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티베트어족)] [include(틀:중국어의 역사와 변천)] [목차] == 개요 == 근고한어([[近]][[古]][[漢]][[語]])는 대략적으로 [[몽골제국]]이 [[남송]]을 점령한 시기부터 [[청나라]] 중후기까지 사용된 한어([[漢]][[語]]; [[중국어]])를 말한다. == 만기중고한어와 근고한어 사이의 변화 == [[오어|오어(吳語)]]와 [[상어(언어)|노상어(老䢛語)]]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전탁음(유성음)이 소실되었다. 이 시기에 남아 있는 전탁음인 \[v\], \[[[권설음#s-3.4|ʐ]]\]은 청나라 말기에 서남관화 등을 제외하고는 소멸된다. [[반치음|반치성모]]가 유성권설마찰음에서 권설접근음으로 변화되었다. 단, 이 현상은 현재의 화북지방과 화동지방에서만 진행되었다. 입성이 소멸하면서 입성이 다른 성조로 변화되었다. == 근고한어와 현대한어 사이의 변화 == 근고서남관화에서 일어난, '-m' 운미와 '-n' 운미의 통합[* 중국 사천방언권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 연구]이 다른 지역어에서도 일어났다. [[구개음화]] 현상으로 'gi'와 'zii'가 'ji'로, 'ki'와 'cii'가 'qi'로, 'hi'와 'sii'가 'xi'로 각각 통합되었다. '-io' 운모가 '-üe' 운모로 변화되었다. 예를 들어 청나라의 황성인 아이신'''교'''로가 아이신'''줴'''뤄로 발음이 바뀌었다. '-iai' 운모가 [[보통화]] 제정 이후 대륙에서 소멸되어 '-ie'로 합류하였다. 단 [[국어#s-3.2|중화민국 국어]]에는 현존한다. == 성모 == ||<-2><|2> ||<-2> 양순음 ||<-2> 치경음 || || 무성음 || 유성음 || 무성음 || 유성음 || ||<-2> [[공명음]] || || m || || n || ||<|2> 파열음 || 무기음 || p || || t || || || 유기음 || p̤ || || t̤ || || == 운모 == == 성조 == [[분류: 중국어]][[분류: 고어(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