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크레용 신짱 - 극장판)] ||<-2> '''[[짱구는 못말려/극장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1c1c; font-size:16px" {{{#fff 극장판}}}}}} {{{+1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2c2cc4;display:inline-block" 짱구는}}}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ea1c1c;display:inline-block" 못말려}}}}}}]]{{{+1 :}}}[br]{{{+1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f300, 0px 1px #fff300, -1px 0px #fff300, 0px -1px #fff300, 1px 1px #fff300, 1px -1px #fff300, -1px -1px #fff300, -1px 1px #fff300; display:inline-block" {{{#e94023 동물}}}{{{#!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f300, 0px 1px #fff300, -1px 0px #fff300, 0px -1px #fff300, 1px 1px #fff300, 1px -1px #fff300, -1px -1px #fff300, -1px 1px #fff300; display:inline-block" {{{#e94023 소환}}}}}} {{{#cc141e 닌자}}} {{{#ec1e80 배꼽수비대}}}}}}}}}''' {{{#fff (2023)}}}[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1c1c; font-size:13px" {{{#fff 映画}}}}}}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2c2cc4;display:inline-block" クレヨン}}}{{{#!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ea1c1c;display:inline-block" しんちゃん}}}:[br]{{{#!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f300, 0px 1px #fff300, -1px 0px #fff300, 0px -1px #fff300, 1px 1px #fff300, 1px -1px #fff300, -1px -1px #fff300, -1px 1px #fff300; display:inline-block" {{{#e94023 もののけ}}}{{{#cc141e ニンジャ}}}{{{#ec1e80 [ruby(珍, ruby=ちん)][ruby(風, ruby=ぷう)][ruby(伝, ruby=でん)]}}}}}}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파일:짱구 30기 국내판 메인포스터.jpg|width=100%]]}}} || ||<-2><^|1>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키 비주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배꼽수비대1.jpg|width=100%]]}}} || || '''한국판 티저 비주얼''' ||}}}}}}}}}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5>
'''[[짱구는 못말려/극장판|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시리즈''' ||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수수께끼! 꽃피는 천하떡잎학교|극장판 짱구는 못말려:[br]수수께끼! 꽃피는 천하떡잎학교]] || →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br]동물소환 닌자 배꼽수비대''' || → ||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더 무비: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김밥~]] || ||<-5> ||}}} || || '''장르''' ||[[애니메이션]], [[개그물|코미디]], [[일상물|일상]], [[판타지]], [[액션물|액션]], [[스릴러]], [[닌자]] || || '''감독''' ||[[하시모토 마사카즈]] || || '''각본''' ||우에노 키미코(うえのきみこ)[br][[하시모토 마사카즈]] || || '''원작''' ||[[우스이 요시토]] || || '''출연'''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코바야시 유미코]], [[나라하시 미키]], [[모리카와 토시유키]], [[코오로기 사토미]], [[마시바 마리]] 外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영남]], [[강희선]], [[김환진]], [[여민정]], [[정유미(성우)|정유미]] 外 ||}}} || || '''총 콘티''' ||[[하시모토 마사카즈]][br][[쿠노 요코]][br][[미하라 미치오]][br]미우라 요우(三浦 陽) || || '''연출''' ||미우라 요우(三浦 陽)[br]스즈키 다이시(鈴木大司)[br]히라무키 토모코(平向智子)[br]사사키 시노부 (佐々木忍)[br][[쿠노 요코]] || || '''캐릭터 디자인''' ||[[쿠노 요코]][br][[스에요시 유이치로]] || || '''작화 감독''' ||하리가야 히데오(針金屋英郎)[br]하라 카츠노리(原 勝徳)[br]오오모리 타카토시(大森孝敏)[br][[스에요시 유이치로]] || || '''색채 설계''' ||야마자키 다이스케(山﨑大輔) || || '''미술 감독''' ||미나타니 토오루(皆谷 透)[br]미하라 노부아키(三原伸明) || || '''미술 설정''' ||시오자와 요시노리(塩澤良憲) || || '''촬영 감독''' ||우메다 토시유키(梅田俊之) || || '''특수 효과''' ||사토 카오리(佐藤香織) || || '''CGI''' ||츠츠미 노리유키(つつみのりゆき)[br]이츠카 치카(飯塚智香) || || '''편집''' ||무라이 히데아키(村井秀明) || || '''음향 감독''' ||오오쿠마 아키라(大熊 昭)[br]아이이소 다이키(相磯大貴)^^보좌^^ || || '''음향 효과''' ||쇼지 마사히로(庄司雅弘)[br]이와키리 케이타(岩切慶太) {{{-2 (Fizz Sound Creation)}}} || || '''효과 감수''' ||마츠다 아키히코(松田昭彦) || || '''음악''' ||아라카와 토시유키(荒川敏行)[br]미야자키 신지(宮崎慎二) || || '''TV 애니메이션[br]프로듀서''' ||쿠니야스 신이치(國安真一) || || '''Co. 프로듀서''' ||니시카와 유카리(西川由香里) || || '''어시스턴트[br]프로듀서''' ||칸노 아유미(菅野あゆみ) || || '''프로듀서''' ||콘도 케이치(近藤慶一)[br]사노 케신(佐野敬信)[br]아키야마 노리코(秋山倫子)[br]마스오 토오루(増尾 徹) || || '''치프 프로듀서''' ||야마자키 사토시(山﨑智史)[br]오노 히토시(小野 仁)[br]츠루사키 리카(鶴崎りか)[br]스즈키 켄스케(鈴木健介) || || '''제작사''' ||[[신에이 동화]][br][[테레비 아사히]][br][[ADK]][br][[후타바샤]]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CJ ENM]] || ||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도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CJ ENM MOVIE]] || ||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4월 2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23년]] [[5월 4일]] || || '''발매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11일]] {{{-2 ([[Blu-ray Disc|Blu-ray]], [[DVD]])}}} || || '''화면비''' ||1.78:1 || || '''상영 타입''' ||[[2차원|2D]] ^^(디지털 자막 | 디지털 더빙 | [[가치봄]])^^ || || '''상영 시간''' ||100분 (1시간 39분 45초) || || '''월드 박스오피스''' ||$13,480,355 ([[2022년]] [[5월 21일]] 기준) || || '''수익''' ||약 20.1억엔|| || '''대한민국[br]총 관람객''' ||'''731,972명''' ([[2023년]] [[7월 10일]] 기준) || || '''스트리밍''' ||[include(틀:TVING 표시)] [[https://www.tving.com/contents/M000374462|▶]][br][include(틀:네이버 시리즈온 표시)] [[https://serieson.naver.com/v2/mcode/228545|▶]] || || '''상영 등급'''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일본|[[파일:영륜 G 로고.svg|height=3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전체 관람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height=3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 || '''공식 홈페이지''' ||[[https://www.shinchan-movi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rayon_official, 크기=24)] || || '''엠블럼''' ||[[파일:30기 짱구.png|width=60]] || [목차] [clearfix] == 개요 == >'''はじまリは, 「しんのすけ」の 生まれた日。''' >'''시작은 '짱구'가 태어난 그날!''' >---- >'''[ruby(내일을 살아라, ruby=明日を、生きて。)]''' [[짱구는 못말려/극장판|크레용 신짱 극장판 시리즈]]의 30번째 작품이자 [[짱구는 못말려]] 애니메이션 방영 30주년 기념작이다. [[일본]]에서는 [[2022년]] [[4월 22일]]에 개봉했다. 