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화권 3대 영화상)] ||<-4> {{{#fff '''{{{+1 금계백화장}}}[br]Golden Rooster and Hundred Flowers Film Festival'''}}} || ||<-4><#ffffff,#191919> [[파일:HundredFlowersAward.png|width=60%&align=center]] || ||<-2> {{{#ffffff '''정식명칭''' }}} ||<-2>중국 금계 백화 영화제 || ||<-2> {{{#ffffff '''영문명칭''' }}} ||<-2>Golden Rooster and Hundred Flowers Film Festival || ||<-2> {{{#ffffff '''중문명칭''' }}} ||<-2>中国金鸡百花电影节 || ||<-2> {{{#ffffff '''국가''' }}} ||<-2>[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2> {{{#ffffff '''첫 시상연도''' }}} ||<-2>[[1992년]] || ||<-2> {{{#ffffff '''공식 홈페이지''' }}} ||<-2>[[https://www.zgjjbhdyj.com/|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금계백화장(金鸡百花奖/金雞百花奬)은 [[중국]]에서 가장 권위있는 영화상으로, [[중화권]]의 3대 영화상[* 중국의 3대 영화상은 금계장, 백화장, 화표장이다.] 중의 하나이다. 금계장과 백화장을 합쳐 부르는 명칭이며 중국금계백화영화제(中国金鸡百花电影节/中國金雞百花電影節)에서 시상된다. 1981년부터 시작된 금계장은 중국영화가협회와 중국문련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상이며 영화전문가들이 선정하므로 전문가상이라 불린다. 1981년이 [[닭띠]] 해라서 금계장이란 이름이 붙었다. 1962년부터 시작된 백화장은 중국 최대의 [[영화잡지]] '대중영화(大众电影)'가 주관하는 상으로 일반 관객의 투표로 선정되므로 관객상으로 불린다. 1963년 제2회를 끝으로 중단됐다가 1980년 제3회부터 부활했다. 명칭은 백화제방 백가쟁명(百花齊放 百家爭鳴)에서 따왔다. 1992년 금계장과 백화장을 통합하여 제1회 중국금계백화영화제를 시작했고, 2005년부터 [[홀수]], [[짝수]] 해에 번갈아 두 상을 시상하고 있다. 주로 금계장은 전문성 위주, 백화장은 대중성 위주로 뽑히며 금계장을 더 높게 평가한다. 2019년부터 금계상이 매년 수여하는 것으로 개편되었다. == 수상부문 == ||
<#cc0606><-9><:> '''{{{#ffffff 역대 [[금계백화장|{{{#ffffff 금계백화장}}}]]}}}''' || ||<#ffffff,#191919><-9><:> [[파일:HundredFlowersAward.png|width=200]] || ||<#cc0606><:> '''{{{#ffffff 회차[br](연도)}}}''' ||<#cc0606><-2><:> '''{{{#ffffff 작품상}}}''' ||<#cc0606><-2><:> '''{{{#ffffff 감독상}}}''' ||<#cc0606><-2><:> '''{{{#ffffff 남우주연상}}}''' ||<#cc0606><-2><:> '''{{{#ffffff 여우주연상}}}''' || ||<#F9F09F,#615D3E><:> 제27회 금계장[br]([[2009년]]) ||<#F9F09F,#615D3E><-2><:>[[집결호]][br]매란방 ||<#F9F09F,#615D3E><-2><:>[[펑 샤오강]][br]([[집결호]]) ||<-2><:><#F9F09F,#615D3E>오강[br](철인) ||<#F9F09F,#615D3E><-2><:> [[저우쉰]], 지앙 웬리[br](사랑과 죽음의 