노아토 || || 우리의 타오르는 생명의 흔적 || || '''消えてゆくのに なぜ''' || || 키에테유쿠노니 나제 || || 결국 사라져버릴 텐데 어째서일까 || || '''ただ 忘れたくない思い出を''' || || 타다 와스레타쿠나이 오모이데오 || || 단지 잊고 싶지 않은 추억을 || || '''増やすのだろう''' || || 후야스노다로오 || || 늘리는 것이겠지 || || '''ほら 出会いは 未来だ''' || || 호라 데아이와 미라이다 || || 자, 만나는 것은 미래다 || }}}}}}}}} || 개봉 당일인 12월 22일, 특전 소책자를 통해 [[호시노 겐]]의 새로운 싱글 타이틀 곡 중 하나인 [[光の跡/生命体#s-2.1|光の跡]]{{{-2 (빛의 흔적)}}}이 엔딩 주제가로 타이업 된 것이 밝혀졌다. 또한 얼마 지나지 않아 호시노 겐의 개인 SNS에도 본인이 엔딩곡에 참여했음을 알렸다. 약 1년 전쯤에 스파이 패밀리 측에서 '엔딩 주제가를 공개 첫날의 0시 상영에서 손님이 서프라이즈로 알게 되었으면 좋겠다, 그날 알 수 있는 엔딩 주제가 방식을 하고 싶다'고 제의가 왔다고 한다. [[https://miyearnzzlabo.com/archives/107742|#]] [[喜劇]](희극)의 가사와 세계관에서 이어지는 속편으로, [[喜劇]](희극)은 2000년대 R&B와 힙합을 모티브로 잡았다면, 이 곡은 '애틋한 1980년대 R&B/발라드를 [[샘플링]][* 비유가 이럴 뿐이지 실제로 샘플링을 하지는 않았다.]한 1990년대 힙합/R&B 이미지'를 첫 모티브로 잡았다고 한다.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26684398, user=없음)]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spy-x-family-code-white, user=없음)]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5272444, user=없음)]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311397, presse=없음, spectateurs=3.1)]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88698, user=4.1)]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107372, user=3.8)]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6190889, user=없음)]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Zllo6, user=5.0)]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21650, light=없음)]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69353, user=없음)] [include(틀:평가/TMDB, code=1062807, user=없음)]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spy-x-family-code-white, user=없음)]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53888, user=없음)] 오리지널 스토리지만 원작의 에피소드를 보는 것처럼 자연스럽고 연출과 작화도 좋아서 호평이다. 특히 후반부의 액션신과 전개가 좋다고 한다. 평론가 [[마에Q]]가 호평했다. [[https://twitter.com/maeQ/status/1738008502537449561|#]]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캐나다, 출력=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1주차 ||20XX-XX-XX.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2주차 ||20XX-XX-XX.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XX/XX/XX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대원미디어]]가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152623|2023년 6월 기사]]에서 극장판의 판권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후 2023년 11월 17일에 [[Anime X Game Festival 2023]]의 부스 배치도가 공개되면서 부스 E4에 적힌 내용을 통해 [[에스엠지홀딩스]] 측에서 관련 행사를 진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https://twitter.com/AGF_Korea/status/1725440210975199514|#]] === [[일본]] === ||<-5>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2023년 51주차 ||<|2> → || '''2023년 52주차''' ||<|2> → || 2023년 53주차 || || [[위시(애니메이션)|위시]] || {{{#bc002d '''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CODE: White'''}}} || '' 미정 '' || ||<-5> [[http://www.kogyotsushin.com/archives/weekend/|흥행통신]] [[https://www.boxofficemojo.com/weekend/by-year/?area=JP|박스오피스 모조]]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WeekendForeignBoxOfficeList.do|KOBIS]] || ||{{{#!folding[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023년 52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첫 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 [[북미]] ([[미국]]·[[캐나다]]) === === [[중국]] === === [[대만]] === === [[영국]] === === 기타 국가 === == 일본 개봉 == === 특전 및 프로모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드 화이트 필름북.jpg|width=100%]]}}} || ||[youtube(FExtFF-EUPM, width=100%)] || || '''특전 증정 홍보 영상''' || [[일본]]에서는 개봉일인 12월 22일 0시 상영분부터, 원작자 [[엔도 타츠야]]가 표지 일러스트를 그린 <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CODE: White Film Files>가 영화관 입장 관람객 한정으로 선착순 배포된다.