감독은 [[엄청 맛있어! B급 음식 서바이벌!|21기]],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23기]], [[습격!! 외계인 덩덩이|25기]],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27기]]를 맡았던 [[하시모토 마사카즈]]이며, 각본은 [[하시모토 마사카즈]] 감독과 21기, 23기,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26기]], 27기, [[수수께끼! 꽃의 하늘떡잎 학원|29기]]를 집필한 우에노 키미코가 맡았다.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짱구는 못말려 30기 극장판.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짱구는 못말려 30기 극장판 키비주얼3탄.jpg|width=100%]]}}} || || '''티저 비주얼''' || '''메인 비주얼'''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CAaickO4gM)]}}} || || '''1차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IYJnXfI1kk)]}}} || || '''2차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XCS-WJA_Xs)]}}} || ||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eoMwh6Ekyg)]}}} || || '''국내 예고편(CGV)'''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5tOU3f4O6E)]}}} || || '''국내 티저 PV''' || == 시놉시스 == > [[파일:月刊まんがタウン 2022年5月号.jpg|width=300]] >아빠와 엄마 사이에서 짱구가 탄생한지 5년. 태풍같은 평화로운 나날을 보내는 듯 싶었으나... >어느날 '치요메'라는 정체불명의 여인이 짱구네 가족에게 찾아와 충격적인 발언을 한다. > >'''"제가 바로, 짱구의 친어머니 입니다."''' >그리고 짱구네 가족의 진짜 친자식이라며 데려온 또다른 5살 남자아이 > >갑작스러운 일에 황당해하는 짱구네 가족 >하지만 힘들게 찾아온 듯한 둘을 그냥 돌려 보낼 수는 없었기에 둘을 하룻밤 재우기로 한다. > >그날 밤 갑자기 의문의 닌자 군단이 짱구네 집을 습격 하는데, >치요메의 정체는 닌자 마을에서 빠져나온 여닌자였던 것이다! >닌자 군단은 그녀는 물론 그녀의 친자식 짱구까지 함께 납치해버리고... > >닌자 마을에는 지구의 에너지를 지키는 거대한 순금 마개 '지구의 배꼽'이 있는데, >이것을 치요메 가문 대대로 전해내려오는 '모노노케 주술'로 지켜왔다고 한다. >만약 이 마개가 없어지면 지구는 에너지가 모조리 빠져나가 쪼그라들고 자전이 멈춰서 '내일'이 사라져 버린다! > >하지만 마개를 지키는데 반드시 필요한 모노노케 주술은 >사용하면 할 수록 '인간성'을 잃어버리는 굉장히 위험한 주술이라는데?! >거기에 신짱구는 가문의 친자식으로서 그 모노노케 주술로 마개를 지키는 임무를 이어받게 되고... > >지구의 미래를 지킬 것이냐, 전(前)부모의 품에 돌아갈 것이냐 >그리고 짱구가 탄생한 날 숨겨졌던 비밀이란? 이번 극장판의 소재는 [[닌자]]인데, 여기에 '''사실 [[노하라 신노스케|신짱]]이 [[노하라 히로시|히로시]]와 [[노하라 미사에|미사에]]의 자식이 아니라 닌자의 자식'''이라는 [[출생의 비밀|파격적인 이야기]]를 다룬다. == 등장인물 == === 카스카베 / 떡잎마을 === * '''[[노하라 신노스케]] / 신짱구''' - CV. [[코바야시 유미코]] / [[박영남]] {{{#!folding [스포일러] 헤소가쿠레 가 사람들이 방문한 다음날 새벽에 화장실을 가다가, 치요메와 자객들이 싸우는 걸 보고 미사에의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다 잡혀간다. 잡혀간 후에는 닌자 마을에 들어가면서 동행자가 암호를 말할때 시덥지 않은 개그를 한 탓에 동행자만 수리검 세례를 맞게 한다. 잠옷을 벗고[* 이 때 잠옷이 날라가는 연출이 나오는데 어떤 침팬지가 그걸 주워 입어 가족들이 마을로 찾아올 때 이 침팬지를 신짱으로 착각했다.], 닌자 옷으로 갈아입은 뒤 장로와 만났을 때는 '모노노케 술을 보여라'라는 말에 바나나로 전화받는 흉내로 '[ruby(사물개그,ruby=모노보케)] 술'을 선보인다. [* 더빙판에서는 전화하는 것에서 착안하여 동물배달술로 번역했다.] 자신의 새로운 아버지인 고마에몬에게 흥미를 보이며, 스마트폰으로 셀카를 찍다가, 장로에게 스마트폰을 빼앗긴다. 다음 날, 치요메가 어렸을때 입었던 옷을 입고 닌자 유치원으로 가는데, 신짱은 그루터기 의자에 누워서 듣는 등 게으름을 피운다. 후우코와 결투를 했을 땐, 신짱 성격 답게 진지하게 임하지도 않다가[* 후우코가 일으킨 꽃바람 속에서 [[에로변신술|탈의를 하거나]], 인법이라고 외쳐 후우코를 당황시킨 뒤에 '낮의 엄마', '일요일의 아빠'라고 하거나, 장식끈으로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신혼여행 허리케인 |뱀놀이]]를 하거나, 손나비를 보여주거나...] 후우코가 우산으로 공격할때, 엉덩이춤과 분신술을 동시에 사용하는 명기를 보인다. 장로가 뺏어간 스마트폰을 되찾기 위해 후우코와 함께 성에 쳐들어가서 스마트폰을 강탈하고 히로시와 전화를 하지만, 배터리가 방전돼버린다. 성에서 탈출한 뒤에는 후우코가 자기 어머니와 돌아가는 모습을 보고는 부모님이 그리워지고, 잠을 청한다. 꿈 속에서 과거 회상을 하다 눈물을 흘리게 된다. 아빠와 엄마가 아기때부터 지금까지 다정하게 때론 화내면서 부르는 짱구야(신노스케, 신짱)의 회상이 꽤 감동적인 장면.[* 특별한 장면 회상이 아닌 일상과 짱구의 할아버지들부터 친구들, 선생님들이 등장해 특별하진 않지만 잔잔한 울림을 준다.][* 장면이 뒤로 갈수록 수채화와 일러스트 느낌을 내며 아빠와 엄마의 짱구야 대사가 계속 이어지며 이 장면만큼은 정말 감동적인 '''30주년작 기념 명장면'''이라고 칭하는 팬들이 많다.] 이 회상으로 자신이 누군가와 자신이 어디에 있어야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다음 날 아침에 집을 나가게 된다.[* 경호 닌자들이 "기다려, 헤소가쿠레 친조우."라고 부르자, '''"(내 이름은) 노하라 신노스케라고!!"'''라며 소리치며 뛰쳐나가는 모습도 꽤나 인상적.] 길을 가다가 넘어져서 무릎이 까친 걸 보고는 울먹거리고, 겨우 자기 가족들과 재회하게 된다. 지구의 배꼽을 찾기 위해 친조우에게 배운 '모노노케 술'로 불러낸 짐승은 문어 다리.[* 사용자가 짐승처럼 변하는 모노노케 술의 반동으로 신짱의 엉덩이에 문어 다리가 꼬리처럼 나왔다.] 본인 왈, 배고프다고...[* 그 다음 장면에서 신짱은 [[타코야끼]]를 먹고 있다.] 배꼽을 옮기던 도중에 좀 도우라는 카자마의 쿠사리에 한 번 더 모노노케 술을 사용해서 [[직무유기|양을 소환해서 잘려고도 했다.]] 또 후반부에는 거대한 시로를 소환했고, 시로와 똑같은 귀와 꼬리를 얻었다. 친조우의 도움과, 후우코의 바람 일으키기, 시로의 솜사탕으로 배꼽을 눌러버려[* 마개를 아주 깊게 박아버려서 당분간 마개가 빠질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세상을 구하게 된다. 배꼽을 누를 때, 배꼽을 엉덩이라고 부른건 덤. }}} * [[노하라 미사에]] / 봉미선 - CV. [[나라하시 미키]] / [[강희선]] 히마와리를 임신했을 때는 히마와리가 먹고 싶은 거라면서 대식을 했다고 신짱이 언급했다.[* 다만 이건 극장판 한정 개그. 원작에서는 오히려 히마를 임신하는 동안 [[입덧]]으로 고생하는 에피소드가 있었다. 임신 때는 변덕이 심하니까 왔다갔다 했을 수도 있고...] {{{#!folding [스포일러] 신짱이 사라졌을 때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가져갔다는 사실을 알고선, GPS로 닌자 마을을 찾아낸다. 히로시가 그림자 자객들의 방해로 강이 빠질 위험에 쳐했을땐, 잠수와 수영으로 자객을 처치해버렸다.[* 친조우가 강에는 악어가 산다고 언급해서, 수영으로 강을 건너려던 히로시를 말렸는데, 오죽했으면 히로시가 악어인 줄 알았다고 말했다.] 닌자 마을에선 닌자들을 한 팔에 한 명씩 들고 돌렸으며, 엉덩이 찍기로 해치웠다. 치요메에게 혼자서 감당하지 말고 자신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라고 말하면서 치요메가 만든 꼭두각시를 조종하는데 가장 힘썼고, 출산이 얼마 남지 않은 치요메에게 자신의 스마트폰을 빌려줬다. }}} * [[노하라 히로시]] / 신영식 - CV. [[모리카와 토시유키]][* 같은 닌자물인 [[나루토]]에서 [[나미카제 미나토]]를 맡았다. 공교롭게도, 둘 다 주인공의 아빠다.] / [[김환진]] >'''"부모란 건 말이야, 자식을 위해선 모든 할 수 있단 말이야! 인법, 부성애~"''' {{{#!folding [스포일러] 닌자 마을로 가기 위한 강을 건널 때, 자객의 방해로 물에 빠질 뻔했다. 닌자 마을 문에서 암호를 틀려서, 수리검 세례를 맞을 땐, 감시하는 구멍 사이로 양말 냄새를 퍼트려서 문을 열고, 친조우도 어떻게 인법을 쓴거냐며 감탄했다. 후반부에는 부상당한 고마에몽을 업고, 치요메가 산부인과에 입원하는 동안 미사에와 함께 꼭두각시를 조종하는 데 힘썼다. }}} * [[노하라 히마와리]] / 신짱아 - CV. [[코오로기 사토미]] / [[여민정]] {{{#!folding [스포일러] 별로 행적은 없어 보였는데, 후반부에 히마와리의 활약상이 밝혀졌다. 중간에 왠 꽃미남이 나타나 미사에와 자신을 습격한 자객을 해치우고 사라졌는데 후반부에 밝혀지길 이는 히마와리가 모노노케술로 소환한 짐승이었다.[* 이야기가 진행되며 친조우의 할아버지가 밝하길, 어린아이들의 동심으로 마음속에 있는 동물을 소환한다고 했는데 히마와리의 마음속에는 꽃미남이 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후반부에서도 다시 꽃미남을 소환하여 절벽에서 떨어진 히로시, 미사에, 시로를 구해주기도 하였다. 