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글룸헤이븐)] [include(틀:글룸헤이븐의 아이템)] [목차] == 개요 == [[글룸헤이븐]]의 아이템 중 글룸헤이븐의 번영도 레벨이 8이 되면서 해금되는 아이템들에 대해 설명한다. [include(틀:스포일러)] == 목록 == '''이 문서를 수정할 때 해당하는 아이템 부위 문서도 같이 수정해주시길 바랍니다.''' === 평온의 샌들 (Serene Sandals) === ||
<-5> 평온의 샌들 || || 번호 || 057 ||||||<|5> [[파일:gh_item_057.jpg|width=50%]] || || 가격 || 75 || || 개수 || x2 || || 부위 || [[파일:gh_legs.png|width=18&height=20]] || || [[파일:gh_negative.png|width=20&height=20]] || - || ||<-5> 능력 카드를 기본 하단 행동으로 사용할 때마다, '이동 [[파일:gh_move.png|width=24&height=20]] 2' 행동 대신 '이동 [[파일:gh_move.png|width=24&height=20]] 4' 행동 수행. || 편안한 신발의 강화판. 어지간한 클래스는 이동 4 정도면 상위권 이동기로 평가받는 편이므로, 이 신발만 있다면 이동기에 문제가 있는 클래스라도 [[무법자(글룸헤이븐)|무법자]]마냥 날아다닐 수 있다. 가격이 문제긴 하지만, 살 수만 있다면 비싼 값은 제대로 할 것이다. === 상 변이 망토 (Cloak of Phasing) === ||
<-5> 상 변이 망토 || || 번호 || 058 ||||||<|5> [[파일:gh_item_058.jpg|width=50%]] || || 가격 || 75 || || 개수 || x2 || || 부위 || [[파일:gh_body.png|width=20&height=20]] || || [[파일:gh_negative.png|width=20&height=20]] || - || ||<-5> 비행 [[파일:gh_flying.png|width=24&height=18]] 획득. 장애물 칸에 있는 동안, 투명 [[파일:gh_invisible.png|width=20&height=20]] 상태로 간주되며 공격 수행 불가. || 맵 조건을 타긴 해도 '''상시 비행에 무제한으로 투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망토.''' 주도권을 빠르게 잡고 공격한 뒤 장애물에 숨고, 다음 턴엔 느린 주도권으로 빠져나와 공격하는걸 반복하면 거의 한 대도 맞지 않을 수 있다. 효과가 장난 아니게 강력한 만큼 당연히 가격도 장난 아니게 비싸다. === 망원 렌즈 (Telescopic Lens) === ||
<-5> 망원 렌즈 || || 번호 || 059 ||||||<|5> [[파일:gh_item_059.jpg|width=50%]] || || 가격 || 50 || || 개수 || x2 || || 부위 || [[파일:gh_head.png|width=14&height=21]] || || [[파일:gh_negative.png|width=20&height=20]] || - || ||<-5> 원거리 공격 중, 해당 공격 행동 전체에 +2 사정거리 [[파일:gh_range.png|width=15&height=18]] 추가. [br] [[파일:gh_spend.png|width=24&height=20&align=right]] || 송골매 투구의 강화판. 대부분의 클래스는 다른 좋은 투구를 놔두고 굳이 이 아이템을 쓰려 하지는 않겠지만, 일정 거리 이내의 모든 적을 타격하는 행동이 있는 클래스 한정으로 무지막지한 위력을 발휘한다. 원래도 엄청 강력한 행동이었지만, 이 아이템과 조합하면 거의 방 전체를 휩쓸어버릴 수 있을 정도. === 불안정한 폭발물 (Unstable Explosives) === ||
<-5> 불안정한 폭발물 || || 번호 || 060 ||||||<|5> [[파일:gh_item_060.jpg|width=50%]] || || 가격 || 45 || || 개수 || x2 || || 부위 || [[파일:gh_one_hand.png|width=19&height=20]] || || [[파일:gh_negative.png|width=20&height=20]] || - || ||<-5> [[파일:gh_range_parallel.png|width=54&height=44&align=right]] 단일 대상 원거리 공격 중, [br]해당 공격을 다음과 같이 변경: [br][br] 공격 범위 내 모든 아군이 피해 3점을 입음. [br] [[파일:gh_loss.png|width=20&height=20&align=right]] || 휘발성 폭탄의 강화판. 범위가 한 칸 늘어나서 세 명을 맞추기가 훨씬 수월해졌다. 대신 원본과는 달리 아군에게도 피해 3점을 입히는 페널티가 생겼다. 보통은 둘 중 뭐가 더 낫냐를 따지기보단 둘 다 사용하는 편이다. === 성벽 방패 (Wall Shield) === ||
<-5> 성벽 방패 || || 번호 || 061 ||||||<|5> [[파일:gh_item_061.jpg|width=50%]] || || 가격 || 60 || || 개수 || x2 || || 부위 || [[파일:gh_two_hands.png|width=23&height=20]] || || [[파일:gh_negative.png|width=20&height=20]] || - || ||<-5> 공격에 의해 피해를 입게 될 때, 해당 공격에 대해 방어 [[파일:gh_shield.png|width=20&height=20]] 4 획득. [br] [[파일:gh_spend.png|width=24&height=20&align=right]] || 방패의 최종 형태. 양손이 되었지만 무려 피해를 4나 막아준다. 한꺼번에 사용해야 해서 타이밍이 좀 애매하긴 하지만, 철편 갑옷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가격도 딱 다리미꼴 방패와 대형 방패를 합친 가격이다. === 파멸의 가루 (Doom Powder) === ||
<-5> 파멸의 가루 || || 번호 || 062 ||||||<|5> [[파일:gh_item_062.jpg|width=50%]] || || 가격 || 40 || || 개수 || x2 || || 부위 || [[파일:gh_small_item.png|width=18&height=20]] || || [[파일:gh_negative.png|width=20&height=20]] || - || ||<-5> 공격 중, 한 번의 공격에 기절 [[파일:gh_stun.png|width=20&height=20]], 중독 [[파일:gh_poison.png|width=20&height=20]], 저주 [[파일:gh_curse.png|width=20&height=20]] 추가. [br] [[파일:gh_loss.png|width=20&height=20&align=right]] || 기절 가루의 강화판. 강한 적을 때려잡기 위해 필요한 상태이상을 이것저것 다 쓰까놨다. === 행운의 눈 (Lucky Eye) === ||
<-5> 행운의 눈 || || 번호 || 063 ||||||<|5> [[파일:gh_item_063.jpg|width=50%]] || || 가격 || 60 || || 개수 || x2 || || 부위 || [[파일:gh_small_item.png|width=18&height=20]] || || [[파일:gh_negative.png|width=20&height=20]] || - || ||<-5> 차례 중, 장착자 본인 및 인접한 모든 아군에게 강화 [[파일:gh_strengthen.png|width=20&height=20]] 적용. [br] [[파일:gh_loss.png|width=20&height=20&align=right]] || 자신과 아군에게 강화를 걸어주는 아이템. 타이밍도 내 턴이기만 하면 자유롭고, 내 턴에 거는 강화는 다음 턴까지 지속되기 때문에 나쁘지는 않다. 다만 효과에 비하면 가격이 좀 비싼 것이 문제. [[분류:글룸헤이븐/아이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