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북한 태백산맥 북부에 있는 산, rd1=금강산)] [목차] [clearfix]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산 == ||<-2> {{{#fff {{{+1 '''금강산'''}}}[br]'''金剛山 | Geumgang Mountain'''}}} || ||<-2> [include(틀:지도, 장소=해남군 금강산, 너비=100%, 높이=100%)] || || {{{#fff '''소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대한민국]]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 마산면 장촌리 || || {{{#fff '''높이'''}}} ||488m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 마산면 장촌리 사이에 있는 높이 488m의 산. 해남읍의 주산으로, 읍내를 감싸며 넓게는 해남읍 해리와 옥천면 신계리, 영신리에도 걸쳐 있다. 해남군청 기준으로 위 쪽에 금강산, 아래 쪽에 해남천이 있어 전형적인 배산임수. 해남 금강산 정상 부근에는 피난을 위해 고려시대에 축조한 금강산성이 남아있다. 북한 태백산맥 북부에 있는 [[금강산]]과는 한자까지 똑같지만, 당연히 1만 2천봉은 아니며 비교 자체가 안 된다.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산으로 [[경상남도]] [[김해시]]에 있는 [[백두산(김해)|백두산]]이 있다. 이 곳도 한자까지 [[백두산|북한의 그 산]]과 똑같지만, 모든 면에서 '''아예 비교가 안 된다.''' ==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소금강산 == ||<-2> {{{#fff {{{+1 '''소금강산'''}}}[br]'''小金剛山 | Geumgang Mountain'''}}} || ||<-2> [include(틀:지도, 장소=경주시 소금강산, 너비=100%, 높이=100%)] || || {{{#fff '''소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용강동(경주)|용강동]], 북군동, [[동천동(경주)|동천동]] || || {{{#fff '''높이'''}}} ||177m || 소금강산은 [[경주시]]에 있는 높이 177m의 산으로, 높지 않은 산이지만 신라 시대 때는 수도 시가지의 뒷산으로 왕이 자주 찾았던 [[백률사]], 지금도 불교 신자들이 많이 찾는 굴불사지 사면석불([[대한민국의 보물|보물]] 121호) 등 [[삼국유사]]의 전설과 문화재가 다수 남아있다. [[화백회의]]가 열렸던 장소 중 1곳이기도 하다. 사실 금강산이라는 이름 자체는 경주의 금강산이 [[금강산|북한 강원도의 금강산]]보다 오히려 먼저다. 고려 이전에는 경주의 산이 금강산이고 그 산은 풍악산, 개골산 등 다른 이름으로 불렸기 때문.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나오는 금강산도 여기를 말한다. [[경주국립공원]] 소금강지구가 이 산 주변이다. == [[경상남도]] [[창원시]], [[함안군]]에 걸쳐 있는 천주산의 별칭 == ||<-2> {{{#fff {{{+1 '''천주산'''}}}[br]'''天柱山 | Cheonju Mountain'''}}} || ||<-2> [include(틀:지도, 장소=창원시 천주산, 너비=100%, 높이=100%)] || || {{{#fff '''소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소계동[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대한민국]]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운곡리 || || {{{#fff '''높이'''}}} ||640m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소계동,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운곡리에 걸쳐 있는 '천주산'의 별칭. 일명 '''제2금강산'''으로, 주봉우리는 용지봉(龍池峰). 사실 지역에서도 해당 동네 어르신 정도 외에는 거의 모르는 마이너한 지명. [[창원역]] 뒤쪽에 있다. 물이 맑고[* 이 때문에 [[하이트맥주]] [[공장]]이 천주산 산 자락에 위치해 있다. 조선맥주주식회사였던 당시인 1990년 당시 페놀 사태로 OB의 점유율이 흔들리자 '깨끗한 물' 마케팅으로 시장 점유율을 역전시켰다.] 도시화가 되기 전에는 꽤 풍경이 뛰어났던 곳. 특히 진달래가 우거지는 봄 풍경이 뛰어나다고 알려졌으며, [[이원수(아동문학가)|이원수]] 선생이 [[고향의 봄]]을 써내려간 배경이 된 산이기도 하다.[* 단, [[경상남도]] [[양산시]]에서는 [[이원수(아동문학가)|이원수]]의 출생지와 유년 시절을 보낸 곳이라면서 [[고향의 봄]]은 [[양산시|양산]]을 묘사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 [[세키로]]에 나오는 금강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금강산 선봉사)]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금강산, version=372)] [각주] [[분류:동음이의어]][[분류:이름이 같은 산]][[분류:전라남도의 산]][[분류:경상북도의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