고마에몽 이후로 두번째, '''미성년자 캐릭터 중에서 최초로 모노노케 술을 선보였다.''' }}} * [[시로(크레용 신짱)|시로]] / 흰둥이 - CV. [[마시바 마리]] / [[정유미(성우)|정유미]] 시로가 많이 보였지만 정작 __시로 본인이 등장해서__ 한 활약은 별로 없는 편. 친조우가 시로로 변장해서 시로의 집에 앉아 있거나, 장로의 올빼미를 보고 짖다가 깃털에 놀라기도 하고 신짱이 모노노케 술로 소환한 짐승 중 하나로 등장했다. 활약으로, 지면의 열로 몸을 강화하는 그림자 자객이 땅에서 나오려고 할 때, 뒷발로 모래뿌리기를 했지만, 효과가 있었다는 연출은 없었다. 굳이 활약을 찾자면 초반에 짱구가 '솜사탕' 명령을 내렸을 때, 솜사탕처럼 몸을 둥글게 잘 말아보인 정도. * [[카자마 토오루]] / 김철수 - CV. [[마시바 마리]] / [[여민정]] {{{#!folding [스포일러] 친조우에게 배운 '모노노케 술'로 불러낸 짐승은 돼지였다. [* 돼지가 지능이 높다는 걸 생각하면 토오루하고 의외로 어울릴지도?] }}} * [[사쿠라다 네네]] / 한유리 - CV. [[하야시 타마오]] / [[정유미(성우)|정유미]] >'''"[[메타발언|어디에나 있는 흔하디 평범한 가족에 사유가 있는 듯한 사람... 대체 뭘까...? 이 가슴의 웅성거림은... 흔하디 흔한 가족에게 찾아온 폭풍의 예감...]]"'''[* 직감으로 말한게 아니라 치요메와 히로시,미사에 간의 대화를 몰래 엿들었다.] {{{#!folding [스포일러] 친조우에게 배운 '모노노케 술'로 불러낸 짐승은 호랑이였다.[* 맹구에 의하면 종은 벵골호랑이 ][* 소환 전에 본인은 귀여운 토끼를 원했다. 마사오가 니가 사나우니까 호랑이가 나온거라며 디스하다가 네네에게 쿠사리를 먹는다.] }}} * [[사토 마사오]] / 이훈이 - CV. [[이치류사이 테이유우]] / [[정혜옥]] {{{#!folding [스포일러] 축제 당일에 짱구가 오지 않아, 철수와 친구들은 짱구를 찾으러 떠나고 방위대원중 혼자서 무대에 남다가, 지구의 배꼽이 낙하하면서 생긴 폭발에 휘말려 액션가면 동상에 팬티가 끼어 매달린다. 친조우에게 배운 '모노노케 술'로 불러낸 짐승은 거북이였다.[* 소환 전에 본인은 백수의 왕 사자를 원했다.] 배꼽을 굴리는 데 도로에 고양이가 지나가자 배꼽을 본인의 등껍질 위로 굴려서 고양이가 피하게 하는 기여를 했다. }}} * [[보오]] / 맹구 - CV. [[사토 치에]] / [[강희선]] {{{#!folding [스포일러] 친조우에게 배운 '모노노케 술'로 불러낸 짐승은 [[트리케라톱스]]였다. }}} * [[액션가면]] - CV. [[겐다 텟쇼]] / [[현경수]] 액션가면 축제 섭외 때문에 행사장에서 스케줄을 소화하러 갔지만 사회를 보던 개그맨들끼리 만담을 하는 바람에 소개를 하기도 전에 황금마개가 행사장을 덮쳐버렸다. 아이들이 마개를 운반할 때 응원한 것 말고는 사실 한게 없다. * [[노하라 긴노스케]] / 신돌식[*f 회상장면][*A 대사는 없다.] * [[노하라 츠루]] / 이옥분[*f 회상장면][*A] * [[코야마 요시지]] / 봉선달[*f 회상장면][*A] * [[코야마 히사에]] / 이영선[*f 회상장면][*A] * [[키타모토 레이코]] / 남춘애[*A] * [[요시나가 미도리]] / 채성아[*f 회상장면][*A] * [[마츠자카 우메]] / 나미리[*f 회상장면][*A] * [[카와무라 야스오]] / 치타[*f 회상장면][*A] * [[히토시 & 테루노부|테루노부]] / 광태[*f 회상장면][*A] === 헤소가쿠레 가 / 배꼽지기 가 === [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조력자)] 헤소가쿠레는 '[[배꼽]](헤소)을 숨기다(가쿠레)'라는 의미가 있는데, 작중 닌자들이 '지구의 배꼽'을 틀어막는 임무를 맡고 있다. 마침 [[키리가쿠레 사이조]]같은 닌자도 있어 이를 상징하여 합친 [[캐릭토님]]으로 보인다. [br][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히로인)] * 헤소가쿠레 치요메 / 윤나르하 - CV. [[카와에이 리나]] / [[안영미(성우)|안영미]] '''본작의 히로인.'''[*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포효하라! 떡잎 야생왕국|극장판 17기]]의 [[시젠 요시코|빅토리아]] 이후, '''13년만에 등장한 [[유부녀]] 히로인'''이다.] PV에서부터, 신노스케의 친엄마라며, 고릴라를 남편으로 두고 있는 수상한 쿠노이치 캐릭터. 청초한 미녀로 그려진다. [[존댓말 캐릭터|신짱과 친조우에게도 존댓말을 사용한다.]] 태어날 것 같다는 말장난을 치는 것[* "우마.. 우마... 우마이! 이 아이가 그렇게 말하고 있어요."라는 헛소리를 했다가 진짜 애가 태어나는 줄 알고 히로시와 미사에가 당황했다. ("[ruby(태어나다,ruby=우마레루)]"와 "[ruby(맛있다,ruby=우마이)]"가 발음이 비슷하다.)]과 복화술로 뱃속의 아기인 척 사람들의 질문에 대답하는 행동으로 부드러운 성격을 보인다. {{{#!folding [스포일러] >'''"죄송합니다... 이런 일[* 신노스케가 닌자 마을로 납치당한 일.]까지 벌어져서... 애가 바뀌었다는 건 거짓이었습니다."''' '''아이가 바뀌었다는 건 거짓이었다는 사실'''이 중후반부에 직접적으로 밝혀진다. 히로시가 노하라 가에 찾아온 병원장에 손을 대려는 순간, 치요메는 시간 정지를 해서 병원장을 없애고, 저녁 밥상을 피자를 차리며[* 바깥 생활이 익숙하지 않은지 밥과 함께 피자를 반찬으로 먹는다.], 노하라 가와 친조우 가가 동거하기로 합의했다고 기억 조작을 한다. 사실, 병원장의 정체는 꼭두각시였다. 새벽에 침입한 자객들을 상대하다가, 신짱에게 들키게 되고, 둘은 닌자 마을로 끌려가게 된다. 닭으로 둔갑하는 재주를 보이며, 몰래 모노노케 술없이 배꼽을 막을 수 있는 거대한 꼭두각시를 만들게 된다. 그런데 조종하는 것 생각 안했는지 혼자서는 안되고 미사에와 둘이서 힘들게 움직여야 했다. 신짱과 친조우로 바꾼 이유는 마을에서 만든 물건을 바깥의 파는 일을 했는데 진통으로 바깥 산부인과에서 진구를 낳을 당시 같은 병실에서 노하라 가의 행복해보이는 모습을 보고 배꼽만을 지키기 위해 키우는 것보다 (배꼽을 동물소환술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지킬 수 있을 때까지) 평범한 아이처럼 노하라 가에서 키우는 게 친조우를 더 행복하게 해줄 수 있을 거라고 말한다.[* 동물소환술을 계속 쓰면 술자도 동물이 되어 버린다.] 후반부에는 진통이 오자 노하라 가에게 꼭두각시를 조종하는 일을 맡기고 산부인과에 입원한 뒤 친조우의 동생을 낳게 된다. }}} * 헤소가쿠레 친조우 / 제갈진구(대진구)[* 중반부 스포일러를 방지하지 위해 PV에선 "진구"라고만 언급되었다.] - CV. [[타카가키 아야히]] / [[채림(성우)|채림]] '''본작의 서브 주인공.''' 신짱과 달리 언행이 예의 바르다. 엄마랑 똑같은 존댓말 캐릭터다. 1인칭은 무려 소자([ruby(拙者,ruby=셋샤)]). 아빠랑 엄마는 각각 아버님([ruby(父上,ruby=치치우에)]), 어머님([ruby(母上,ruby=하하우에)])라고 부르고, 첫 식사 장면에서 어른보다 수저를 들던 신짱과 달리, 친조우는 치요메에게 먹어도 되냐고 허락을 받았을 정도로 5살이라고 보기 힘들 정도로 어른스럽다. 작중 내내 신짱에게서 "요로치쿠비", "브라자"라는 이상한 말투를 배우게 된다. 노하라 가에 왔을 때는 카스카베 방위대가 추는 춤에 흥미를 갖게 된다. {{{#!folding [스포일러] 사실은, 치요메가 친조우를 행복하게 해주기 위해서 아이가 바뀌었다는 말이 거짓이라는 게 중후반부에 직접적으로 밝혀진다. 닌자지만 모노노케 술을 쓰지 못한다고 한다. 초중반부에 동물귀와 꼬리가 나오고, 본인 모노노케 술로 소환하는 짐승이 늑대일 걸 예상했지만, 히로시가 준 햄버거를 먹는 모습은 마치 도토리를 먹는 다람쥐처럼 보인다(...) 외전 에피소드에서의 묘사를 보면 다른 술법은 잘 쓴다. 후반부에는 카스카베 방위대가 춤을 추는 모습을 보고, 자신도 같이 추고 싶었지만, 방위대원들이 세상을 구하기 위해 흩어지자, 자신도 놀고 싶다는 떼를 쓰며 울기 시작한다.[* 후술할 헤소가쿠레 할아버지의 발언과 친조우의 능력의 관계를 생각해보면 아주 안타까운 장면. 모노노케 술 자체가 아이들 놀이로부터 생긴 술법이며 어린아이라면 자유롭고 모두 쓸 수 있지만 친조우는 친구들과 놀고 싶음을 참으며, 집에서 술법 연습만 하였고 예의를 차리며 자신의 나이보다 [[조숙]]한 모습을 보여주며 동심을 자제하고 자유로움이 없었기에 모노노케 술을 쓸수 없었던 것. 복선이 하나 있는데 친조우가 노하라 가에 들어가기 전에 틈 사이로 신노스케가 액션가면 슈트 사달라며 떼를 쓰는 걸 보고 있었다.][* 또한 외전 에피소드에 따르면, 신노스케가 닌자마을로 가게된 첫 날, 친조우는 시로로 변장해있다가 카스카베 방위대 대원이 짱구라고 착각해 공원으로 끌고가 춤을 배워 춤을 추었고, 동네 나쁜 형들에게 괴롭힘을 받던 마사오를 구해주어 당시 친구가 없던 친조우에게 친구와 우정에 대해 배울 수 있게 된 계기가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더빙판 23기 14화 참조.] 카스카베 방위대원들에게 모노노케 술을 가르쳐주려고 하다 용기가 나지 않자, 고마에몽에게 격려를 듣고 다같이 시도한 결과, 6명이 동시에 성공한다. 본인은 늑대를 원했다만, 불러낸 짐승은 날다람쥐. 불평했던 마사오나 네네랑은 달리, 귀여운데다 아빠 냄새가 난다고 좋아했다. 다른 모노노케 짐승들과 함께 배꼽을 원위치 시키는 데 성공하고, 동생을 얻게 된다. 최후반부에는 자택에서 액션가면 코스프레를 하고 신짱과 노는 모습을 보였다. }}} * 헤소가쿠레 고마에몬 / 대성성 - CV. [[하나에 나츠키]] / [[황동현(성우)|황동현]] 친조우의 아버지. PV에서부터 모노노케 술로 거대한 고릴라를 소환해서 배꼽을 밀어넣는 장면으로 등장. 고릴라라서 할 줄 아는 말이 적다. 과거에 평범한 인간이었는데 모노노케 술의 영향으로 고릴라가 된 것이다. 치요메의 언급에 의하면 친조우의 일은 치요메에게 맡긴 채 배꼽 막는 것에 전념해왔던 듯 하다. 이 때문에 치요메는 고마에몬의 심정을 이해하면서도 그래도 같이 상의하고 의논해야 하지 않냐며 서운한 감정을 드러낸다. {{{#!folding [스포일러] >'''"친조우, 너라면 반드시 할 수 있어. 근데, 설령 모노노케 술을 못쓴다고 해도, 넌 아빠의 소중한 아들이다."'''' 폭주하는 배꼽을 막다가 노하라 가와 친조우, 치요메가 장로에게 철대야를 맞을 위기에 처하자, 거대 고릴라로 막아내지만, 배꼽을 막지 못해 고릴라는 절벽에 박히고 그로 인해 생긴 낙석에 부상을 입게 된다. 