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썬더일레븐 오우거 포스터(1).jpg|width=100%]] || || 국내 포스터 || [목차] == 개요 == [[이나즈마 일레븐]] 최초의 [[극장판]]. 부제는 '''최강군단 오우거(王牙)의 습격'''. 미래에서 나타난 [[오우거 학원]]이 주요 적이며, 엔도 마모루의 증손자 [[엔도 카논]]이 등장한다. 일본 개봉은 2010년 12월 23일. 국내에는 2011년 5월 5일에 개봉. 주제가는 "슈퍼 이어지리요~와 최강으로 최고". 8월 중순에 공개된 예고편과 홈페이지 소개에 따르면 대략적 스토리는 아래와 같다. >현재로부터 80년 뒤 미래, '''축구가 악으로 여겨지는''' 시대. 어느 악의 조직이 축구라는 스포츠를 없애버리기 위해 과거를 바꾸려 한다. 그리고 주요 목표가 되는 것은 '''엔도 마모루'''와 라이몬 일레븐. 한편, 그들에 대해 눈치챈 '''80년''' 뒤 미래의 [[엔도 카논]]이 그것을 막기 위해 중학생 엔도 마모루가 있는 시대로 이동한다. 조직은 엔도의 팀 결성이나 FF 참가 등을 저지하여 과거를 바꾸려 하지만 번번이 실패하자[* 카논의 방해가 있었을 줄 알았으나 카논은 후반까지 지켜보기만 하고 직접 개입하지 않는다. ~~역시 쌐카 교주 엔도 마모루~~] 결국 FF 전국대회 결승전에서 라이몬 일레븐을 직접 와해시키기 위해 오우거 학원을 과거로 보내고, 오우거의 압도적인 힘 앞에 라이몬 일레븐이 쓰러져 간다. 카논은 라이몬을 구하기 위해 [[후부키 시로|조금]] [[우츠노미야 토라마루|더]] [[키야마 히로토|미래의]] [[토비타카 세이야|강한]] [[피디오 알데나|선수들]]을 동료로 데려온다. --[[피디오 알데나|얘]]보단 [[로코코 울파|얘]]가 더 강한 선수가 아닐까--[* 로코코는 포워드로서의 실력도 피디오 이상이라 틀린 말은 아니지만 개봉 당시만 해도 오르페우스가 준결승에서 개털릴거라 예상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을 것이다. 로코코의 등장 자체가 FFI편 후반부 스포일러가 되기도 할 터이기도 하나... 이미 피디오가 등장한게 FFI편 후반부 스포일러가 된 부분이라 이 부분은 별 문제는 안된다. 진짜 문제는 로코코의 주 포지션이 GK라서 엔도와 겹치는지라 나온다면 엔도는 로코코와 교체하게될 확률이 높다는 것.] 전체적으로 1기의 총집편 격 내용이지만, 도중에 오우거 학원이나 엔도 카논이 조금씩 개입하는 부분이 있다. 후반부부터 [[오우거 학원]]이 직접 개입하면서 전개가 달라진다. TV판의 최종보스였던 [[제우스 중학교]]가 '''36:0'''이라는 말도 안되는 격차로 --농구하냐-- 준결승에서 패배하며 엄청난 파워인플레를 제시한다.[* 이 때 경기장과 선수들의 상태가 참 가관인데 경기장은 곳곳이 파괴돼 정상적인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며, 간신히 서있다 쓰러진 아프로디를 제외하면 선수진 전원이 기절해 있다. 사실상 스포츠 경기가 아니라 공을 매개로 전쟁을 했다고 봐도 믿을 수준이다.] 결승전에서 오우거와 [[라이몬 중학교]]가 맞붙는다. 결국엔 축구를 없애겠다고 오우거를 보냈다가 오히려 라이몬만 파워업 시켜 준 탓에 죽 쒀서 개 준 꼴.[* 라이몬 중학교의 실력이 제우스 중학교에게도 밀리던 수준임을 감안하면 제우스를 36:0으로 털어버린 오우거에게 카논이 개입하기 전에 역전이 불가능할 만큼 압도적인 격차로 점수를 버는 건 누워서 떡먹기다. 전반전에 자만한 게 오우거의 결정적인 패인이 된 것.] 고엔지는 맥시멈 파이어를, 키도는 프라임 레전드(고엔지와의 합동기)를, 엔도는 오메가 더 핸드를 습득했으니 이제 에일리어 학원은...[* 이나즈마 일레븐은 선수의 역량에 따라 일반슛으로 필살기를 뚫는 일이 심심찮게 일어나지만 오우거전의 라이몬은 아직 에일리어 스토리를 진행하지 않은 상황이라 역량이 낮은 상태다. 즉 맥시멈 파이어와 프라임 레전드와 오메가 더 핸드는 역량의 격차를 씹어먹을 정도의 넘사벽의 기술이라는 뜻.][* 물론 맥시멈 파이어와 프라임 레전드는 에일리어 학원측 브로커 3인방이 유카를 인질로 잡아서 슈퍼앱실론 등장 때까지 쓸 수 없게 될 확률이 높지만 그래도 오메가 더 핸드가 있기에 에일리어 학원이 엔도를 뚫는건 불가능하다.] 엔딩이 끝난 후 쿠키 영상이 있다. == 국내 개봉 == 한국에서는 2011년 5월 5일에 개봉되었는데 TV판을 수입/더빙한 [[재능방송]]이 아닌 [[투니버스]]가 배급[* 수입은 [[에이원엔터테인먼트]]가 담당.]을 맡아서 몇몇 배역의 성우들이 교체되었다. 재능판이 워낙 중복 더빙의 향연이 너무 심각한 수준이기 때문에 바꾸는 것도 무리는 아니지만 일부 성우는 아예 성우 자체를 갈아 엎었다. 