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VOCALOID 오리지널 곡, rd1=글루카곤(VOCALOID 오리지널 곡))] [목차] ||<-2><#ffffff>[[파일:6XiDxWt.png|width=100%]]|| ||<-2>글루카곤을 이루는 29개의 [[아미노산]]이 서열 순으로 나열된 모습.|| ||<:>'''서열'''||[[아민|NH,,2,,]]-[[His]]-[[Ser]]-[[Gln]]-[[Gly]]-[[Thr]]-[[Phe]]-[[Thr]]-[[Ser]]-[[Asp]]-[[Tyr]]-[[Ser]]-[[Lys]]-[[Tyr]]-[[Leu]]-[[Asp]]-[[Ser]]-[[Arg]]-[[Arg]]-[[Ala]]-[[Gln]]-[[Asp]]-[[Phe]]-[[Val]]-[[Gln]]-[[Trp]]-[[Leu]]-[[Met]]-[[Asn]]-[[Thr]]-[[COOH]]|| * [[http://www.wolframalpha.com/input/?i=glucagon|울프람알파 글루카곤 검색]] === 개요 === 글루카곤(Glucagon)은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이것을 처음 발견한 [[독일]]의 의사 랑게르한스의 이름을 딴 불규칙한 세포군이다. 인슐린이 분비되는 세포군이기도 하다(인슐린은 랑게르한스섬의 베타 세포에서 생성된다). 여담이지만 랑게르한스섬의 섬은 우리가 아는 그 섬(島) 맞다. 이 기관의 일부가 이자액에 떠 있는 것이 섬과 흡사하기 때문. 고등학교 [[생명 과학1]] 에는 이자섬으로도 쓰인다. 랑게르한스섬이라는 단어가 너무 어렵기 때문이라고. [[무라카미 하루키]]는 이걸 가지고 '랑겔한스 섬의 오후'라는 제목의 수필을 쓰기도 했다. ]의 α세포에서 분비되어, [[인슐린]]과는 반대로 혈당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1920년대]]에 킴볼(Kimball)과 멀린(Murlin)이 이자 추출물을 연구하다가 '''[[고혈당]]을 일으키는 물질'''을 발견하고, [[1923년]], 그들은 그 물질을 글루카곤이라고 이름 붙여 발표한다. 이후 [[1950년대]] 후반에 이르러 아미노산 배열이 밝혀졌고, 방사 면역 분석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1970년대]]에 글루카곤과 관련된 질병이 밝혀지기 시작했다. === 역할 === 글루카곤은 췌장에서 주로 분비되는 호르몬이며,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 Glycogenolysis] 및 [[포도당 신생합성]][* Gluconeogenesis, [[당질 코르티코이드]]의 주요한 역할 중의 하나이다.]을 촉진( 주로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이 됨 )'해서 [[혈당]]량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지방(화학)|지방]] 분해를 통해 [[포도당]] 생성 속도를 조절한다. 혈당의 조절은 글루카곤, 인슐린, 갑상선 호르몬(T3, T4), 성장 호르몬, 아드레날린, 자율 신경들이 관여하는데, 그중에서도 [[인슐린]]과 자주 엮인다. 그 이유는 글루카곤과 함께 이자(췌장)에서 같이 분비되는 [[인슐린]]이 글루카곤의 길항작용[* 같은 기관에서 서로 반대되는 역할을 맡아 서로 상쇄 작용을 하는 것.]을 하기 때문이다. 즉, 글루카곤이 혈중 포도당이 부족할 때 분비되어 [[혈당]]을 증가시킨다면, [[인슐린]]은 혈중 포도당이 많을 때 분비되어 혈당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평소엔 아예 글루카곤이 분비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평소에도 일정량의 [[인슐린]]과 글루카곤은 분비되고 있으며, 혈당량에 따라 분비량이 올라갔다 내려갔다 한다. 이는 다른 길항 작용을 하는 다른 호르몬들도 마찬가지로 가지는 특징이다.[* 이유는 알다시피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 작용 === 글루카곤은 간세포 세포막의 G단백질 연결 수용체(G protein-coupled receptor, GPCR)인 글루카곤 수용체에 결합하여 그 작용을 끌어낸다. 글루카곤이 GPCR에 결합하면 GPCR수용체에 결합되어 있는 G단백질을 활성화시키게 되고, 활성화된 G단백질은 세포막에 붙어 있는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denylate cyclase)를 활성화시켜 버린다.[* 이 과정을 자세히 말하면, 우선 글루코오스의 수용체에의 결합 이후 변형된 단백질의 구조는 G단백질의 α소단위 내 GDP 분자가 다른 GTP 분자로부터 인산을 받아 GTP가 되게 한다. 그 영향으로 G단백질은 α소단위와 βγ복합체로 해리되며, 여기서 α소단위가 다른 효소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이렇게 활성화된 아데닐산 고리화효소는 그 이름 그대로 ATP를 가지고 cAMP(cyclic AMP)를 마구마구 생산하게 된다. 많은 농도로 불어난 cAMP는 단백질 인산화효소A(Protein kinase A)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그 효소들은 가인산분해효소인산화효소(phosphorylase kinase)를 활성화시키며, 이는 글리코겐 인산화효소 b를 인산화시켜 글리코겐 인산화효소 a가 되게 한다.--헷갈린다.