배꼽을 옮기는 데 도움을 주고 싶었지만, 부상때문에 소환한 고릴라가 신짱의 허리만큼 작게 소환되었다. 산부인과에 입원하게 된 치요메 곁에 있어주고, 둘째를 얻게 된다. }}} * 헤소가쿠레 할아버지[* 본명은 나오지 않는다.] - CV. [[김영찬(성우)|김영찬]] 친조우의 할아버지로 외형은 나무늘보다. {{{#!folding [스포일러] >'''"모노노케술은 원래, 자유로운 아이들이 놀면서 만들어낸 인법... 아이라면 누구나 쓸 수 있는 술이[[조숙|었]]다."''' 후반부에 감옥에 갇힌 노하라 가와 헤소가쿠레 가를 구하기 위해 자객들을 처치하고 철창을 칼질로 부숴버리는 모습은 간지 폭풍. 노하라 가 대신에 히마와리를 안고 이동해준다. }}} === 기타 닌자들 === * 후우코 / 강바람 - CV. [[아마미야 소라]] / [[박이서]] 친조우의 친구. 장로의 명으로 신노스케를 밀착 감시하고 있다. 신짱의 마이페이스적인 성격 탓에 친조우라고 알고 있는 신노스케를 한심하게 여긴다. 그러다가 신짱이 스마트폰을 찾으러 성 안에 침입했을 때 같이 말려들면서 장로의 실상을 알게 되고 기어이 스마트폰을 찾아온 짱구를 어느 정도 인정하게 된다. 닌자술 실력은 꽤 우월한 편. 후반부에 배꼽을 넣으려는 신짱과 친조우를 바람 일으키기로 시로를 날려버리는 것으로 도와준다. 엔딩에선 카스카베 방위대와 친조우랑 다 같이 공원에서 노는 모습을 보였다. * 후우코 엄마/바람 엄마 - CV. [[치후유(성우)|치후유]]/[[이달래]] 후우코와 같이 집으로 돌아가는 것을 본 신노스케가 가족애를 깨닫고 떡잎마을로 돌아가기로 결심하는 계기를 간접적으로 제공했다. * 장로 / 촌장 - CV. [[우라야마 진]][* 노린 건진 모르겠지만 닌자보이 란타로의 [[오오카와 헤이지 우즈마사|교장선생님]]과 동일한 성우다.] / [[손종환]][* [[짱구 극장판 26기]]에서 악역 [[돈빵빵]]을 맡았다.] [[파일:2022-12-05-01-59-13-339.jpg]] 닌자 마을의 장로. 사람 머리 위에 철대야를 소환하는 술법을 사용하는데, 술법 자체는 별 볼일 없어보이지만 엄청나게 큰 특대 철대야를 소환할 수도 있다. 성 안에서 부하가 갖고 온 찐빵을 먹는데, 속이 으깬 팥이 아니라 통팥임에 화나는 모습으로 등장. 모노노케 술을 사용 못하는 신짱을 닌자 유치원에 다니게 하고 사흘 안에 모노노케 술을 익혀오라는 명령한다. 셀카를 찍는 신짱에게서 [[꼰대|마을 밖 물건을 가져오는 것은 금지라며 스마트폰을 압수하지만]] 정작 본인은 신짱이 스마트폰을 찾으러 성 안에 침입했을 때는 태블릿을 사용해 인터넷으로 ~~멍청한 악어~~ 동영상을 보며 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신노스케가 마을에서 도망치고 노하라 가가 침입했을 때는 본인은 집에서 게임기로 [[동물의 숲]]을 하는 등 그야말로 [[내로남불]]스러운 행보를 보인다.[* 복선으로, 히로시가 미사에의 스마트폰에 전화를 걸었을 땐, 각종 피규어와 스마트폰 옆에서 만화책 시리즈 근처의 보이는 책 옆면이 보였다.]추가로 노하라 가를 감시한 올빼미도 이 사람의 것이다. {{{#!folding [스포일러] [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최종보스)] >'''"[[이기주의|지구가 어떻게 되든... 이 초순금은 누구에게 못 넘겨줘!!]]"''' '''본작의 메인 빌런''' 전반부에 당장 3일안에 신노스케를 닌자유치원에 보내 동물소환술을 가르치라고 치요메에게 윽박지르고 치요메가 장로에게 마개를 깎아서 마개가 빠져나가는 게 아니냐고 말하는 걸 무시했는데 후반부 닌자들과 노하라 일가의 전투 과정에서 배꼽이 빠져나가 지구가 멸망할 위기에 빠진다. 이에 장로는 대체용 배꼽 마개를 만들어 배꼽을 막고, 기존에 쓰던 순금으로 만들어진 배꼽 마개의 금을 가져가기 위해 화둔으로 금을 녹이거나 못과 망치로 깨부수려고 한다. 이를 치요메가 막으려고 했지만, [[용사 주제에 건방지다|"쿠노이치 주제에 건방지다!"]]라며 손을 후리쳤다. 하지만 대체용 배꼽 마개가 허무하게 날아가버리자 배꼽 마개를 담당하던 부하에게 자기 입으로 썩어빠진 근시안적 진심을 내뱉는다. 결국 닌자들이 말을 듣지 않자, 자기 말을 듣지 않는 닌자들에게 철대야를 소환하려 했지만, 곁에 있던 쿠노이치에게 제지당하고[* 장로가 철대야 인법을 쓸 때의 손모양을 보면, 철대야를 소환한 뒤에, 손바닥으로 주먹을 쳐서 떨어트리는 방식이었다. 쿠노이치는 장로의 손을 장로의 이마로 뿌리쳐서 장로가 철대야에 맞게 한다.] 철대야에 태워진 채 강으로 던져버리면서 퇴장. 그를 던져버린 쿠노이치 왈, "[[다크 히어로|지구 지키는 걸 도와주려고 옆에 있었지 네 사리사욕 채우는 거 도와준다고는 안 했다.]]" "쿠노이치를 얕보지 마라"라며 장로를 쓰러뜨리고 강제로 유배시키는 데 일조했다.[* 그렇게 참교육 후, 그 쿠노이치는 미사에와 하이파이브를 한다. 쿠노이치라는 이유로 여성의 말을 무시하고 생명 경시와 함께 임산부를 폭행한 장로에게 항의한 게 미사에여서 성격이 잘 맞았을 것이다. 장로가 "쿠노이치 주제에"라는 말을 했을 때, [[자멸|장로를 째려보기도 했다.]]] 후일담에서는 그대로 장로 신분을 잃고 닌자 마을에서 쫓겨났으며, 폐쇄적이던 닌자 마을은 관광지로 바꾸어 개방적으로 변화했다.[* 일본인이 19세기 말 에도 막부 시점에 개화를 선택한 행보를 생각하면 짠하다.]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23기]]의 킬러 선인장 여왕 이후 7년 만에 제작진이 창조하고 등장시킨 인간종 생존 위협형/완전 악 최종 보스이자 [[카네아리 마스조]] 이후 12년 만에 나온 독재자 성향 최종 보스이다. 그 때문에 이 둘 행보도 완전히 대조되는데 킬러 선인장 여왕은 초반부터 다른 선인장들을 파견해서 극소수를 제외한 마을 사람들을 잡아다 자신에게 바치게 하는 방식으로 통솔했다. 막판에 본인이 직접 등장해 식물계 호러 최종 보스 역할을 수행하고 짱구 재치로 리타이어했으나, 이 자는 노년인데도 황금만능주의와 자의식 과잉에 철저히 의존하며 행성을 취급하는 관점이 망가질대로 망가져있는 패션 괴물로 행동하며, 고향별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감정을 공부하지 않고 살아왔다. 27기 중간 보스인 가면족 족장과 비슷하게 리타이어 이후 강제로 유배당하는 결말을 맞이한 채 가장 빠르게 퇴장해버렸다. [[무능력한 상사|최종 보스 주제에 할 줄 아는 인법이 철대야밖에 없다. 게다가 본인 인법에 도리어 패배해버렸다. 그리고 직위와 나이에 비해 카리스마가 너무 없고 연륜과 통솔력, 언변도 최하위이다. 자기 비서에 밀릴 정도.]] 사실상 짱구에서 [[보스(크레용 신짱)|보스]]마냥 가장 무능한 최종 보스이다.[* 심지어 저 비교마저도 보스에게 굴욕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게 그나마도 보스는 본인의 전투력은 없지만 대신에 언론 체계를 조작해서 자기 형과 엮인 신형만 일가를 압박하기 위한 가짜 수배령 뉴스를 송출하는 것부터 시작했다. 사실상 3기 극장판 최종보스인 시간이동 범죄자 피에르 조커를 제외하면 전무한 케이스. 거기서 그치지 않고 일반 전투요원들과 중간 보스인 황장군, 황미나, 배용만 등을 고용하거나 후반부에 자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인 최면증폭장치를 완성하는데 성공했던 등 완전 무능한 수준까지는 아니었지만, 장로는 일단 머리 쓰는 쪽으로 따져도 보스보다도 더 무능하고 그나마 보스보다 나은 거라고는 철대야 소환 술법이라는 공격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 밖에 없는데 그래도 전투수단이 있긴 하다 정도이지 기본적으로 장로가 닌자답게 신체 능력이 뛰어나거나 그런 것도 아니다보니 사실상 장로의 실질적 전투력은 없는 수준이여서 낫다고 하기도 뭐하다. 막말로 검술에 능숙한 친조우의 할아버지나 자기 비서인 쿠노이치, 부하들인 그림자 자객 3인방 등의 다른 닌자들이 반역할 맘먹고 싸웠다면 대처는 커녕 무조건 당하는 것은 100% 확정일 정도. 게다가 각자의 부하들도 비교가 되는 게 신형만 일가에게 역관광당해도 끝까지 집요하게 추격하며 중후반부까지 상당히 고전시켰었던 황장군, 황미나, 배용만에 비하면 그림자 자객들은 첫 등장 때 신형만 일가를 고전시키는 듯 했으나 얼마 못가 허무하게 리타이어당하고 집요하게 추격하기는 커녕 다시는 등장하지 못하여 저들에 비하면 포스가 부족한 모습만 보였다.]}}} * 쿠노이치 / 비서 CV. [[유우키 아오이]][* 27기에서 [[가면족 공주]]을 맡았다.] / [[민쩌미]][* 29기에서 삼삼이를 맡았다.] [[파일:20231001_204256_1.png]] 장로의 비서이며 한쪽 눈을 머리로 가린 [[쿠노이치|여닌자]]. {{{#!folding [스포일러] 사실 '''이 영화의 사이다 캐릭터'''. 장로가 마을에 들어온 노하라 가와 치요메를 제거하려고 하자 아무리 그래도 그건 좀 아니지 않냐고 말했고 장로의 여성 차별 발언과 자신은 벙커로 피신하고 고향 별을 죽게 만들겠다는 탐욕스러운 다크 퍼스널리티 악용에 화가 난 나머지 쿠노이치를 얕보지 말라고 "인법•철대야 되돌리기" 술로 쓰러뜨려 리타이어 [[쿠데타|시킨 후 강제로 유배시켜버린다.]] 그렇게 미사에랑 같이 사이좋게 하이파이브를 한다. 그 다음 닌자들에게 흩어진 금을 모아 마개에 붙이고 밧줄을 묶으라고 지시한다. 모든 사건이 해결되고 폐쇄적이었던 닌자 마을을 개방하여 관광지로 활용한다.[* 결말이 23기의 머꼬또머거볼라 마을과 비슷한 흐름이 되었다.]}}} * 부장 CV. [[이주창(성우)|이주창]][* 대원 2, 5, 10기 극장판에서 '''[[무식한]]''' 외 각종 단역을 맡았다.] 피곤해 보인다는 얼굴을 한 닌자를 통솔하는 닌자. [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중간보스)] * 그림자 자객 노하라 가가 닌자 마을로 오는 것을 방해하는 3인방 닌자. * 헤가쿠 세이조[* 방귀 냄새난다(屁が臭えぞ)라는 뜻이다.] / 방국봉 CV. [[마미야 야스히로]] / [[김정훈(성우)|김정훈]] 첫번째로 등장한 닌자. 보라색 옷을 입고 목에 생고구마를 걸고 있는 장발의 남자. 이외에도 허리춤에 부무장으로 닌자도 1자루와 시라사야 형태의 와키자시로 추정되는 것을 1자루 차고 있다.[* 다만 닌자도는 친조우와 싸울 때 친조우가 투척한 종이수리검을 쳐내느라고 사용했지만 시라사야 형태의 와키자시로 추정되는 나무 막대기는 단 한번도 사용하지 않았다.] 