오우거 극장판의 최대 피해자는 [[윤승희]]와 [[안영아]]인데 [[윤승희]]의 경우 [[카베야마 헤이고로|장벽구]]를 맡고 있었고 안영아는 [[쇼린지 아유무|소림보]]와 [[고엔지 유카|염유림]]을 맡고 있었는데, 특히 장벽구는 1기부터 쭉 같이 지내온 원년 멤버라 다른 캐릭터라면 몰라도 바꾸는 것은 아무래도 좀 무리수. 그런데 투니버스가 자사 성우로 일부 교체한 바람에 결국 [[윤승희]]와 [[안영아]]는 극장판에서 참여를 못했다. 그래서 투니버스도 이건 아니였나 싶었는지 GO 극장판에서는 다시 원조 성우로 복귀. 다만 눈보라의 성우는 [[임채헌]]에서 [[강호철]]로 바뀌었는데 이 쪽이 더 젊고 학생같은 분위기라 호평을 받았다. 허나 이 쪽도 GO에서 다시 원조 성우로 복귀. 여담으로 [[키야마 히로토|송현민]]은 TVA판에선 [[고엔지 슈야|주요 배역]]의 성우인 [[이호산]]이였는데 이번 극장판에선 [[김기흥]]으로 갑자기 바뀌어서 어색하다는 평이 많다.[* 덤으로 중복으로 맡았던 [[카게노 진|음침한]]도 [[선호제|자사 성우]]로 교체하였다.] 이후 [[투니버스]]에서 2011년 7월에 재방송했다가 2013년 3월에 [[재능TV]]에서도 재방영했다. == 평가 == ||
<:> '''[[IMDb|[[파일:IMDb 로고.svg|width=50]]]]''' || ||<:> '''[[http://www.imdb.com/title/tt1794796/ratings|유저 평점 6.8/10]]''' || ||
<:> [[Letterboxd|[[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width=130]]]] || ||<:> '''[[https://letterboxd.com/film/inazuma-eleven-the-movie/|사용자 평균 별점 없음 / 5.0]]''' || ||
<#fff><:> '''[[야후! 재팬 영화|[[파일:movies_r_34_2x.png|width=100]]]]''' || ||<:> '''[[https://movies.yahoo.co.jp/movie/%E5%8A%87%E5%A0%B4%E7%89%88%E3%80%80%E3%82%A4%E3%83%8A%E3%82%BA%E3%83%9E%E3%82%A4%E3%83%AC%E3%83%96%E3%83%B3%E3%80%80%E6%9C%80%E5%BC%B7%E8%BB%8D%E5%9B%A3%E3%82%AA%E3%83%BC%E3%82%AC%E8%A5%B2%E6%9D%A5/337329/|네티즌 평균 별점 3.70/5.0]]''' || ||
<:> '''[[엠타임|[[파일:Mtime Logo_Transparent.png|width=100]]]]''' || ||<:> '''[[http://movie.mtime.com/141285/|네티즌 평균 별점 없음/10.0]]''' || ||
<:> '''[[도우반|{{{#000000 douban}}}]]''' || ||<:> '''[[https://movie.douban.com/subject/4903534/|사용자 평균 별점 7.3/10.0]]''' || ||
<:> '''[[watcha|{{{#FFFFFF 왓챠}}}]]''' || ||<:> '''[[https://watcha.net/mv/ju-chang-ban-2010|사용자 평균 별점 3.0 / 5.0]]''' || ||
<:><-3> '''[[네이버 영화|{{{#FFFFFF 네이버 영화}}}]]''' ||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83097|기자, 평론가 평점[br]없음/10]]'''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83097|관람객 평점[br]없음/10]]'''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83097|네티즌 평점[br]8.39/10]]''' || ||
<:><-2>'''[[다음 영화|{{{#adc900 다음 영화}}}]]''' || ||<:> '''[[http://movie.daum.net/moviedb/grade?movieId=62869&type=columnist|기자/평론가 평점 [br] 없음 / 10]]''' ||<:> '''[[http://movie.daum.net/moviedb/grade?movieId=62869&type=netizen|네티즌 평점 [br] 8.7 / 10]]''' || [[분류:이나즈마 일레븐 시리즈/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0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