-- 이 효소가 바로 글리코겐을 조각내어 글루코오스-1-인산의 형태로 분해되게 만든다. 이 과정에서 활성화된 단백질 인산화 효소 A(Protein kinase A)는 PFK-2/FBPase-2[* phosphofructokinase-2/fructose-2,6-biphosphatase. 과당-6-인산으로부터 과당-2,6-이인산을 만드는 반응을 촉진하거나 그 반대작용도 하는 효소이다. PFK-2 부분과 FBPase-2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단백질 인산화효소 A는 PFK-2 부분을 인산화시킨다. 인산화 시 과당-2,6-이인산에서 과당-6-인산을 만들고 인산화가 안 되었을 시 그 반대작용을 한다.]를 인산화해 활성화시키는 작용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글루카곤이 작용하게 되면 과당-2,6-이인산의 농도가 낮아져서 PFK-1[* phosphofructokinase-1. [[해당과정]]에서 과당-6-인산을 과당-1,6-이인산으로 바꿀 때 쓰이는 비가역 효소[* 과당 6-인산이 과당-1,6 인산으로 바뀌는 화학반응은 비가역적인 반응이다.]이다.]의 작용이 떨어지고 FBPase-1[* fructose-1,6-biphosphatase. 이는 [[해당과정]]의 --거의--반대과정이라 할 수 있는 [[포도당 신생합성]]에서 과당-1,6-이인산을 과당-6-인산으로 바꿀 때 쓰인다.]의 작용은 반대로 살아나[* 과당-2,6-이인산은 PFK-1의 작용을 촉진하고 FBPase-1의 작용을 저해한다.] 간에서 [[해당과정]](glycolysis)을 저해하고 포도당 신생 합성(gluconeogenesis)을 촉진하기도 한다. === 용도 === [[파일:NAVCdJ7.jpg]] [[인슐린]] 분비가 정상보다 훨씬 적기 때문에 [[포도당|혈당]]이 너무 높아지는 [[당뇨병]] 환자는 직접 인슐린을 주사해야 하는데, 지나치게 많은 양을 주사하거나 평소보다 식사를 적게 했을 경우,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혈당이 떨어지게 된다. 즉 [[저혈당]]이 오게 되는데, 심각한 [[저혈당]]은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위험한 상태이다. 이 때 보통 당분이 많은 [[포도당 캔디]]나 [[초콜릿]] 같은 식품을 먹어서 대처하지만, 환자가 결국 정신을 잃거나 그 외 이유로 음식을 먹을 수 없으면 글루카곤을 주사한다.[* 환자가 직접 섭취를 못 하는 것도 있지만 의식을 잃은 환자에게 저런 음식을 먹이다간 기도가 막혀서 사람 구하려다가 죽이는 경우가 있다.] 가루로 된 글루카곤을 [[물]]에 녹여서 사용하며, 아주 빠른 속도로 혈당이 올라가 회복된다. 단, 부작용으로 [[두통]]이나 [[구역질]]이 일어날 수 있으며, 또한 항응고제와 상호작용을 하여 출혈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베타 차단제[* 심장 박동수와 심장의 운동량을 줄여주는 약물로 협심증, 고혈압 등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 중독을 치료하는 데도 쓰인다. 베타 [[아드레날린]]이 작용하는 과정 중에 2차 전달자로서 cAMP가 쓰이는데 글루카곤이 이 cAMP의 농도를 증가시켜 주기 때문. 같은 이유로 아드레날린에 저항성을 가지고 있는 아나필락시스 환자에게 혈압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기도 한다. 당연히 부작용의 위험[* 내성 같은 일반적인 약물에도 적용되는 부작용 외에도, 글루카곤이 원래 혈당을 높이기 위한 호르몬이다 보니 혈당이 높아지는 부작용이 당연히 생기기 마련이다.]이 있기 때문에 의사와 상담 후 처방받아 이용한다. === 여담 === * 아직 글루카곤의 생성경로가 밝혀지진 않았다. 현재로써는 중추신경계에 의존하여 생산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 중학교 3학년 과학에서 간단하게 다루나,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항상성' 단원에서 혈당의 조절을 하는 호르몬 중 하나로 다룬다. 같은 단원에 [[글리코젠]]이 등장하기 때문에 둘의 이름을 학생들이 많이 헷갈려한다. * [[생명 과학Ⅰ]]에서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혈당 조절 과정에 대해 배운다. 3단원에서 중요한 주제로 나온다. 관련된 문제는 보통 [[혈당]] [[그래프]]가 제시되는데, 인슐린과 혼동하지 않도록 자료 파악을 정확히 해야 틀리지 않을 수 있다. * 한 연구에서 [[ADHD]]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메틸페니데이트]]가 직간접적으로 글루카곤의 분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모습을 보였으나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메틸페니데이트는 DNRI이므로 에피네프린의 전구체인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 증가에 따른 결과일 것으로 추정된다. === 관련 문서 === * [[호르몬]] * [[인슐린]] * [[췌장]] * [[간]] * [[포도당]] * [[당뇨병]] * [[혈당]] * [[아드레날린]] [[분류:호르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