주로 고구마를 먹고 나온 방구로 [[파동권]]을 날려 공격한다. 커튼이 뜯어지고, 카펫에 그을림이 생기며, 벽에 균열이 생기는 등 위력도 상당한 듯. 노하라 일가에 쳐들어와 공격을 퍼부어 대다가 친조우와 싸우다가 친조우가 모노노케술의 사용을 실패한 틈을 타 일격필살로 방구탄을 날리려 했지만, 히로시의 부채질과 미사에의 선풍기로 인해 방구탄이 밀려나면서 역관광 당한다. * 와세비 타케히코 / 오룡차 CV. [[쥬쿠 잇큐]] / [[김동현(CJ ENM 성우)|김동현]] 녹색 옷을 입는 웃는 얼굴상의 남자로, 귀신마냥 순간이동을 하듯 등장했다. 같이 등장한 베토 벤케이가 몸을 강화하는 동안 노하라 일가를 상대한다. 가느다란 지팡이 하나로 강 위를 떠돌면서 강을 건너고 있는 히로시의 겨드랑이를 간지럽히고, 줄을 잡아주던 미사에에게 군것질거리를 던지거나 찻가루를 뿌려 방해했다. 하지만 잠수해서 수영으로 역공한 미사에에게 막대기로 머리를 얻어맞고 패배한다. 이후 꽃미남에 의해 저멀리 날아가는 벤케이에게 휘말려 강에 빠지면서 퇴장. * 베토 벤케이 / 배토변 CV. 메라 요시카즈[* [[모노노케 히메]]의 주제가를 부른 일본의 카운터테너.] / [[현경수]] 와세비랑 같이 등장한 근육질의 닌자. [[루트비히 판 베토벤]]과 [[무사시보 벤케이]]를 섞은 이름이다.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 1악장 주제를 "닌닌"거리면서 부르는게 특징으로 지면의 열로 몸을 강화시켜 싸운다. 와세비가 쓰러지자 땅에서 나오며, 지면을 부수는 힘으로 노하라 일가를 위협한다. 하지만 난입한 꽃미남에 의해 격퇴당하고 와세비와 같이 강에 빠지면서 퇴장.[* 꽃미남의 정체는 히마와리가 모노노케 술로 소환한 짐승이었다.] === 그 외 인물 === * 하라노 시타게이 박사 - CV. [[토네 켄타로]] / [[김정훈(성우)|김정훈]] 치요메가 접촉한 지질학자로 배꼽이 빠지면 버틸수 있는 시간이 8시간 밖에 안 남았다고 알려준다. 끈팬티 비슷한 특이한 복장을 입고 있는데 신노스케의 사진 요청을 받아준다. * 하라이치 / 개그폭탄[* 극장판 특별 에피소드 더빙판에서 로컬명이 공개되었다.] - CV. [[김윤기(성우)|김윤기]]&[[이우리]] 일본 개그맨 만담 콤비. 특별출연인데 대우가 박하다. 액션 가면 소개를 위해 콩트를 하고 있는데 액션 가면을 기다리는 마사오에게 흥 돋는 사전 MC들 주제에 잡설이 길다고 디스 당한다.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주제가 == ||<-2>
'''{{{#fff OP[br]スーパースター[br]슈퍼 스타}}}'''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FFdgK7gvlc, width=100%)]}}} || ||<-2> '''{{{#fff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_NCRrwrsVW0, width=100%)]}}} || ||<-2> '''{{{#fff Full ver.}}}''' || || '''노래''' ||<|2> [[케츠메이시|{{{#!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파일:케츠메이시 로고.png|height=40]]}}}]] || || '''작사''' || || '''작곡''' || [[케츠메이시]][br]CHIVA || || '''편곡''' || CHIVA from BUZZER BEATS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2>
'''{{{#fff ED[br]陽はまた昇るから[br]해는 다시 뜰 테니까}}}'''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5FEOVTRfFc, width=100%)]}}} || ||<-2> '''{{{#fff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87lnVvmI_M, width=100%)]}}} || ||<-2> '''{{{#fff Full ver.}}}''' || || '''노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녹황색사회|[[파일:녹황색사회 로고.svg|height=25]]]]}}} || || '''작사''' || [[코바야시 잇세이]] || || '''작곡''' || [[아나미 싱고]] || || '''편곡''' || 카와구치 케이타(川口圭太)[br][[녹황색사회]]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陽はまた昇るから 히와 마타 노보루카라 해는 다시 떠오르니까 悲しくなれる 카나시쿠 나레루 슬퍼질 수 있어 それはイイことなんだよ 소레와 이이 코토난다요 그건 좋은 일인 거야 悲しむ人の気持ちを 카나시무 히토노 키모치오 슬퍼하는 사람의 마음을 守れる人になるから 마모레루 히토니 나루카라 지킬 수 있는 사람이 될 테니까 寂しくなれる 사비시쿠 나레루 쓸쓸해질 수 있어 それもイイことなんだよ 소레모 이이 코토난다요 그것도 좋은 일인 거야 誰かが居た温もりに 다레카가 이타 누쿠모리니 누군가가 있던 온기에 生きられるから 이키라레루카라 살 수 있으니까 思い出を思い出すとき 오모이데오 오모이다스 토키 추억을 떠올리는 순간 同じ気持ちになれるのかな 오나지 키모치니 나레루노카나 똑같은 마음이 될 수 있을까 転んで開いた両手には 코론데 히라이타 료오테니와 넘어져 벌어진 양손에는 泥んこだらけの宝石だ 도론코다라케노 호오세키다 진흙투성이의 보석이야 その輝きを忘れないように 소노 카가야키오 와스레나이요오니 그 반짝임을 잊어버리지 않도록 時計がチクタク 토케에가 치쿠타쿠 시계가 쩨깍째깍 24回刻んでるあいだに 니주우욘 카이 키잔데루 아이다니 24번 새겨지는 동안에 一瞬の冒険を 잇슌노 보오켄오 순간의 모험을 その胸に刻んでいけ 소노 무네니 키잔데이케 그 가슴에 새겨 나아가 晴れのち雨のち腫れのち七色 하레노치 아메노치 하레노치 나나이로 맑은 뒤 비온 뒤 맑은 뒤 일곱 빛깔 びしょ濡れでも笑えるさ 비쇼누레데모 와라에루사 흠뻑 젖어도 웃을 수 있어 焼き付けるんだ 야키츠케룬다 새기는 거야 受け止めるんだ 우케토메룬다 받아 들이는 거야 乗り越えるんだ 노리코에룬다 타고 넘는 거야 陽はまた昇るから 히와 마타 노보루카라 해는 다시 떠오르니까 大人になれる 오토나니 나레루 어른이 될 수 있어 それはイイことなんだよ 소레와 이이 코토난다요 그건 좋은 일인 거야 まだまだ分からなくてもいい 마다마다 와카라나쿠테모 이이 아직까진 모르고 있어도 좋아 それでも伝えておくぜ 소레데모 츠타에테오쿠제 그럼에도 전해 둘게 優しくなれる 야사시쿠 나레루 상냥해질 수 있어 それもイイことなんだよ 소레모 이이 코토나다요 그것도 좋은 일인 거야 説明なんて野暮だね 세츠메에난테 야보다네 설명따윈 멋없잖아 ララララ ラララ 라라라라 라라라 助けのついてる自転車も 타스케노 츠이테루 지텐샤모 보조바퀴가 달린 자전거도 おろしたばっかのクレヨンも 오로시타밧카노 쿠레욘모 방금 내려놓은 크레용도 がむしゃらに走らせてみて 가무샤라니 하시라세테미테 덮어놓고 달려보는 거야 思うまま 오모우 마마 생각하는 대로 時計がシクハク 토케에가 시쿠하쿠 시계가 똑딱똑딱 24回刻んでるあいだに 니주우욘 카이 키잔데루 아이다니 24번 새겨지는 동안에 秒針を追い越して 뵤오신오 오이코시테 초침을 앞질러서 明日すら描いていけ 아시타스라 에가이테이케 내일조차도 그려 나아가 晴れのち雨のち腫れのち七色 하레노치 아메노치 하레노치 나나이로 맑은 뒤 비온 뒤 맑은 뒤 일곱 빛깔 一生ぶん寝ても笑えるさ 잇쇼오분 네테모 와라에루사 한평생 잠자도 웃을 수 있어 疲れ切るんだ 츠카레키룬다 피곤한 거야 それでイイんだ 소레데 이인다 그래도 좋은 거야 夢を見るんだ 유메오 미룬다 꿈을 꾸는 거야 陽はまた昇るから 히와 마타 노보루카라 해는 다시 떠오르니까 心の声すら聞こえるよ 코코로노 코에스라 키코에루요 마음속의 소리조차 들리고 있어 それでも声が聞きたいんだ 소레데모 코에가 키키타인다 그럼에도 소리가 듣고 싶은 거야 生まれてきたそのときから 우마레테키타 소노 토키카라 태어난 그 순간부터 地球がみとめた引力だ 치큐우가 미토메타 인료쿠다 지구가 인정해 준 인력이야 その始まりを忘れないように 소노 하지마리오 와스레나이요오니 그 시작을 잊지 않도록 時計がチクタク 토케에가 치쿠타쿠 시계가 째깍째깍 24回刻んでるあいだに 니주우욘 카이 키잔데루 아이다니 24번 새겨지는 동안에 最高の冒険を 사이코오노 보오켄오 최고의 모험을 いま胸に刻んでいけ 이마 무네니 키잔데이케 지금 가슴에 새겨 나아가 晴れのち雨のち腫れのち七色 하레노치 아메노치 하레노치 나나이로 맑은 뒤 비온 뒤 맑은 뒤 일곱 빛깔 びしょ濡れでも笑えるさ 비쇼누레데모 와라에루사 흠뻑 젖어도 웃을 수 있어 震えてるんだ 후루에테룬다 떨고 있는 거야 それでイイんだ 소레데 이인다 그래서 좋은 거야 立ち向かうんだ 타치무카운다 맞서는 거야 陽はまた昇るから 히와 마타 노보루카라 해는 다시 떠오르니까 || }}}}}}}}} ||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16410438, user=7.1)]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crayon-shin-chan-mononoke-ninja-chinpuden, user=3.3)]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4899210, user=없음)] [include(틀:평가/mymovies.it, code=2022/crayon-shinchan-mononoke-ninja-chinpuden, MYMOVIES=없음, CRITICA=없음, PUBBLICO=없음)]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80455, user=3.7)]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100570, user=3.7)]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5693381, user=8.4)]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13590, user=4.7)]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gjRa0, user=3.5)]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17025, light=90.91)]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59863, user=8.9)] [include(틀:평가/CGV, code=86995, egg=98)]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19753, user=9.6)]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23029800, user=9.2)] [include(틀:평가/TMDB, code=955666, user=77)]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50562, user=6.64)] 지금까지 극장판에서 잘 다뤄지지 않았고 남들에게 보여주지 않았던 [[노하라 신노스케|신노스케(짱구)]]의 가족애 메시지[* 어른제국의 히로시의 회상, 야생왕국의 미사에의 회상처럼 본작 중반부에도 이와 비슷한 '''신짱의 회상''' 장면이 나온다.] 