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근초고왕)] [include(틀:근초고왕)] [목차] == 개요 == 가히 [[환빠]]들의 놀이터. 근초고왕 대 백제가 [[요서경략설|요서로 진출했다는 주장]]은 그나마 애교다.[* 이건 최소한 역사적인 근거라도 있다.] [[크고 아름다운]] 백제의 중원 대륙 영토에 심지어 [[일본]]까지 정복한 경우도 있다.[* 다만 일본의 경우 몇몇 [[뇌피셜]]에 쓰일만한 정황 근거는 있다보니 대륙설보다야 그나마 들을만한데 여기서도 주장이 엇갈려 "당시 일본은 사실상 백제의 속국이었다." VS "백제가 일본 일부 지역을 정복하다 중단했다." VS "백제가 뭔 초강대국이라고 왜곡 과장 그만해라."까지 주장이 얽히고 설켜 난전을 벌인다. 문제는 명확한 자료가 나오지 않는 이상 앞으로도 그닥 해결될 기미가 없다.] == [[소설]] == === [[대쥬신제국사]] === [[파일:attachment/근초고왕/m.jpg]] '''[[만악의 근원]]'''. 일약 한국에서 [[불쏘시개|환빠의 지평을 넓힌 큰 별]]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 [[박영규(1966)|《한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 내용상 교양서라고 해야겠지만 내용이 내용인지라...] === [[파일:external/pds21.egloos.com/c0131955_4db6b0dd85711.jpg]] '''[[만악의 근원]] 2'''. 《대쥬신제국사》에서 시작된 대륙 백제를 본격적으로 널리 알린 장본인. === 왕인 === [[파일:external/pds19.egloos.com/c0131955_4db6b0c8a1e8d.jpg]] 송은일의 소설. === 근초고대왕 === [[파일:external/pds21.egloos.com/c0131955_4db6b0c343d37.jpg]] [[지도]]만 봐도 알겠지만, 이미 '''[[만악의 근원]] 수준을 초월'''한 [[불쏘시개|창조적인 작품]]. [[핑클도 아는 국군의 주적]]의 스토리 [[작가]]가 쓴 소설. 《[[천부경]]》을 목차 제목으로 쓴데다가 근초고왕이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日本武尊)라는 [[패드립]]을 저질렀다. 4권 설명에는 "일본 국명의 비밀이 환(桓)에서 풀렸다." 이쯤 되면 [[임나일본부설]]이랑 비슷해서 [[자뻑]]이라 생각하기에도 무시무시하다. === 근초고왕 === 대륙 백제는 여기도. === 백제엔 근초고왕이 있다 === 여기도 대륙 백제. === 대륙의 한 === [[파일:external/pds21.egloos.com/c0131955_4db6f1380fd66_m.jpg]] [[이문열]]이 쓴 소설. 그래도 위 [[판타지]]급 소설들보다는 상대적으로 [[고증]]에 충실해서 전체적인 스토리는 근초고왕에게 밀려난 [[계왕]]의 왕자가 선대의 원한을 풀고 요서로 이주해 [[오호십육국시대|중원의 광풍]] 속에서 백제인들의 영역을 마련한다는 내용으로 어찌어찌 끼워맞추면 [[역사]]상으로도 그럴듯하게 전개된다. [[근초고왕(드라마)|드라마 근초고왕]]의 원작이라고는 하지만 역시 내용에서는 드라마랑 비할 바 못된다. 작가도 드라마는 불평이 있는지 드라마 방영 이후 새로 낸 재간본의 서문에는 드라마의 원작 변형에 대한 불만이 실려있기도 했다. 물론 이 책 역시 요서 경략이 근초고왕 때라는 점을 비롯해 몇 가지 오류가 있기는 하지만 소설임을 감안하면 그나마 봐줄만한 수준으로 백제사에 대한 역사 지식을 각권 부록으로 소개해놓기도 했다. === [[고구려(소설)]] === [[김진명]]이 쓴 소설에서는 근초고왕의 본명인 부여구로 나오고 병사들을 위해 솔직하게 항복을 구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첫 등장. [[소수림왕|고구부]]가 찾아 다녔던 천하의 [[영웅]] 중 1명이나 높은 평가는 받지 못했다. 후에 [[고구려]]로 도망간 백제의 죄인을 돌려달라는 구실로 고구려에 [[전쟁]]을 일으켰고 휘하 병사들이 [[고국원왕]]을 죽이나 고구부의 협박에 의해 군사를 물리게 된다. == [[드라마]] == === [[근초고왕(드라마)|근초고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근초고왕(근초고왕))] == 교양서 == === 전쟁의 발견 === [[이희진(역사학자)|이희진]]의 교양서. 위 문서의 상당 부분이 여기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만 봐도 역시 전공자이니만큼 이상의 [[불쏘시개|창조적인 작품들]]과는 격이 다르다. 1부에서는 근초고왕과 [[광개토대왕]]을 위시한 삼국시대 중요 전쟁사가 나열되고, 2부에서는 고대 전쟁을 [[스타크래프트]]에 비유하여 굉장히 쉽고 혁신적으로 고대 전쟁의 기초 개념을 설명한다. === 근초고왕을 고백하다 === 이희진의 교양서. 상당히 전작을 우려먹은 티가 나지만 그래도 드라마의 역사 왜곡을 비판하는 측면이 간간이 발견되어 그 의의를 둔다. 다만 1부의 근초고왕에 비해 2부의 [[성왕(백제)|성왕]]은 거들 뿐이라 생각하면 안 된다. 여기서 이희진은 근초고왕의 중요한 업적으로 백제와 고구려가 양축을 형성하고 있었던 당시 [[한반도]] 국제 정세에서 백제를 한 축의 중심으로 만들어 놓았다는 점을 꼽았다. == 만화 == === [[삼국전투기]] === 웹툰 [[삼국전투기]]에서는 근'''초'''고왕이라서인지 그냥 거목으로 등장한다. 비류 전투 편 막바지에 고구려의 행보를 언급할 때 잠깐 등장했고, 연에게 수도를 털리고 화풀이로 백제를 공격한 고구려의 왕을 전사시켰다고 언급된다. == [[게임]] == === [[천년의 신화]] === <[[천년의 신화]]>에서 백제군의 영웅으로 나오는데 게임상 [[칠지도]]를 휘두르며 늙은 왕처럼 나온다. === [[삼국지조조전 Online]] === [[파일:The Legend of Cao Cao Buyeo Gu.png]] <[[삼국지조조전 Online]]>에서는 결사계백의 패라는 계보의 미등장 데이터로 남았다. 장수 이름은 본명인 부여구로 나온다. 병과는 [[군주]]. 능력치는 무력 78, 지력 83, 통솔 96, 민첩 78, 행운 86. 본래 플레이어블로 등장할 예정이었다가 제작진이 능력치 [[논란]]을 우려해 일부러 등장시키지 않았다. 데이터상의 장수 특성은 반격강화/본대기합으로 좋지 않지만 극초창기에 [[이득규]]가 임의로 부여한 것이고 만약 정식 등장했다면 [[항우]] 때 그랬던 것처럼[* 항우는 정식출시 이전 원래 데이터에서는 기마공격 강화 무시, 일기당천이었다.] 좋은 전용 특성으로 바뀌어 나왔을 것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근초고왕, version=688, paragraph=6)] [[분류:인물별 창작물]][[분류:근초고왕]][[분류:백제/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