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금강대학교)] [include(틀:금강대학교)] [목차] == 학교 상징 == || '''{{{#ffffff 상징동물_용(龍) }}}''' || ||[[파일:금강대상징1.jpg|width=100%&align=center]] || ||비등(飛騰)하는 동물로 알려진 용은 비늘을 지닌 동물의 수장이라 하여 사령중에서 인충지장(鱗蟲之長)이라고 한다. 또한 양(陽)의 극(極)을 의미하여 비늘의 줄도 81개(9*9)로 알려져 있으며 황제의 상을 나타낸다. 육도삼약(六韜三略)에서는 용의 의미를 능소능대(能小能大)라 하여 신축성 있는 만능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용유구사(龍有九似)라 하여 아홉 가지 동물의 모습을 모두 가지고 있어 길상의 최고 상징으로 여겨진다. || ||
'''{{{#ffffff 교화_백련(白蓮) }}}''' || ||[[파일:금강대상징2.jpg|width=100%&align=center]] || ||백련은 더러운 물 속에서도 깨끗한 자태를 피운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속세의 더러움속에서도 물들지 않고 깨끗한 불심을 피우는 것처럼 청정함을 드러낸다 하여 소중히 여긴다. 청정무구한 본성을 지닌 것을 상징한다. || ||
'''{{{#ffffff 교목_박달나무 }}}''' || ||[[파일:금강대상징3.jpg|width=100%&align=center]] || ||박달나무는 국조(國祖)인 단군을 상징하는 나무로 통한다. 그것은 환웅(桓雄)이 박달나무 아래서 신시정치(神市政治)를 폈다는 데서 유래하고 있다. 정다산이 쓴 아언각비(雅言覺非)에서는 목질이 단단한 박달나무를 오향수(五香樹)로 표현하고 있다. 즉 뿌리, 껍질, 잎, 꽃, 열매의 향기가 각각 달라 그 같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 ||
'''{{{#ffffff 교색_황색 }}}''' || ||[[파일:금강대상징4.jpg|width=100%&align=center]] || ||황색은 오행에서는 중앙토(中央土)를 의미하는데, 토(土)는 만물을 화생(化生) 시키는 만물의 어머니로 통하고 있다. 그래서 황(黃)은 만물의 뿌리이며 중(中)이며 토(土)를 의미한다. || == UI(University Identity) == ||
'''{{{#ffffff 심볼 }}}''' || ||[[파일:금강대학교 UI.svg|width=300&align=center]] || ||금강저는 삿된 것을 물리치고 정법을 살리는 부처님의 지혜를 상징하며, 부처님을 모시는 금강신장이 지니고 다니는 무기이다. 금강저를 황색으로 한 것은 부처님의 지혜가 중도임을 의미하며, 상하로 중심에 세워 놓은 것은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가장 중심되는 방편임을 뜻한다. 세개의 원은 우주만법이 각각 공, 가, 중, 삼제의 진리를 갖추고 있음을 뜻하며, 이것을 한 자리에 포개 놓은 것은 이 삼제의 진리가 서로 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원을 청색으로 한 것은 우리나라가 동방에 있음을 나타내며, 또한 무궁한 번영을 의미한다. || ||
'''{{{#ffffff 로고타입(가로쓰기) 및 작도법 }}}''' || ||[[파일:img_010402_2.jpg|width=100%&align=center]] || ||교명 로고타입은 심볼과 더불어 우리 대학교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기본 3요소(심볼ㆍ로고타입ㆍ상징색)중의 하나로 개성과 독자성을 고려하여 심볼과 잘 조화되도록 디자인된 것이다. 교명 로고타입은 한글ㆍ한자ㆍ영문 3종으로 사용 매체의 특성에 따라 심볼과 조합 또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 === 시그니처 === 시그니처 시스템은 통일된 이미지 형성을 유지하기 위해 심볼과 로고타입을 가장 이상적으로 조합한 것을 매체의 특성에 따라 선택 사용한다. ||
'''{{{#ffffff 좌, 우 영문조합 }}}''' || ||[[파일:금강대시그니쳐1.jpg|width=100%&align=center]]|| ||[[파일:금강대시그니쳐2.jpg|width=100%&align=center]]|| ||
'''{{{#ffffff 원형조합 및 온라인용 }}}''' || ||[[파일:금강대시그니쳐3.jpg|width=100%&align=center]]|| ||[[파일:금강대학교 온라인 로고.jpg|width=100%&align=center]]|| === 교기(정기ㆍ약기) === 교기(정기ㆍ약기)는 우리 대학교의 이미지를 공식적으로 전달하는 시각적 표상물로서 주목성이 높여 본래의 이미지가 정확히 유지되도록 주의해야 한다. 교기는 공식적인 의전 행사에 사용하며 높은 품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급 재질로 정밀하게 제작한다. ||
'''{{{#ffffff 정기 }}}''' || ||[[파일:금강대정기.jpg|width=100%&align=center]]|| ||
'''{{{#ffffff 약기 }}}''' || ||[[파일:금강대약기.jpg|width=100%&align=center]]|| == [[교가]] == [[파일:금강대교가.jpg|align=center]] [[https://www.ggu.ac.kr/sub010403|교가 듣기]] [[분류:금강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