방정식, 입춘) || ||<#F9F09F,#615D3E><:> 제30회 백화장[br]([[2010년]]) ||<#F9F09F,#615D3E><-2><:>[[건국대업]] ||<#F9F09F,#615D3E><-2><:>[[펑 샤오강]][br](쉬즈 더 원) ||<-2><:><#F9F09F,#615D3E>[[진곤]][br](화피) ||<#F9F09F,#615D3E><-2><:> [[조미]][br]([[뮬란: 전사의 귀환]]) || ||<#F9F09F,#615D3E><:> 제38회 금계장[br]([[2011년]]) ||<#F9F09F,#615D3E><-2><:>비천 ||<#F9F09F,#615D3E><-2><:>루양[br](맹인영화관) ||<-2><:><#F9F09F,#615D3E>추희[br](실연 33일) ||<#F9F09F,#615D3E><-2><:> 나인화[br](나의 몽골 어머니) || ||<#F9F09F,#615D3E><:> 제31회 백화장[br]([[2012년]]) ||<#F9F09F,#615D3E><-2><:>[[대지진(2010)|대지진]] ||<#F9F09F,#615D3E><-2><:>[[펑 샤오강]][br]([[대지진(2010)|대지진]]) ||<-2><:><#F9F09F,#615D3E>문장[br](실연 33일) ||<#F9F09F,#615D3E><-2><:> 바이바이 허[br](실연 33일) || ||<#F9F09F,#615D3E><:> 제29회 금계장[br]([[2013년]]) ||<#F9F09F,#615D3E><-2><:>중국합화인[br]주은래의 4일간 ||<#F9F09F,#615D3E><-2><:>[[진가신]][br](중국합화인) ||<-2><:><#F9F09F,#615D3E>[[황효명]], 장국립[br](중국합화인, [[1942]]) ||<#F9F09F,#615D3E><-2><:> 송가[br](샤오홍) || ||<#F9F09F,#615D3E><:> 제32회 백화장[br]([[2014년]]) ||<#F9F09F,#615D3E><-2><:>[[일대종사]] ||<#F9F09F,#615D3E><-2><:> [[조미]][br](우리가 잃어 버릴 청춘) ||<-2><:><#F9F09F,#615D3E>[[황효명]][br](중국합화인) ||<#F9F09F,#615D3E><-2><:> [[장쯔이]][br]([[일대종사]]) || ||<#F9F09F,#615D3E><:> 제30회 금계장[br]([[2015년]]) ||<#F9F09F,#615D3E><-2><:>[[울프 토템]] ||<#F9F09F,#615D3E><-2><:> [[서극]][br](타이거 마운틴) ||<-2><:><#F9F09F,#615D3E>장한위[br](타이거 마운틴) ||<#F9F09F,#615D3E><-2><:> 바데마[br](누오르지마) || ||<#F9F09F,#615D3E><:> 제33회 백화장[br]([[2016년]]) ||<#F9F09F,#615D3E><-2><:>열일작심 ||<#F9F09F,#615D3E><-2><:> 우얼샨 [br](심용결 : 잃어버린 전설) ||<-2><:><#F9F09F,#615D3E>[[풍소봉]][br]([[울프 토템]]) ||<#F9F09F,#615D3E><-2><:> 허청[br](노포아) || ||<#F9F09F,#615D3E><:> 제31회 금계장[br]([[2017년]]) ||<#F9F09F,#615D3E><-2><:>[[오퍼레이션 메콩]] ||<#F9F09F,#615D3E><-2><:> [[펑 샤오강]][br]([[나는 반금련이 아니다]]) ||<-2><:><#F9F09F,#615D3E>[[덩차오]][br](열일작심) ||<#F9F09F,#615D3E><-2><:> [[판빙빙]][br]([[나는 반금련이 아니다]]) || ||<#F9F09F,#615D3E><:> 제34회 백화장[br]([[2018년]]) ||<#F9F09F,#615D3E><-2><:>[[홍해행동]] ||<#F9F09F,#615D3E><-2><:> 임초현 [br]([[홍해행동]]) ||<-2><:><#F9F09F,#615D3E>[[오경(배우)|오경]][br]([[전랑 2]]) ||<#F9F09F,#615D3E><-2><:> 진근[br](홀드 유어 핸즈) || == 2019년 이후 금계상 수상 목록 == ||