[* 400만분으로 예정돼 있다.] 해당 소책자에는 원작자 [[엔도 타츠야]]의 여덟 페이지 가량의 관련 만화와 함께 원작자, 성우진, 스태프들의 영화에 관련한 인터뷰가 포함되어있다. 별다른 프리미엄 [[시사회]] 없이, 개봉 전 주에 팬들을 초청하여 영화의 '공개 직전 예고편'을 공개한 팬미팅이 진행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Y FAMILY CODE WHITE.jpg|width=100%]]}}} || || '''12월 22일, 공개 첫날 무대인사''' || [[12월 22일]] 개봉 당일에 [[TOHO 시네마즈]] 히비야에서 상영 종료 직후 무대 인사를 진행하였다.[* 참여한 성우진은 왼쪽부터 [[마츠다 켄이치로]], [[하야미 사오리]], [[에구치 타쿠야]], [[나카무라 토모야]], [[카쿠 켄토]].] 원작자인 [[엔도 타츠야]]와 담당 편집자 [[린 시헤이]]가 관람객 신분으로 현장을 방문했다. == 기타 == * 원작자 [[엔도 타츠야]]가 축전을 겸해, [[포저 일가]] 성우들의 화풍을 패러디하여 창작한 티저 비주얼을 공개했다.[[https://twitter.com/_tatsuyaendo_/status/1639838134086299650?t=_Uz26MGH7WY35zGhTxkwMQ&s=19|#]] * 2020년대 들어 원작의 인기가 매우 높거나 흥행 기대작으로 불린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들이 [[IMAX]] 포맷으로 컨버팅되어 상영했었기에 이 작품도 IMAX로 상영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2022년 10월 26일, [[IMAX]] 상영이 결정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파이패밀리아이맥스.jpg|width=100%]]}}} || * 2023년 7월 2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진행된 에서 [[스트리트 파이터 6]]와의 콜라보가 발표되었다. [[https://twitter.com/spyfamily_anime/status/1675279480632512512?s=2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파이x스트리트.jpg|width=100%]]}}} || ||[youtube(7vtEWVtJJd4, width=100%)] || || '''[[스트리트 파이터 6]] X 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CODE: White 콜라보 애니메이션[br]{{{-1 콘티, 캐릭터 디자인: [[아사노 쿄지]]}}}''' || * 2023년 7월 10일,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과의 콜라보가 발표되었다. 아래 포스터는 [[이시다 카나]]가 그렸다. [[https://twitter.com/spyfamily_anime/status/1678313109927215106?s=20|#]] [[https://youtu.be/6Zdiw-wdxuw|특보 영상.]][[https://bbs.ruliweb.com/news/read/190745|#2]]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임파스파팸.jpg|width=100%]]}}} || * 2023년 7월 28일부터 '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CODE: White'를 배경으로 한 영화관 매너 무비가 [[TOHO 시네마즈]]에서 모든 영화 상영 직전에 상영되었다. 콘티와 연출은 [[카미야 유키]]가 담당했다. [[https://youtu.be/PVvzJbQISUI|고지 영상]][* 이 영상은 고지 영상이라서 짧다. 풀버전은 TOHO 시네마즈 영화관에서만 직접 볼 수 있다.] * 본작이 원작 세계관에 정사로 포함될지 아니면 [[패럴렐 월드]]일지 궁금하다는 반응도 있다.[* 원작자가 제작에 참여하는 것을 근거로 정사에 포함될 거란 주장이 있지만 나루토 로드 투 닌자나 원피스 필름 시리즈처럼 원작자가 스토리에 감수하되 정사는 아닌 케이스도 있기 때문에 속단할 수는 없다.] * 2023년 12월 19일, 일본에서는 [[디즈니]] 창립 100주년 기념작인 [[위시(애니메이션)|위시]]와의 콜라보를 발표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파패 위시.jpg|width=100%]]}}} || ||[youtube(YMT6wN-ZVXI, width=100%)] || || '''콜라보 영상''' || * [[Official髭男dism]]과 [[호시노 겐]]이 주제가를 담당함으로써 [[스파이 패밀리(애니메이션 1기)|시즌 1]]의 오프닝, 엔딩 구도를 재현해냈다. [[분류:스파이 패밀리/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3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2023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 영화]][[분류:WIT STUDIO]][[분류:CloverWorks]][[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