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極太 (ごくぶと) (같은 종류 중) 가장 굵음. [[일본]]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자어를 한국식으로 읽은 것으로, 가장 굵은 것을 뜻하는 말이다. == 원래 의미 == 주로 [[일본]]에서 [[붓]]이나 [[펜]] 등 필기구나 활자의 획 굵기를 나타낼 때 쓰던 말로, 여러 개의 붓이나 펜 중 굵기가 가장 굵은 것을 따로 극태 붓, 극태 펜이라고 불렀다. 폰트 쪽에서는 가장 굵은 획 굵기인 Extra Bold의 번역어로 쓰인다. 그러던 것이 갑자기 [[왕사슴벌레]]를 사육하는 [[곤충 동호인]]들 사이에서 쓰이게 된다. 2000년대 중반 쯤 일본에서는 왕사슴벌레 혈통 붐이 일어나 수많은 브리더들이 특정 고정형질을 키우는 방향의 개량을 진행하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턱을 굵게 만드는 '극태'혈통 개량이었다. 즉 '극태 왕사슴벌레'는 '턱이 매우 굵은 왕사슴벌레'라는 뜻. [[대한민국]]에서는 아예 쓰이지 않다가[* 기껏해야 고작 일본 기사를 직역하여 펜의 굵기를 나타내는 용어로 간간이 쓰일 뿐이었다.] 2008년 경 '극태' 왕사슴벌레 사육문화가 [[대한민국|한국]]으로 유입됨에 따라 자주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한국 사육 정보가 부족해서 일본 웹사이트를 번역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브리더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사슴벌레 브리더들 사이에 일본어 직역 용어가 퍼진 것도 이때부터다. 극태 외에 사용되던 일본식 용어로는 '기와재', '~번목' 등이 있다.] 브리더들 사이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로 자리잡았다. 원래는 크기를 키우는 '체장'혈통에 밀려 잘 사용되지 않았지만 점차 '극태'를 키우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체장은 종충(부모개체)의 혈통이 매우 중요하고 혈통이 좋더라도 대형화가 매우 어렵지만 극태는 종충이 중요한 건 매한가지여도 크기가 작아도 굵은 턱이 나올 수 있고 가장 굵은 것끼리 [[근친교배]]를 시키면 발현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다만 발현율을 높이려면 근친교배를 지속해야 하기 때문에 유전병이나 장애에 취약해도 인라인 누대만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아웃라인 브리딩도 있지만 극태는 열성인자라서 인라인보단 턱이 얇아진다.] 극태 혈통의 인기 상승과 동시에 가지는 각종 문제점을 설명할 때에도 사용되는 말이라 사슴벌레를 키우지 않는 곤충 동호인들 사이에서도 이미 익숙한 용어다. 참고로 일본의 극태, 체장 등 혈통 왕사슴벌레는 모두 [[호페이왕사슴벌레]], [[그란디스왕사슴벌레]] 등 해외의 아종이나 원종과 [[잡종|교잡]]하여 만들었다는 것이 정설이고, 자연으로 유출되며 [[유전자]]풀 오염이 일어나는 것이 보고되며 큰 문제로 자리잡았다. 한국의 모든 혈통들도 원하는 형질을 쉽게 만들기 위해 [[밀수|일본에서 교잡, 개량한 왕사슴벌레를 몰래 들여와]] 수차례의 교잡을 통해 만들었다는 설이 유력하며 거의 기정사실화 되었다.[* 실제로 일본이나 중국에서 유명 혈통을 수입하다가 적발된 사례까지 존재한다.] 또한 일본과 마찬가지로 유전자풀 오염은 물론 좁디좁은 한국 곤충시장의 극단화, 왕사슴벌레 브리더들의 다양성 부족 및 일원화 등 여러 문제가 계속 일어나고 있다. 왕사슴벌레 외에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나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에서도 극태 혈통이 존재하며 매우 비싼 몸값을 가진다. 근친교배 문제는 있지만 아종간의 교잡은 없는 순수 개량이거나(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 있어도 왕사슴벌레보다는 심하지 않은 편. == 변질된 의미 == 이처럼 극태라는 말은 필기구나 사슴벌레 동호인들 사이에서만 사용되던 말이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인터넷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뜻은 원래 뜻인 '가장 굵음'인데 그 의미가 [[대물(신체)|이 의미]]로 해석되기 시작한 것. '극대'보다 어감이 더 강해보인다는 이유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 같다. '극태[[자지]]', '극태[[쥬지·뷰지|쥬지]]' 같이 두껍고 굵은 [[음경]]을 비유할 때 쓰인다. [[분류: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