그리고 상당한 고퀄리티의 닌자 액션 작화 같은 다양한 볼거리는 충분했지만, 난무하는 1회성 캐릭터과 저질 개그[* 초중반부에 나온 그림자 자객 3인방에 대한 비판이 크다. 방귀의 술은 비슷한 요소로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태풍을 부르는 황금 스파이 대작전|전작]]을 그렇게 말아먹고 소스로 또 쓰냐는 비판을 받았고 나머지 두명은 짱아의 술법을 미리 보여주는 역할일뿐인데 웃음 요소도 애매한데 분량이 너무 길었다는 평.]로 인한 약간 산만한 각본[* 특히, 가족애를 강조한 스토리인데 마지막 전개부에 중심 스토리에 참여 안한 떡잎방범대를 굳이 등장시켜 모노노케 술하는 장면은 억지로 끼어넣은 것 같다는 의견이 많고 그냥 심플하게 두 가족으로 마무리하여 가족애라는 아이덴티티를 굳히기는게 더 낫았을것라는 평이 대다수.]이나 매우 왕도적인 전개로 작품의 옅은 감이 아쉬운 점으로 꼽혔다. [[하시모토 마사카즈]] 감독의 경우 다소 엉뚱한 각본에서 어느 정도 수작을 건지는 것[*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엄청 맛있어! B급 음식 서바이벌!|B급 음식 서바이벌]],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선인장 대습격]],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습격!! 외계인 덩덩이|외계인 덩덩이]] 그리고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 |신혼여행 허리케인]]을 맡았다.]으로 유명한데, 주로 지목되는 단점인 '산만한 스토리'와 '유치한 개그'가 이번에도 지적되었다. 특히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호평]]-[[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격돌! 낙서왕국과 얼추 네 명의 용사들|호평]]-[[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수수께끼! 꽃피는 천하떡잎학교|역대급 호평]]을 받으며 이어져온 전작들의 흥행과 평가의 상승가도, 게다가 극장판 30주년 기념까지 더해져 상당히 거대해진 기대감에 먹혀버린 타이밍이 나빴던 무난한 작품이었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앞선 영화들은 물론 그 전작인 쿵후보이즈 까지도 [[야후 재팬]]에서 모두 4점 이상의 점수를 받았으나 해당 작품에서 3점으로 떨어진 것은 이러한 실망감을 보여줬다고 볼 수 있다.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재미 없는 스토리가 절대로 아닌 재미있는 스토리이지만 ''''굳이 30주년작에 쓸 스토리 였냐?' '''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다만, 앞서 말한 짱구의 회상 장면 부분만큼은 특별하진 않지만 잔잔한 울림을 주었고, 회상 장면의 짱구의 모습이 점점 원작 만화의 작화로 변해가는 장면은 어린 시절부터 짱구를 보고 자란 팬들에게 추억을 상기켜준다. 즉 '''짱구의 시점으로 본 인생의 회상임과 동시에 어린 시절부터 짱구를 지켜봐 온 팬들의 추억'''을 표현한 것이다. 때문에 이 장면을 '''30주년작을 기념하는 최고의 명장면'''이라고 칭하는 팬들이 많다.] 20주년 작이었던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태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가 여러 비판 속에 일본에서 흥행에 실패했던[* [[대한민국]]에서는 [[어린이날]] 특수 등 여러 영향을 타며 흥행에 성공했으며 평가 역시, 오히려 일본보다 한국의 평이 좋았다.] 점을 고려할 때 여러모로 비슷하다는 평. 특히 소재와 연출은 좋았으나 작품이 전체적 만듦새가 다소 모자라다는 평을 받는다는 점 역시 어느 정도 비슷하다. 게다가 기타 항목에 후술할 쿠키 영상으로 예고한 '''[[3D|전대미문한 도전]]을 하는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THE MOVIE: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 김밥~|후속작]]'''으로 인해 본편 자체가 다소 묻혀버린 감도 있다. 다만 한국에서는 비교적 평이 나쁘지는 않은 편이다. 오히려 일본에서의 혹평으로 인해 별 기대를 하지 않았지만 막상 보니 생각외로 괜찮다는 평. 다만 30주년 극장판으로서의 명성에 걸맞은 작품은 아니라는 의견은 대체로 같다.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16410438/?ref_=bo_se_r_6|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22년]] [[4월 22일]] || '''$14,895,696''' || [[2022년]] [[10월 22일]]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일본]] || [[2022년]] [[4월 22일]] || $14,609,977 || [[2022년]] [[6월 19일]] || || [[홍콩]] || [[2022년]] [[7월 21일]] || $285,719 || [[2022년]] [[10월 22일]] || === [[일본]] === 최종 흥행수입은 20억엔으로, 짱구 극장판의 7번째 20억엔 돌파작이다. === [[대한민국]] === ||<-2>
'''한국어 더빙 제작 정보''' || || '''우리말 연출''' || [[신동식]] || || '''녹음''' || 우상아 || || '''믹싱''' || 김세광 || || '''번역''' || 조희경 || 3기, 10기와 같이 [[닌자]] 등으로 일본풍이 짙은 작품이나 전작들이 한국어 더빙하여 공개했기에 국내 수입은 이뤄질 걸로 보인다. 또한 3기는 [[센코쿠 시대|일본풍이 상당히 짙었음에도]] 무리하게 현지화를 한 것이 오히려 독이 되거나 극중 남장 여자와 같은 설정들 정도만 문제가 되어 재방영되지 않고 있음을 생각하면, 오로지 [[닌자]]가 주 테마인 30주년 기념작은 개봉하는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었다. 국내에서도 닌자는 상당히 메이저해서 [[닌자보이 란타로]]처럼 별 무리없이 방영할 가능성도 높다. 하지만 극장판 3기와 10기 방영 당시에는 일본풍에 비교적 관대한 [[대원미디어]] 체제였지만 현재는 일본 작품을 수입해 방영하면서도 일본풍에 민감한 [[CJ ENM]]([[투니버스]]) 체제[* 다만 2015년에 TV판 에피소드들 중 닌자 관련 에피소드 방영 이력이 있기 때문에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이기 때문에 개봉 가능성이 낮아졌고, 더욱이 이미 일본과의 극장판 개봉일 격차가 1년 이상 벌어진 상황이다. 짱구는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전부터 방영되어 로컬라이징을 한 작품이라는 점과 공략 대상에 어린이를 포함시키기 때문에 나루토와 다르게 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으나, 일단 후자는 란타로도 똑같이 어린이를 공략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자는 란타로가 무국적화가 된 것과 달리 짱구는 한국화가 되었기 때문에 여전히 문제가 될 수 있다. 3월 10일 [[익스트림무비]], [[무비코리아]], [[디시인사이드]]에 5월 4일 개봉한다는 정보가 유출되었다. 같은 시기에 [[유튜브]] 일본판 불법 유출본이 [[CJ ENM]]에 의해 차단되었다. 29기가 역대급 흥행을 했었고, 3D인 31기의 개봉을 앞당기기 위해[* 실제로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비교적 빠른 개봉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기에 이에 자극을 받은 듯 하다. 또한 31기 또한 8월에 개봉될 예정이다.] 개봉 시기를 앞당긴 것으로 보인다. 22기 이후 8년 만에 [[어린이날]] 시즌에 개봉하는 것이다. 이후 등급 심의가 진행중으로 밝혀지면서 사실상 개봉이 확정되었다. [[https://dprime.kr/g2/bbs/board.php?bo_table=movienews&wr_id=51552|#]] 그런데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 극장판들이 예고편이나 포스터부터 심의를 신청한 것과 다르게, 영화 본편부터 심의를 신청했으며, 이후 포스터, 예고편부터 심의가 완료되었다.[* 포스터, 예고편의 심의등급은 전체 이용가.] 4월 5일 투니무비 인스타그램에서 국내판 티저 포스터를 공개했다. [[https://www.instagram.com/p/Cqof2vpv5G4/?igshid=YmMyMTA2M2Y%3D|#]] 4월 7일 투니무비 인스타그램에서 국내판 메인 포스터를 공개했다. [[https://www.instagram.com/p/CqtwAMOv5h-/?igshid=YmMyMTA2M2Y%3D|#]] 여기서 친조우의 로컬명이 공개되었다. 