<#cc0606><:> '''{{{#ffffff 회차[br](연도)}}}''' ||<#cc0606><-2><:> '''{{{#ffffff 작품상}}}''' ||<#cc0606><-2><:> '''{{{#ffffff 감독상}}}''' ||<#cc0606><-2><:> '''{{{#ffffff 남우주연상}}}''' ||<#cc0606><-2><:> '''{{{#ffffff 여우주연상}}}''' || ||<#F9F09F,#615D3E><:> 제32회[br]([[2019년]]) ||<#F9F09F,#615D3E><-2><:>[[유랑지구]] ||<#F9F09F,#615D3E><-2><:> 임초현[br]([[홍해행동]]) ||<-2><:><#F9F09F,#615D3E>왕징춘[br](나의 아들에게) ||<#F9F09F,#615D3E><-2><:> 용메이[br](나의 아들에게) || ||<#F9F09F,#615D3E><:> 제33회[br]([[2020년]]) ||<#F9F09F,#615D3E><-2><:>탈관 ||<#F9F09F,#615D3E><-2><:> 왕서[br](백운지하) ||<-2><:><#F9F09F,#615D3E>[[황효명]][br](열화영웅) ||<#F9F09F,#615D3E><-2><:> [[주동우]][br]([[소년시절의 너]]) || ||<#F9F09F,#615D3E><:> 제34회[br]([[2021년]]) ||<#F9F09F,#615D3E><-2><:>수도인 ||<#F9F09F,#615D3E><-2><:> [[장이머우]][br](현애지상) ||<-2><:><#F9F09F,#615D3E>장역[br](현애지상) ||<#F9F09F,#615D3E><-2><:> 장샤오페이[br](안녕, 리환잉) || ||<#F9F09F,#615D3E><:> 제35회[br]([[2022년]]) ||<#F9F09F,#615D3E><-2><:>[[장진호(영화)|장진호]] ||<#F9F09F,#615D3E><-2><:> [[천카이거]], [[서극]], 린차오셴[br]([[장진호(영화)|장진호]]) ||<-2><:><#F9F09F,#615D3E>[[주일룡]][br](인생대사) ||<#F9F09F,#615D3E><-2><:> 해미연[br](마마!) || == 2019년 이후 백화상 수상 목록 == ||
<#cc0606><:> '''{{{#ffffff 회차[br](연도)}}}''' ||<#cc0606><-2><:> '''{{{#ffffff 작품상}}}''' ||<#cc0606><-2><:> '''{{{#ffffff 감독상}}}''' ||<#cc0606><-2><:> '''{{{#ffffff 남우주연상}}}''' ||<#cc0606><-2><:> '''{{{#ffffff 여우주연상}}}''' || ||<#F9F09F,#615D3E><:> 제35회[br]([[2020년]]) ||<#F9F09F,#615D3E><-2><:>[[나와 나의 조국]] ||<#F9F09F,#615D3E><-2><:> 궈판[br]([[유랑지구]]) ||<-2><:><#F9F09F,#615D3E>[[황효명]][br](열화영웅) ||<#F9F09F,#615D3E><-2><:> [[주동우]][br]([[소년시절의 너]]) || ||<#F9F09F,#615D3E><:> 제36회[br]([[2022년]]) ||<#F9F09F,#615D3E><-2><:>[[장진호(영화)|장진호]] ||<#F9F09F,#615D3E><-2><:> 원무예[br](바보들의 기적) ||<-2><:><#F9F09F,#615D3E>장역[br](현애지상) ||<#F9F09F,#615D3E><-2><:> 원천[br](중국의사) || [[분류:영화 시상식]]