4월 11일 국내판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eoMwh6Ekyg|#]] 4월 18일 투니무비 인스타그램에서 국내판 메인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https://www.instagram.com/p/CrJ6j2svako/|#]] ==== 흥행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3,112명 || 3,112명 || 미집계 || 37,710,876원 || 37,710,876원 || ||<|7> 1주차 ||2023-05-04. 1일차(목) || 36,155명 ||<|7> 376,217명 || 4위 || 347,626,365원 ||<|7> 3,694,122,572원 || ||2023-05-05. 2일차(금) || 150,880명 || 3위 || 1,468,790,017원 || ||2023-05-06. 3일차(토) || 82,283명 || 3위 || 814,148,075원 || ||2023-05-07. 4일차(일) || 70,813명 || 3위 || 705,185,645원 || ||2023-05-08. 5일차(월) || 14,439명 || 4위 || 142,910,302원 || ||2023-05-09. 6일차(화) || 10,911명 || 4위 || 109,137,299원 || ||2023-05-10. 7일차(수) || 10,736명 || 5위 || 106,324,869원 || ||<|7> 2주차 ||2023-05-11. 8일차(목) || 9,481명 ||<|7> 149,809명 || 5위 || 94,695,790원 ||<|7> 1,498,139,372원 || ||2023-05-12. 9일차(금) || 14,993명 || 5위 || 151,317,717원 || ||2023-05-13. 10일차(토) || 51,627명 || 3위 || 514,709,063원 || ||2023-05-14. 11일차(일) || 51,861명 || 3위 || 519,053,764원 || ||2023-05-15. 12일차(월) || 9,683명 || 3위 || 98,094,184원 || ||2023-05-16. 13일차(화) || 6,683명 || 4위 || 67,398,838원 || ||2023-05-17. 14일차(수) || 5,481명 || 6위 || 52,870,016원 || ||<|7> 3주차 ||2023-05-18. 15일차(목) || 4,609명 ||<|7> 84,566명 || 4위 || 46,079,442원 ||<|7> 849,293,389원 || ||2023-05-19. 16일차(금) || 7,647명 || 5위 || 78,337,322원 || ||2023-05-20. 17일차(토) || 29,142명 || 4위 || 293,574,554원 || ||2023-05-21. 18일차(일) || 31,760명 || 4위 || 319,696,777원 || ||2023-05-22. 19일차(월) || 4,799명 || 4위 || 47,191,154원 || ||2023-05-23. 20일차(화) || 3,847명 || 5위 || 37,952,122원 || ||2023-05-24. 21일차(수) || 2,762명 || 7위 || 26,462,018원 || ||<|7> 4주차 ||2023-05-25. 22일차(목) || 2,914명 ||<|7> 75,042명 || 5위 || 28,179,836원 ||<|7> 751,839,616원 || ||2023-05-26. 23일차(금) || 3,800명 || 5위 || 38,585,362원 || ||2023-05-27. 24일차(토) || 17,446명 || 6위 || 176,820,310원 || ||2023-05-28. 25일차(일) || 20,987명 || 6위 || 212,617,715원 || ||2023-05-29. 26일차(월) || 26,067명 || 6위 || 260,430,497원 || ||2023-05-30. 27일차(화) || 2,619명 || 5위 || 25,889,979원 || ||2023-05-31. 28일차(수) || 1,209명 || 12위 || 9,315,917원 || ||<|7> 5주차 ||2023-06-01. 29일차(목) || 1,602명 ||<|7> 30,640명 || 8위 || 12,998,075원 ||<|7> 302,345,271원 || ||2023-06-02. 30일차(금) || 1,333명 || 9위 || 13,426,151원 || ||2023-06-03. 31일차(토) || 6,221명 || 7위 || 63,612,025원 || ||2023-06-04. 32일차(일) || 8,001명 || 8위 || 81,390,840원 || ||2023-06-05. 33일차(월) || 5,450명 || 8위 || 51,392,016원 || ||2023-06-06. 34일차(화) || 7,650명 || 8위 || 75,737,312원 || ||2023-06-07. 35일차(수) || 383명 || 17위 || 3,788,852원 || ||<|7> 6주차 ||2023-06-08. 36일차(목) || 421명 ||<|7> 8,686명 || 18위 || 3,995,856원 ||<|7> 88,577,299원 || ||2023-06-09. 37일차(금) || 481명 || 15위 || 4,811,004원 || ||2023-06-10. 38일차(토) || 3,522명 || 9위 || 36,156,277원 || ||2023-06-11. 39일차(일) || 3,413명 || 9위 || 35,289,989원 || ||2023-06-12. 40일차(월) || 407명 || 15위 || 3,925,106원 || ||2023-06-13. 41일차(화) || 353명 || 19위 || 3,525,712원 || ||2023-06-14. 42일차(수) || 89명 || 38위 || 873,355원 || ||<|7> 7주차 ||2023-06-15. 43일차(목) || 102명 ||<|7> 2,344명 || 45위 || 1,046,456원 ||<|7> 23,115,907원 || ||2023-06-16. 44일차(금) || 82명 || 51위 || 793,984원 || ||2023-06-17. 45일차(토) || 868명 || 17위 || 8,714,308원 || ||2023-06-18. 46일차(일) || 907명 || 13위 || 9,409,005원 || ||2023-06-19. 47일차(월) || 109명 || 33위 || 1,027,054원 || ||2023-06-20. 48일차(화) || 181명 || 21위 || 1,327,000원 || ||2023-06-21. 49일차(수) || 95명 || 40위 || 798,100원 || ||<|7> 8주차 ||2023-06-22. 50일차(목) || 252명 ||<|7> 1,182명 || 20위 || 2,582,999원 ||<|7> 12,087,207원 || ||2023-06-23. 51일차(금) || 90명 || 43위 || 818,200원 || ||2023-06-24. 52일차(토) || 269명 || 23위 || 2,810,612원 || ||2023-06-25. 53일차(일) || 351명 || 18위 || 3,780,600원 || ||2023-06-26. 54일차(월) || 81명 || 36위 || 767,498원 || ||2023-06-27. 55일차(화) || 117명 || 36위 || 1,119,898원 || ||2023-06-28. 56일차(수) || 22명 || 80위 || 207,400원 || ||<|7> 9주차 ||2023-06-29. 57일차(목) || 2명 ||<|7> 237명 || 110위 || 25,000원 ||<|7> 2,405,600원 || ||2023-06-30. 58일차(금) || 3명 || 107위 || 27,000원 || ||2023-07-01. 59일차(토) || 99명 || 42위 || 1,035,100원 || ||2023-07-02. 60일차(일) || 123명 || 38위 || 1,232,000원 || ||2023-07-03. 61일차(월) || 6명 || 82위 || 52,500원 || ||2023-07-04. 62일차(화) || 2명 || 100위 || 20,000원 || ||2023-07-05. 63일차(수) || 2명 || 103위 || 14,000원 || ||<|5> 10주차 ||2023-07-06. 64일차(목) || 4명 ||<|5> 137명 || 102위 || 38,000원 ||<|5> 974,500원 || ||2023-06-07. 65일차(금) || 65명 || 49위 || 338,500원 || ||2023-07-08. 66일차(토) || 37명 || 69위 || 324,000원 || ||2023-07-09. 67일차(일) || 24명 || 70위 || 209,000원 || ||2023-07-10. 68일차(월) || 7명 || 80위 || 65,000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731,972명, 누적매출액 7,260,611,609원'''[* ~ 2023/07/10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 개봉 전 * 이미 [[Blu-ray Disc|Blu-ray]], [[DVD]]가 발매된 이후이기 때문에 다른 루트를 통해 시청이 가능한 점과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가 바로 1주 전에 개봉하고, 전날에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가 개봉하기 때문에 그저 그런 평가와 맞물려서 큰 흥행은 기대하기 힘들다. 심지어 4월 26일 기준 예매율은 한참 전에 개봉한 [[스즈메의 문단속]], [[더 퍼스트 슬램덩크]]보다 낮다.[* 이 두 작품은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수수께끼! 꽃피는 천하떡잎학교]]의 역대 일본 애니 중 흥행 순위를 밀어낸 작품들이기도 하다.] 이후 개봉일이 임박하면서 이 두 작품은 넘기고 마리오에 이어 예매율 3위를 하고 있다. * 1주 차 * 개봉 첫 날에는 4위로 출발했으나 2일차인 어린이날에는 무려 14만 관객을 모으며 드림을 꺾고 3위에 올랐다. 일일 10만 관객 돌파는 누적 83만으로 역대 일본 애니 국내 흥행 순위권인 [[짱구 극장판 29기|전작]]도 작성하지 못한 대기록으로 극장 개봉 초창기인 [[짱구 극장판 18기|18기]], [[짱구 극장판 19기|19기]] 때나 나오던 기록이다.[* 18기, 19기, 30기 셋 다 어린이날 특수 때문이긴 하나, 전작도 1주차 월요일에 개천절을 끼고 있었다.] * 개봉 5일차에 누적관객수 357,682명을 기록하여 국내 흥행 2위였던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26기]]의 최종 성적인 353,012명을 돌파했다. * 2주차 * 개봉 11일차에 누적관객수 507,291명을 돌파하며 전작에 이어 짱구 극장판중 두번째로 50만 관객을 달성했다. * 3주차 * 개봉 18일차에 누적관객수 602,296명을 돌파하며 전작에 이어 짱구 극장판중 두번째로 60만 관객을 달성했다. * 5주차 * 개봉 32일차에 누적관객수 705,903명을 돌파하며 전작에 이어 짱구 극장판중 두번째로 70만 관객을 달성했다. * 비수기에 개봉해서 빈집털이에 성공한 29기와 다르게 어린이날에 개봉하게 되면서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등에 밀려서 다소 힘겨운 흥행 레이스를 보였다. 그래도 70만명대로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격돌! 낙서왕국과 얼추 네 명의 용사들|29기]] 이전보다 훨씬 높은 흥행을 보였고, CJ 배급 [[한국 영화]]인 [[카운트(영화)|카운트]], [[유령(2023)|유령]], [[더 문(한국 영화)|더 문]] 등이 줄줄이 참패하면서[* 그렇지만 아무리 참패했다 해도 자사 [[텐트폴 무비]]가 [[투니버스]] 소속 애니메이션 극장판보다도 흥행이 저조한 건 2023년이 처음이다. 불과 작년의 [[외계+인 1부]]도 150만은 넘겼다.] 8월 초 시점에서 '''2023년 [[CJ ENM MOVIE|CJ ENM]] 배급 영화 흥행 1위'''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다. 연말이 되었을 때도 3위권은 들 듯하다. ==== 특전 ==== * 프리미어 상영회를 기념하여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는 아크릴톡과 이미지 엽서를 증정하며, 시네큐는 아크릴톡만 증정한다. * 1주차 특전은 짱구 얼굴의 마우스패드이다. 특전은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시네Q의 굿즈 증정 이벤트를 진행하는 극장에서 받을 수 있다. * 메가박스에서 극장판 개봉을 기념하여 짱구는 못말려 콤보를 론칭했다. 콤보는 팝콘[L] + 탄산[R]2 + 동물 짱구 피규어 4종 세트 or 샌드백 토끼 인형 빅사이즈로 구성되어 있다. 특전은 아니고 따로 구매해야하며, 한정수량으로 5월 3일부터 전국 48개 메가박스에서 구매할 수 있다. [[https://www.megabox.co.kr/event/detail?eventNo=13213|#]] * CGV에서 닌자피규어를 론칭했다. 구성품은 팝콘 라지사이즈 1개와 콜라 미디엄 사이즈 2개, 그리고 닌자로 변신한 짱구 짱아 흰둥이 피규어 1세트이다. 5월 4일부터 수도권 일부 극장에서, 2주차인 5월 11일 목요일 부터는 전국 대부분 극장에서 구매할 수 있다. [[http://www.cgv.co.kr/culture-event/event/detailViewUnited.aspx?seq=37146&menu=001|#]] * 2주차 특전은 카드 스티커 3종이다. IC카드 일반형, 미니형 2종 SET로 구성되어있다. 특전은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의 굿즈 증정 이벤트를 진행하는 극장에서 받을 수 있으며, 씨네큐는 2주차 특전을 제공하지 않는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jjanggu&no=32198&exception_mode=recommend&page=1|#]] * 3주차 특전은 스티커팩이다. 스티커팩에는 7의 스티커가 포함되어있다. 특전은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씨네큐의 굿즈 증정 이벤트를 진행하는 극장에서 받을 수 있다. * 4주차 특전은 A3 티저 포스터이다. * 5주차 특전은 부채이다.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에서 증정한다. * 8주차 특전은 흰둥이 그립톡이다. CGV 단독으로 진행된다. 6주차와 7주차를 건너띄고 8주차 특전이 증정되었다. == 여담 == *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10기]] 이후로 20년만에 일본 전통 시대/문화를 주제로 하는 극장판이다. * [[ADK|ADK 마케팅 솔루션즈]], [[J-WAVE]], 크레용 신짱 제작위원회[* 제작사인 [[테레비 아사히]], [[신에이 동화]], [[ADK|ADK 이모션즈]], [[후타바샤]]를 뜻한다.] 주최하에 본 영화 개봉일에 맞춰 2022년 4월 22일부터 [[J-WAVE]]에서 방송하는 크레용 신짱 on J-WAVE 81.3 ~2022~를 통해 [[짱구는 못말려]]와 관련된 라디오 방송을 진행했다.[[https://www.adk.jp/news/106030/|#]] * 노하라 일가의 미사에의 부모님인 [[코야마 요시지]], [[코야마 히사에]]가 처음으로 극장판에 출연하고, 히로시의 부모님인 [[노하라 긴노스케]], [[노하라 츠루]]가 10년만에 재등장한다.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수수께끼! 꽃피는 천하떡잎학교|전 극장판]]과 마찬가지로, 크리에이터 [[민쩌미]]가 더빙에 참여한다.[[https://youtu.be/Foz3ly3lyIc?t=39|#]] 다만 민쩌미는 [[연예인 더빙|전문 성우가 아닌만큼 이전 극장판에서도 어색한 연기를 보여줬던지라]] 상당수 팬들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짱구 극장판 뿐만 아니라 2022년부터 투니버스 애니메이션 녹음에 자주 참여하다보니 이러다가 [[투니버스]]의 모든 애니메이션에 민쩌미가 출연할 지 모른다는 우려의 반응이 커지고 있다. * 한국어 더빙 연출은 [[짱구는 못말려]] 22기를 연출한 [[신동식]]PD가 맡았다. * 현대적인 닌자를 소재로 한 작품인만큼 같은 소재의 작품 [[나루토(애니메이션)|나루토]]를 패러디한 모습이 많이 보인다. * 일본어 원본 제목부터 질풍전(疾風伝)을 패러디한 진풍전(珍風伝)이다. * 닌자학교를 비슷하게 흉내낸 닌자 유치원이 있다. * 닌자학교에서 짱구가 대결 중에 보여주는 짱구의 엉덩이춤을 엉덩이 분신술이라며 보여주는 장면은 [[우즈마키 나루토|나루토]]가 1화에서 분신술 대신 [[에로변신술]]을 보여주는 장면을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 * 위에 나루토 패러디하고 별개로 한국판 성우들 대부분이 [[나루토(애니메이션)|나루토]]에서 나루토 더빙에 참여한 적이 있다.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포효하라! 떡잎 야생왕국|포효하라! 떡잎 야생왕국]]과 비슷한 점이 좀 있다. 공통적으로 유부녀 히로인, 동물들이 메인으로 나오는 점, 짱구가 눈물을 흘리는 장면, 회상 장면이 나오는 등이 있다. * 한국판의 경우는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태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20기]] 이후로 10년만에 외부 성우를 기용하지 않았다. 오리지널 등장인물은 전문 성우가 아닌 [[민쩌미]]를 제외하고 전원 [[CJ ENM 성우극회]] 소속 성우진이다.[* CJ가 수입한 25기부터 29기까지 각각 게스트 성우는 최소 1~2명씩으로 20기를 제외한 모든 대원판에 비해 현저히 적은 편이었는데, 이번 30기에는 아예 캐스팅되지 않았다.][* 게스트 성우가 없는 이유는 [[2022년]] 이후 [[CJ그룹]]의 재정난으로 인한 긴축경영 때문으로 추정된다. 몇 달 후 개봉한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 또한 특별관 미개봉에 게스트 성우가 1명 밖에 나오지 않았고, 20기가 개봉했을 당시 또한 [[대원미디어]]의 재정난이 심각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 극장판 개봉에 맞춰 사이드 에피소드(1128-3화, 한국판 23기 14-1화)가 방영되었는데 짱구가 납치된 다음날 아침 진구가 짱구를 대신해 흰둥이 탈을 쓰고 떡잎마을 방범대와 축제 연습을 하는 내용이다.[* 이 에피소드를 통해, 진구는 친구의 소중함과 우정을 배우게 되어 친구를 사귀고 싶다는 욕망을 가지게 되었고, 또한 방위대 친구들이 액션가면 행사에 출전해야 한다는 약속을 짱구가 깜빡해서 늦은 것이 아니라, 그 약속을 친조우에게 했고 짱구는 몰랐던 약속이기 때문에 짱구가 제 시간에 행사장에 등장하지 못한 떡밥의 실마리가 풀렸다.] ===# 쿠키 영상 #=== 이번에도 역시 본작의 쿠키 영상에서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THE MOVIE: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 김밥~|차기작 극장판 후속작]]이 예고 되었는데 주제는 '''‘新(しん)차원’'''. 의미는 무려 '''짱구는 못말려 사상 최초 Full 3D CG 애니메이션'''이라는 엄청난 도전을 한다는 것. 일본에서 제일 가는 대표적인 데포르메 그림체[* 사람의 반측면 얼굴 구도를 극대화시켜 표현하다보니 정면샷이 좀처럼 나오지 않는 편이다.]를 가진 작품인 만큼 리얼함보다는 만화적인 비주얼로 표현했다. Full 3D CG인 짱구네 집을 포함한 떡잎 마을의 거리와 마찬가지로 Full 3D CG인 짱구가 킥보드를 타며 마을을 돌아다니는 짧은 영상이다. 여기서 눈에 띄는 큰 특징은 짱구의 복장이 기존 애니메이션 복장이(빨간 상의와 노란 하의)이 아닌 '''[[크레용 신짱|원작 코믹스]]의 복장(노란 상의와 보라 하의)'''이다. 이러한 점을 들어 원작에서 엄선한 명작 에피소드들을 Full 3D CG로 리메이크한 극장판이 나올 것이라는 추측이 돌았었고, 이후 PV가 공개되면서 어느정도 맞아떨어졌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스페셜 티켓)] [[분류:짱구는 못말려/극장판|동물소환 닌자 배꼽수비대]][[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2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22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닌자/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